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청년부부 결혼축하금 지원 지원대상: 만 49세 이하의 청년부부(생애 1회) 지원내용: 결혼축하금 2백만원 지원 2. 청년 희망디딤돌 통장 지원 지원대상: 18세 이상 45세 이하의 청년 노동자 또는 사업자 중 가구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인 자 지원내용: 최대 3년간 매월 10만원씩 자립지원금 매칭 적립 3. 청년 취업자 주거비 지원 지원대상: 18세 이상 45세 이하의 무주택 청년 노동자 또는 사업자 중 가구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이면서 전세(대출금 5천만원 이상) 또는 월세(60만원 이하) 주택 거주자 지원내용: 최대 1년간 월 20만원 지급(생애 1회) 4.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지원 지원대상: 전남도 내 2년 이상 거주한 19세~28세 청년 지원내용: 공연관람, 교통비 등 문화복지비 25만원(체크카드) 5. 신혼부부·다자녀 가정 보금자리 지원 사업 지원대상: 무주택 신혼부부(결혼 7년 이하) 또는 다자녀가정(미성년 자녀 2명 이상) 중 한국주택금융공사 등의 대출심사를 통과한 자 지원내용: 최대 3년간 주택 구입 이자 월 최대 25만원 지급 문의 : 인구정책과 청년활력팀 061-850-5987
보성군은 이달부터 보성사랑상품권 카드형의 실질 혜택을 15%로 확대하고, 구매 한도도 월 최대 200만 원까지 상향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정부의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확대 정책에 따른 것으로, 군민 가계부담 완화와 지역 소상공인 매출 증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카드형 상품권은 기존 10% 선 할인에 더해 사용 시 5% 캐시백이 적립돼, 총 15%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충전하면 90만 원만 지불하고, 이후 사용 과정에서 5만 원이 캐시백으로 쌓여 총 105만 원의 소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캐시백 적립금이 발생하면, ‘CHAK(착)’ 애플리케이션 내에 ‘캐시백 ON/OFF’ 버튼이 활성화된다. 이용자가 해당 버튼을 ‘ON’으로 설정할 경우, 이후 결제 시 적립된 캐시백 금액이 우선 사용된다. 지류형 상품권은 기존 제도를 그대로 유지해 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10% 할인 혜택을 적용한다. 카드형과 지류형은 통합 구매 한도가 적용되며, 카드형은 최대 200만 원, 지류형은 최대 70만 원까지 가능하다. 지류형을 70만 원을 구매한 경우, 카드형은 130만 원까지 추가 구매가 가능해 월 최대 200만 원 한도가
1. 출산장려 및 양육지원금 지원 대상 : 신생아의 부 또는 모가 보성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출산한 가정 내용 : 첫째아 600만원, 둘째아 720만원, 셋째아이 이상 1,080만원 (24개월까지 분할지급) 2. 전라남도-보성군 출생기본수당 대상 : 024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 전남 출생신고, 출생신고일부터 지급신청일까지 부모 모두와 출생아동은 계속해서 전남 주소 유지, 지급신청일 현재 부모 중 한 명과 출생아동은 보성군 주소 유지 내용 : 월 20만 원= 현금 10만 원 + 보성사랑상품권(모바일) 10만원 3. 영·유아 보육료 및 누리보육료 지원 대상 : 0 ~ 5세 영유아 내용 : 보육료 전액 지원 (연령별로 차등 지급) 4. 양육수당 지원 대상 :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은 24개월 ~ 85개월 취학전 자녀 내용 : 월 10만원 지원 5. 농어촌 양육수당 지원 대상 : 농어업인 가구의 어린이집(유치원) 이용하지 않은 영유아 내용 : 연령별 양육수당 차등 지원 (24~85개월) 6. 부모급여(영아수당) 지원 대상 : 2022. 1. 1. 이후 출생한 0~1세 아동 내용 : 0세 월 100만원, 1세 월 50만원 7. 아동수당지원 대상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