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트렌드] 퇴직공무원이 도전해 볼만한 직업 실버로봇 서비스기획자

  • 등록 2018.06.20 09:59:19
크게보기

bd90f270b24a19db11d0bf837268c9fb_1529456297_9395.png


평균 수명이 점점 늘어 이젠 120세까지 살아야 하는 시대라고 한다. 퇴직 이후의 삶이 불투명하다. 연금만 받고 살기에는 막막할 텐데… 고령화의 그늘 속에 안정적인 삶을 살기 위한 좋은 직업은 어떤 게 있을까? 한국고용정보원의 자료를 바탕으로 퇴직공무원이 해볼 만한 직업을 소개한다.


기획 양태석 기자



실버로봇 서비스기획자, 무슨 일을 하나?


건강, 엔터테인먼트, 정보 등 3개 카테고리에 따라 실버세대가 원하는 서비스에 대해 연구한다. 필요로 하는 서비스와 콘텐츠가 정해지면 어르신들이 로봇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적인 상태를 기획한다.


원격 업데이트, 리셋 기능 등이 이에 해당된다. 어르신들은 청소년과는 달리 메뉴나 조작방식이 조금만 복잡해도 잘 다루지 못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서비스기획자로서는 꼭 유념해야 하는 부분이다.


메뉴, 콘텐츠, 사용자 환경, 관리자환경 등에 대한 기획이 끝나면 디자이너가 같은 플랫폼 안에서 디자인을 할 수 있도록 실버로봇 서비스기획자가 스토리보드 작업을 한다.


일반 웹 기획자도 이러한 문서화 작업을 하지만 어르신들에게 꼭 맞는 서비스를 끌어내야 한다는 점에서 실버로봇 서비스기획자의 능력이 필요한 부분이다. 그리고 실버로봇이 완성되어 구현될 때까지 개발자, 실버분야 전문가, 서비스 콘텐츠 제공자 등과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업무를 조율한다.


bd90f270b24a19db11d0bf837268c9fb_1529456339_7756.png


어떻게 준비하면 되나?


실버로봇이 아직 보편화 되어있지 않은 상태여서 실버로봇 서비스기획자가 되기 위한 특별한 전공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인의 적성과 잘 맞으면 노인복지 관련 전공, 소프트웨어·콘텐츠 학과 등이 이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실버로봇은 실버와 로봇을 다 알아야 하는 융합적인 면이 있어, 기본적으로 노인문제와 로봇 모두에 애정과 흥미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학교에서 배우는 것 이외에도 현재 실버시장이나 로봇의 발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세미나, 전시회, 포럼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기획자인 만큼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과의 넓은 교류를 통해 현재 혹은 앞으로 다가올 트렌드를 읽어야 한다. 이밖에 노인복지사나 요양관리사 등 노인복지 관련 자격증을 취득해두면 깊이 있는 콘텐츠를 기획하는 데 도움이 된다.


bd90f270b24a19db11d0bf837268c9fb_1529456356_1796.png
 


실버로봇 서비스의 현재와 미래


실버로봇은 전문서비스 로봇의 범주에 들어간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에서 발표한 <2011년도 로봇산업실태조사>에 따르면, 2008년 19개 업체에 불과하던 전문서비스용 로봇개발회사가 2009년 및 2010년에는 각각 32개사와 46개사로 급격히 늘어났다.

매출액 증가부분에서도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2009년 대비 2010년 증가율은 238%로 다른 로봇범주보다 성장률이 높다. 또 최근 산업통상자원부는 로봇산업정책협의회를 개최하고 향후 로봇산업의 10년을 대비한 ‘신 로봇산업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기로 한 바 있다.


실버로봇 서비스기획자는 로봇제작업체 혹은 콘텐츠와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솔루션 회사에서 필요로 하는 직업이다. 다른 일반 콘텐츠기획자의 업무와 비슷한 점이 많지만, 아직 초기단계인 로봇산업을 이해해야 한다는 점에서 희소성이 있다. 향후 전망은 그 어떤 분야보다 밝다고 할 수 있다.

부관리2 admin2@admin.com
tvU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지방정부 tvU(티비유) | 발행인 겸 편집인 : 이영애 | (본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16길 1, (분원) 서울 종로구 경희궁3나길 15-4 | Tel : 02-737-8266, 02-739-4600| E-mail nlncm@naver.com 등록번호 : 서울, 아04111 | 등록일ㆍ발행일 : 2016.07.19 | 사업자정보 : 101-86-87833 청소년 보호 관리 담당자: 편집부 차장 /청소년 보호 관리 책임자: 발행인 지방정부 tvU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