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원픽

남자의 정장에 가장 화려한 액세서리

  • 등록 2017.06.04 13:30:47

​남자에게 자신을 잘 드러낼 수 있는 패션 아이템 중 하나인 타이.
타이의 연출법에 따라 그날의 이미지도 달라진다.

 

60.png

 


강진주 편집위원, 퍼스널이미지연구소장

 

 

비슷비슷해 보이는 남자의 슈트 정장 스타일에서 가장 화려한 액세서리는 단연 넥타이다. 처음에는 목을 보호하는 도구로서 시작되었음이 분명한 넥타이는 시간이 흐르며 남성복에서 가장 패셔너블한 아이템으로 발전하였다.

아직도 군대나 클럽 등 특정 단체에서는 소속감을 표시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지만, 일반적인 비즈니스맨에게 넥타이는 자신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뛰어난 패션 액세서리다.

넥타이는 소재와 색상의 조화에 따라서 세련됨과 세련되지 못함, 고급스러움과 그렇지 못한 연출이 확연하게 판가름 나는, 매우 치명적인 아이템이다.

따라서 넥타이를 고를 때에는 시간과 정성을 충분히 들여야 한다. 또한 넥타이는 매듭 매는 법에 따라서도 연출이 달라지기 때문에 다양한 매듭법을 여러 번 연습하며 자신의 이미지에 가장 맞고, 자신을 가장 돋보이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손에 익히는 것이 좋다.

 

타이의 색상과 패턴은 이미지를 좌우한다. 그렇기 때문에 타이는 아주 쉽게 그날의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 좋은 아이템이다.

 

61.png

 

타이 패턴의 종류와 TPO

1. 솔리드 타이(Solid)
무늬 없는 한 가지 색으로 된 패턴으로 주로 실크, 울, 코튼 혹은 혼방을 소재로 한다. 짙고 풍부한 와인 색상의 솔리드 타이는 슈트에 꼭 갖추어야 하는 필수품이다. 솔리드 타이는 단순하지만, 엘레강스하면서 카리스마 있어 보이는 이미지를 연출한다.

2. 레지멘털 스트라이프(Regimental Stripe)
색이 다른 굵은 사선의 패턴을 말한다. 원래는 영국군의 각 연대를 상징하던 깃발의 색이나 젠틀맨이 다니던 학교의 깃발 색을 타이에 옮겨 놓은 것이었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레지멘털 스트라이프는 타이를 착용한 사람의 소속을 의미했었다. 비즈니스 복장에 잘 어울린다. 남자를 샤프한 이미지로 연출하여 준다.

3. 풀라드(Foulard)
보통 솔리드 바탕에 원형, 타원형, 다이아몬드 형태의 작은 무늬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디자인으로 되어 있다. 드레시한 엘레강스이미지에 잘 맞는다.

4. 도트(Dots)
동전만 한 크기에서부터 눈에 잘 띄지 않는 작은 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의 도트가 일정하게 배열된 패턴을 말한다. 도트 타이는 드레시한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도트가 작을수록 더 드레시한 이미지를 준다.

5. 페이즐리(Paisley)
화려한 색상으로 디자인된 페이즐리 패턴은 스포티 이미지 연출하며, 채도가 낮은 색상으로 디자인된 페이즐리는 매우 엘레강스한 이미지를 연출한다.

색상의 조합을 비교적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때문에 페이즐리를 활용하면 다양한 스타일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숲체험 하며 우리들은 자라요” [초등생 현장학습]

㈔미래인재교육개발원이 진행하는 '2025 숲체험 현장학습'이 본격 시작돼 서울 등 도시 어린이들에게 다양한 자연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올해 현장학습에는 28개 초등학교 4,000 여명의 어린이가 참여한다. 이 현장학습은 4월 10일 서울 상현초등학교를 시작으로 10개 학교가 이미 참여했으며 5월에도 10개교가 참여하고 있어 높은 참여 열기를 보이는 가운데 숲체험 현장학습이 어린이들에게 본격적으로 생태 감수성을 키울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현장학습은 교육에 필요한 교재, 체험 재료, 간식이 제공되며 주강사 보조강사 지도 아래 안전하게 진행된다. ‘Feel Green, See Dream’이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되는 이 현장학습은 아이들이 자연 속에서 정서적 안정을 회복하고, 또래 친구들과의 협동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확장하며, 자신의 꿈을 탐색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프로그램은 자연물 탐색, 자연물 빙고 활동, 자연물로 꿈 표현하기, 플로깅(plogging) 등 다양한 체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업을 진행하는 ㈔미래인재교육개발원 관계자는 “숲은 아이들에게는 살아있는 교실”이라며 “그 초록의 교실에서 도시의 아이들은 꿈을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