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방포스트_특집] 인터넷 《더 지방》포스트, 소통 플랫폼 wesolve

  • 등록 2018.07.10 13:02:39
크게보기

31년《월간 지방자치》 민관소통의 새 이름 《더 지방》 포스트로 거듭난다 기획편집팀

 

 

1.jpg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

인터넷이 등장한 지 20년가량 됐다. 그 전까지만 해도 우리가 얻는 정보의 대부분은 방송과 일간지, 잡지로 대표되는 정기간행물 정도였다. 홍보나 PR이라는 개념도 낯설었다. 

 

이때만 해도 정치나 행정은 시민의 일상과는 참 많이 동떨어진 세계처럼 보였다. 거대담론에만 목소리를 내는 것 같아 소시민의 일상을 이해하고 일일이 보듬으며 챙기기에는 멀게 느껴졌다. 

 

어느 날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세상이 열렸다. 컴퓨터 모니터 앞에 앉으면 현실 세계와는 또 다른 공간이 우리 앞에 펼쳐진 것이다. 이때부터였다. ‘정보의 홍수’로 불리는 시대가 본격적으로 개막했다. 시민들도 지금까지 방송과 신문을 통해서만 만나던 국회의원이나 지역 단체장과 지방의원을 인터넷 포털과 SNS를 통해 실시간으로 접하고 댓글을 통해 소통도 하게 됐다. 

 

세상의 변화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있다. 스마트폰 보급에 따라 누구나 사진을 찍고 영상을 찍는다. 덕분에 기자보다 시민이 사건 현장에 먼저 달려가 생생한 상황을 찍고 자신의 SNS에 올린다. 화려하지는 않지만 영상도 손쉽게 게시한다. 이제는 단순 그래픽과 영상 기술만으로는 시민들의 눈을 사로잡기가 어려워졌다. 

 

4차 산업혁명을 대표하는 기술 중 인공지능(AI) 서비스는 이제는 생소하지 않다. 인공지능이 사용자의 취향이나 관심 분야를 빅데이터로 분석해 개개인에게 맞춤 정보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소통하라 민선 7기

민선 7기 호가 출항했다. 17개 시·도와 226개 시·군·구는 인구 감소에 따른 지방 소멸 위기와 지역 경제 살리기라는 막중한 책임 아래 민선 7기의 돛을 올렸다. 

 

민선 7기 단체장들의 공약을 살펴봤다. 서울부터 경상남도까지, 대도시부터 농산어촌까지 대표 공약 키워드는 #일자리 #지역경제 그리고 #소통이다. 

 

이러한 키워드로 미뤄 볼 때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현안을 상징적으로 대표하는 것 같다. 주민의 손으로 직접 뽑은 지자체장과 지방의회 의원이 무엇보다도 지역 주민과의 긴밀한 소통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령 유동균 서울 마포구청장 당선인은 ‘소통하는 구청’을, 이성문 부산 연제구청장 당선인도 ‘열린 구청장, 소통하는 구청장’을 약속했다. 다른 지자체장이나 지방의원들도 마찬가지다. 지역에서 일어나는 갈등을 해결하고 신속한 민원처리와 주민참여를 통해 명실상부 주민에 의한 지방자치를 실현하겠다는 굳은 의지를 

내비쳤다. 

 

민선 7기는 그 어느 때보다도 주민과의 소통을 더 잘해야겠다는 단체장들의 의지에 더해 언론과의 소통도 긴밀해져야 할 것이다. 시민이나 주민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더 나아가 언론을 통해 시민들이 일상에서 겪는 소소하지만 꼭 풀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그렇다. 

 

 

2.jpg

 

 

 

31년 관록의 《월간 지방자치》 그리고 《더 지방》포스트 인터넷 소통 플랫폼 

지방자치 부활 이전부터 ‘지방자치’라는 제호로 이 땅에 진정한 지방자치 정착과 발전에 기여해온 31년《월간 지방자치》가 《더 지방》포스트란 인터넷 소통 플랫폼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그동안 지방자치 역사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성장한 지방자치 전문지로서 《월간 지방자치》는 국회,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의회 현장을 일일이 찾아다니며 살아 숨 쉬는 생생한 인터뷰로 지자체 현안과 공과를 보태거나 빼지 않고 전해왔다. 

 

또 지역의 복지·인구·경제·일자리·여성·브랜드·지역 활성화 등 다양한 정책을 벤치마킹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여러 지자체 부서를 집중 조명해왔다. 

 

행정·조례·교육·트렌드 분야의 해외 사례를 다뤄 주민을 위한 정책 개발과 발굴에 목마름이 있는 지방 공직자들에게 아이디어 뱅크 역할도 충실히 이행 중이다. 

 

행정과 정치뿐만 아니라 경제·인구·미세먼지 등 영역을 넘나들며 지자체와 공무원, 지역 주민에게 도움 되는 전문가들의 칼럼을 통해 전문 지식 채널 기능도 하고 있다. 

 

새롭게 선보이는 인터넷 《더 지방》 포스트 소통 플랫폼은 31년간 쌓아 온 지방자치 전문 콘텐츠에서 더 나아가 지방분권 시대의 주인인 주민과 지자체·정부부처·국회가 밀접히 소통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민관소통’에 무게를 실으려고 한다. 

 

내가 사는 지역, 즉 시·도나 시·군·구에 소소하지만 꼭 해결이 필요한 사안, 담론화해 지역의 변화가 요구되는 사안을 해결하는 통로로 활용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인터넷 《더 지방》포스트 소통 플랫폼에 들어와 자신이 사는 지역의 소소한 문제를 공유하고 해결하는 데 주인이 될 수 있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며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보다 적극적인 참여를 높이기 위해 청와대 청원 사이트를 개설했다. 국민이 물으면 정부가 답한다는 철학을 지향하는 청와대 청원 사이트가 주로 거대 담론을 중심으로 법 제·개정 요구나 전국적으로 이슈화할 만한 사건·사고가 주를 이룬다면, 인터넷 소통 플랫폼 《더 지방》포스트에는 일상에서 일어나는 소소하지만 꼭 해결이 필요한 문제를 공유하고 해결하는 데 가교 구실을 할 것이다. 

 

새로운 4년을 시작하는 민선 7기에는 1인 미디어 시대, 스마트폰 시대를 맞이해 똑똑해진 시민의 눈과 귀가 되고 지역 정체성을 담아낸 기획력 있는 기사 발굴과 전문성에 바탕한 심층 보도로 다양한 변화에 부응하는 인터넷 언론이 되기를 바라본다. 

부관리2 admin2@admin.com
tvU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지방정부 tvU(티비유) | 발행인 겸 편집인 : 이영애 | (본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16길 1, (분원) 서울 종로구 경희궁3나길 15-4 | Tel : 02-737-8266, 02-739-4600| E-mail nlncm@naver.com 등록번호 : 서울, 아04111 | 등록일ㆍ발행일 : 2016.07.19 | 사업자정보 : 101-86-87833 청소년 보호 관리 담당자: 편집부 차장 /청소년 보호 관리 책임자: 발행인 지방정부 tvU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