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확진자 집계 무의미, 새로운 방역 대책 준비해야

김윤, 서울 대 의료관리학과 교수 주장
중증환자 치료 등 치명률 낮추는데 집중해야

 

14일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500명대로 증가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새로운 방역체계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전문가의 지적이 나왔다.

 

김윤 서울대 의대 의료관리학과 교수는 13일 CBS라디오 '한판승부'에서 "(새로운 방역 체계는) 더 이상 확진자 수를 집계하지 않고, 중증 환자의 치료에 집중하면서 치명률을 낮추는데 집중하는 것"이라며  싱가포르 모델을 적용하는 것을 주장했다.

 

김 교수는 "국내 신규 확진자 수가 계속 늘고 있는 상황에서는 대규모 역학조사나 외국에서 들어온 여행객, 방문객들을 자가격리하지 않고, 다만  마스크 쓰기, 손 씻기, 거리두기 등 개인 방역 수칙지키기를 계속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한국의 경우 코로나19 치명률은 0.3% 정도로, 우리가 알고 있는 과거 코로나 치명률의 5분의 1 수준"이라며 "치명률을 기준으로 하면 1,000명의 환자가 생긴 게 과거의 200명 환자 수준의 확진자 또는 중증 환자가 발생하는 것이고, 독감의 치명률(0.1%)에 훨씬 더 가까운, 그러니까 코로나19 같은 독감이 된 것"이라면서 "그 치명률과 중증 환자의 숫자에 맞게 방역을 해야 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백신 접종이 몇 퍼센트 됐을 때 정책적으로 고민할 수 있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김 교수는 "백신 접종이 50%가 되면 갑자기 방역 환경이 바뀌는 게 아니고 백신 접종률에 비례해서 방역 환경이 바뀌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점진적으로 현재 방역 시스템을 코로나19와 공존하는 시스템, 그러니까 싱가포르 모델에 가까이 가는 방식으로 점진적으로 바꿔나가는 게 더 바람직한 방식이라고 본다" 고 말하고,  "2차 접종까지 완료한 인구의 비율이 거의 40~50%가 되고, 1차 접종까지 맞은 확률이 70%쯤인데도 불구하고 델타 변이 때문에 하루에 3만 명이 넘는 환자가 발생하고 있는" 영국을  소개했다.

 

그는 아울러  "백신을 접종하면 집단면역이 되고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확진자 안 생기는 옛날로 돌아갈 수 있을 거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을 것"이라면서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를 하고 있으면  2주 뒤 확진자 수가 1,000명 이하로 떨어질까, 저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원주시, 가정의 달 맞이 원주몰 30% 할인 행사

원주시는 가정의 달을 맞아 공식 인터넷 쇼핑몰인 ‘원주몰(원주몰.com)’에서 5월 31일(토)까지 관내 200여 기업이 참여하는 기획전을 실시한다. 시는 기획전 기간 원주몰에 입점한 전체 상품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할인쿠폰을 지급할 예정이다. 5월 한 달간 매주 화요일(6일·13일·20일·27일) 오전 10시에 30% 할인쿠폰(최대 3만 원 할인)을 선착순으로 발급한다. 쿠폰은 원주몰 회원이라면 누구나 발급받을 수 있으며, 1만 원 이상 구매 시 사용할 수 있다. 발급일로부터 2일간 유효하다. 이에 더해 5월 9일과 10일 단계동 AK백화점 열린광장에서 원주몰 연계 특판전을 실시, 오프라인으로도 시민들을 찾아갈 계획이다. 엄병국 기업지원일자리과장은 “소중한 사람들에게 마음을 전하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기획전을 준비했다.”라며, “감사선물을 준비하고 있는 소비자들이 이번 행사를 통해 많은 혜택을 얻으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문의 기업지원일자리과 기업육성팀(033-737-2982)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