충청남도에서 농업을 새롭게 시작한 청년들이 스마트팜을 활용해 억대 소득을 달성하며 눈길을 끌고 있다. 충남도가 핵심 과제로 추진 중인 '청년농 스마트팜 육성정책'이 실질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는 평가다.
충청남도는 16일 김태흠 도지사가 부여군 장암면에 위치한 스마트팜 단지를 방문해 관련 정책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청년 농업인들과 현장에서 직접 소통했다고 밝혔다. 해당 단지에서는 멘토 농가와 청년 농업인이 함께 유럽형 포기상추 등 쌈채소를 재배하고 있으며, 온라인 유통망을 통해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곳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20대 A씨는 작년까지 서울에서 직장생활을 하다가 귀향을 선택한 뒤, 농업에 뛰어든 지 1년 만에 1억 5천만 원의 수익을 거뒀다.
충남에서 첫 자립형 스마트팜 농가로 선정된 A씨는 3300㎡ 규모의 온실에 990㎡의 작업장을 갖춘 스마트팜을 조성했다. 총 9억 5천만 원의 사업비 가운데 3억 1500만 원은 도의 지원사업으로 확보했고, 5억 원은 연 1.5% 저금리의 청년 후계농 융자금으로 조달했다. 나머지 자부담 1억 3500만 원은 무이자 대출을 통해 충당했다.
그는 한 해 동안 유럽형 쌈채소 5가지 품종을 총 6만㎏ 생산해 약 4억 원이 넘는 매출을 기록했다. 또 다른 사례로는 당진에서 30대 B씨가 운영하는 7590㎡ 규모의 스마트팜이 있다. 그는 토마토 재배를 통해 연매출 6억5천만 원, 순이익 3억 5천만 원을 달성했다. 논산에서 딸기를 재배하는 20대 C씨는 2790㎡ 스마트팜에서 3억 8천만원의 매출과 3억 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충남도는 도내 청년 스마트팜 농가 205곳 중 일부를 표본 조사한 결과, 이들 농가의 평균 매출이 약 3억 4천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도 관계자는 “청년들이 농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스마트팜 기반 지원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Writer's note 스마트팜으로 단 1년 만에 억대 연봉을 올렸다는 소식은 누구나 주목할 만하다. 특히 도시 청년들에게는 “농촌에도 미래가 있다”는 강한 메시지를 전하며, 그동안 지방정부가 공들여 다듬어온 정책이 실제로 성과를 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청년 인구의 이탈을 막고, 더 많은 청년을 지역으로 끌어오기 위해서는 일자리뿐 아니라 ‘일자리 외의 요인’도 중요하다. 어쩌면 더 중요할 수도 있다. 따라서, 지자체가 수도권과의 심리적 거리를 줄이기 위해 서울 왕복 교통비를 지원하거나, 지역사회와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는 멋진 파티와 같은 프로그램을 마련한다면 어떨까. 이러한 비경제적 매력을 더한 정책은 일자리 창출 정책과 맞물려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다.. |
[지방정부티비유=최원재 리포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