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신호

서울교통공사, 남부터미널역에 '스마트팜' 조성...'청년도시농업' 성장 기대

남부터미널 역사 종점부 지하1‧2‧3층에 연면적 5,629㎡ ‘스마트팜 플랫폼’
인큐베이션 공간, 생산 작물 활용 마켓, 창업 키친…청년들 도시농업 창업 지원
‘남부터미널 URBAN FARM 컨소시엄’ 사업자 선정…연내 착공, '21년 운영 시작

10년 간 비어있던 지하철 3호선 남부터미널 역사에 도시 농업 분야 창업을 꿈꾸는 청년들을 위한 '스마트팜 플랫폼'이 들어선다.

 

서울교통공사는 이곳에 첨단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미래형 실내농장 '스마트팜'을 조성하고, 청년과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인큐베이션 공간'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에 더해 생산 작물을 활용한 판매시설과 전문식음료 매장, 청년 창업키친 등을 포함한 '라이프스타일 복합공간'을 만들어 청년 창업을 지원하고 시민을 위한 문화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서울교통공사는 이를통해 도시농업 청년 창업을 지원하고, '스마트팜'의 확산과 생태계 혁신을 목표하고 있다. 첨단정보통신기술(ICT) 활용에 앞서 유능한 청년들을 유입함으로써 청년 일자리 창출을 꾀하고, 전후방 산업의 투자를 주도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창조하겠다는 계획이다.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공사는 범정부 차원에서 4차 산업혁명 육성을 위해 투자 중인 스파트팜에 적극 참여해 미래농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만들어 나가며 부대수익 창출을 위해 힘쓰고 있다"며, "남부터미널역에는 다른 공간과 차별화된 청년 창업팜, 창업키친 등을 운영해 청년창업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스마트팜 플랫폼'은 남부터미널 역사 종점부 지하1‧2‧3층 연면적 5,629㎡의 공간에 조성된다. ‘남부터미널 URBAN FARM 컨소시엄’이 사업자로 선정되었고, 연내 착공한 뒤, 오는 2021년 운영을시작할 예정이다. 

 

앞서 서울교통공사는 7호선 상도역과 5호선 답십리 역사 내에 스마트팜 복합공간인 '메트로팜'을 조성 및 운영하고 있다.

 

*스마트팜은 빛,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양분 등 식물 생육에 필요한 환경요소를 인공적으로 제어하는 ‘밀폐형 재배시스템’을 통해 농작물을 재배해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 없는 작물재배가 가능한 공간이다. LED 인공광, 양액제어, 에어샤워 시스템 등 첨단기술이 적용된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박달스마트시티 본격 개발, 첨단 복합문화공간 탄생" [최대호 안양시장]

대춧빛 얼굴에 늘 웃음이 걸려 있고 좌중을 휘어잡는 호탕한 바리톤 목소리는 우물 속 깊은 메아리처럼 길게 여운을 던진다. 최대호 안양시장의 시민 사랑은 ‘안전’에서 드러나고 ‘민생’에서 빛을 발한다. 작년 11월말 농산물도매시장이 폭설에 붕괴될 당시 시민 사상자 ‘제로’는 최 시장의 ‘신의 한 수’에서 나왔다. 재빠른 선제 대응은 ‘안전’의 교과서로 이젠 모든 지자체 단체장들에겐 규범이 됐다. ‘민생’은 도처에서 최 시장을 부르고 있다. 쌍둥이 낳은 집도 찾아가 격려해야 하고 도시개발사업은 매일 현장 출근하다시피 하고 장애인 시설도 찾아 애들을 안아주기도 한다. ‘안전’에 관한 한 그는 축구의 풀백이다. 어떤 실수도 허용하지 않으려 온몸을 던진다. ‘민생’에는 최전방 스트라이커다. 규제의 장벽과 민원의 태클을 뚫고 기어이 골을 넣는다. 그래서 그의 공약은 이렇게 ‘발’로 해결한다. 최 시장이 축구광이라는 건 시 청사에 나부끼는 깃발을 보면 안다. 태극기 옆에 안양시기(市旗)와 나란히 펄럭이는 시민구단 FC안양 깃발을 보라. 이런 시장을 ‘레전드’라 부른다. 장소 안양시장 접견실 대담 이영애 발행인 정리 엄정권 대기자 사진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