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군, 주거부터 일자리까지...귀농·귀촌 정책 총정리

  • 등록 2025.08.26 10:41:05
크게보기

 

농촌 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보은군은 귀농·귀촌 지원책을 대폭 강화했다. 주거와 일자리를 한 번에 해결하는 보은군의 사업들을 정리해보았다.

 

1. 주거 기반 – 안정적 정착 지원

귀농·귀촌 희망둥지 만들기

▹ 집을 리모델링하거나 조립식 이동주택 설치, 6천만 원 한도 내 지원.

▹리모델링된 주택은 최소 7년 이상, 귀농·귀촌인에게 임대해야 하며, 기본 2년 사용 후 1년 연장 가능

 

농업경영 융복합 지원센터 (‘어울림하우스’)

▹2026년 초 준공 예정, 탄부면 하장리 폐교 부지(1만3850㎡)에 조성 예정

▹총사업비 약 112억 원, 거주시설 ‘어울림하우스’ 23세대와 농기계 임대 및 실습 시설 포함

▹원룸형·텃밭 단독주택형 구성, BF( barrier‑free·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취득 목표

 

지역활력타운과 청년 맞춤형 단지

▹2028년까지 보은읍 죽전리 일원에 블록형 단독주택 70호 공급 예정

▹농업창업센터 등과 연계한 공공임대주택, 온·누림 플랫폼, 국민체육센터 등 정주 인프라 제공

▹청년마을 공유주거, 내북면 청년농촌보금자리, 비룡호수 레이크 힐링타운(20세대 임대) 등 청년 특화 주거 단지 마련

 

2. 정착 기반 – 자금 및 교육 지원

정착 금융 지원

▹ 귀농인 정착자금, 농기계 구입자금, 농지 구입 세제 지원, 생활자재·주택 설계비·영농자재·▹주택 임차료·농지 임차료 등 다양한 항목으로 구성

▹2023년 이후 전입자 대상이며, 대상별로 한도 금액과 요건 상이 봉수의 일상+1.

 

1인 전입 장려 및 멘토링

▹충북도 최초로 ‘1인 귀농·귀촌인 전입 장려금’ 도입

▹귀농인과 선도농업인 1:1 멘토 제도 운영

 

교육·영농 역량 강화

농업인 대학 운영, 스마트팜 교육, 귀농·귀촌 스마트 실습 농장 운영

마늘·양파 농가, 식품기업과 함께 노지 스마트팜 시설 시범사업 추진 중, 추후 전 품목 확대 계획

 

3. 정주 조건 개선 및 지역 활성화

일자리 기반 조성

▹보은 제3일반산업단지 조성 추진, 반도체 등 우량 기업 유치 계획

▹산업단지 2곳, 농공단지 3곳 외에 신규 산업단지로 귀농·귀촌인의 안정적인 일자리 환경 마련

 

생활 인프라 연계 강화

▹온·누림 플랫폼, 공공임대주택, 국민체육센터 등을 통해 농촌에 도시 수준의 생활 인프라를 제공

▹정주 여건 개선을 통해 청년층 유입 유도

보은군청 nlncm@naver.com
tvU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지방정부 tvU(티비유) | 발행인 겸 편집인 : 이영애 | (본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16길 1, (분원) 서울 종로구 경희궁3나길 15-4 | Tel : 02-737-8266, 02-739-4600| E-mail nlncm@naver.com 등록번호 : 서울, 아04111 | 등록일ㆍ발행일 : 2016.07.19 | 사업자정보 : 101-86-87833 | 청소년 보호 관리 담당자: 편집부 차장 /청소년 보호 관리 책임자: 발행인 지방정부 tvU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