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청년들이 일으키는 시골의 작은 혁명

2021.07.08 14:40:09

경상북도가 도시 청년들에게 시골에 정착할 수 있도록 창업자금을 지원하는 ‘도시청년시골파견제’를 시행한지 3년, 그동안 시골 창업에 성공한 청년들은 얼마나 될까? 스스로 자신만의 일을 위해 경북으로 향한 용감한 도시 청년들의 현주소를 돌아본다. 

 

 

이철우 경상북도 도지사는 지난달 《지방정부》와의 인터뷰에서 “수도권 일극 체제의 판을 엎어야 지방이 산다”는 말을 했다. “1년에 경상북도 청년 1만 5,000명이 수도권으로 빠져나간다”면서, “지방을 살리지 않고서는 수도권의 집값을 잡을 수 없고, 이대로 가면 수도권은 배 터져 죽고, 지방은 굶어 죽는다”고 비분강개 했다. 그도 그럴 것이다. 경북의 청년 인구 감소 추세가 멈추지 않는다면 경상북 도의 23개 시·군 중 17개 시·군이 소멸할 건 당연지사다. 


경상북도가 3년 전 ‘도시청년시골파견제’를 만든 것은 그런 이유였다. 도시 지역에 사는 만 15~39세 청년이 경상북도로 주소를 옮겨 창업이나 창작 활동을 하면 3,000만 원의 창업 지원금을 지원한다는 시골 유인책을 썼다. 특히 경북에 살다가 도시로 나갔던 청년들이 유턴하면 우대를 받을 터였다.


이 사업을 주관하는 경상북도경제진흥원에 따르면 지난 3년간 총 188명이 창업 지원 대상자로 선발됐다. 이 중 94%에 해당하는 183명이 정착에 성공했고, 88%가 만족한다고 호응했다 한다. 이들은 핸드메이드 제품, 콘텐츠 디자인, 음식업, 게스트하우스 운영 등 다양한 업종에 걸쳐 각자의 꿈을 펼치고 있는데 지역주민 과 어울리는 ‘지역 공동체’ 활동에도 참여하는 등 마을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올해 처음 ‘청년창업지역정착지원사업’으로 이름이 바뀐 ‘도시청년시골파견제’ 는 올해 52명의 대상자를 선발해 청송군 등 경북의 15개 시·군에 파견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청년들이 시골 창업에만 그치지 않고, 지역자원을 활용한 ‘ 로컬 크리에이터’로 성장하게 하는 한편, e-커머스, 오프라인 매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해 창업과 동시에 매출 확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게 할 방침이다. 사업화 자금과 정착 활동비는 1인당 2,000만 원이다. 


‘도시청년시골파견제’는 일본의 ‘지역부흥협력대’를 벤치마킹했다. 일본 정부가 2009년부터 추진한 이 제도는 도시 지역에 사는 40세 미만의 청년이 인구가 크게 준 농촌 마을에 정착하면, 농촌에 기여(寄與) 하는 정도에 따라, 연간 인건비와 활동 경비를 최대 600만 엔(6,000만 원)까지 준다. 이들은 2019년 기준, 일본 전국 997곳에서 4,976명이 활동하고 있으며 40%가 여성이다. 


전국에 큰 도시가 골고루 산재된 다극(多極) 구조의 유럽이나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이철우 경북도지사의 말처럼 일극(一極) 구조로 돼있어, 청년들이 경제 활동을 하기에 편한 수도권으로 몰리게 돼 있다. 


도시든 시골이든 창업을 1~2년이란 단기간에 하라는 건 말이 안 된다. 아무리 빨라도 최소 5년을 버텨낼 내공을 키우지 않으면 안 되는 게 창업이다. 도시보다 불리한 환경에서 창업을 선택한 청년들이 자생력을 키우고, “All business is local” 이란 말을 들을 수 있도록 경상북도가 이들을 긴 호흡으로 보살펴주기를 기대한다. 

윤영무 대기자 ym1st@naver.com
tvU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지방정부 tvU(티비유) | 발행인 겸 편집인 : 이영애 | (본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16길 1, (분원) 서울 종로구 경희궁3나길 15-4 | Tel : 02-737-8266, 02-739-4600| E-mail nlncm@naver.com 등록번호 : 서울, 아04111 | 등록일ㆍ발행일 : 2016.07.19 | 사업자정보 : 101-86-87833 청소년 보호 관리 담당자: 편집부 차장 /청소년 보호 관리 책임자: 발행인 지방정부 tvU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