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해양설화, '연평도 해신이 된 임경업 장군'

인천광역시, 연평도와 강화도 해양설화 바탕 그림책 2종 출간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연평도와 강화도의 해양설화를 바탕으로 '연평도 해신이 된 임경업 장군'(정진 글, 정소영 그림), '효종이 사랑한 명마, 강화 벌대총'(임어진 글, 이종균 그림) 2종의 그림책을 출간한다는 소식을 7일 전했다.

 

인천광역시에서 2018년부터 진행해 온 '인천 해양설화 그림책 제작 사업'의 3개년도 성과물이다.

 

인천 해양설화 그림책은 2018년 '영종도 아기장수', '백령도의 명궁 거타지', 2019년 '대청도를 사랑한 태자', '따오기의 하얀 날개, 백령도'에 이어 올해까지 총 6종이 출간됐다.

 

올해 출간된 2종의 그림책 각 1,500부씩 총 3,000부는 인천시가 납품받아 인천 내 공공도서관, 작은도서관, 초등학교 도서관, 유치원, 그리고 전국 지역별 거점도서관에 12월 중 배포될 예정이다. 이와 별도로 그림책 제작사를 통한 출간 도서는 전국 온-오프라인 서점을 통해서 구매도 가능하다.

 

인천시는 그림책 판매 수익금 중 일부를 활용해 매년 인천 섬에 소재한 초등학교 도서관 중 한 곳에 100권의 도서를 기증하고 있는데, 올해 11월 24일에는 박남춘 인천광역시장과 연평초등학교 교사·학생들이 함께 참여해 '신간 아동도서 100권' 기증식을 온라인으로 진행한 바 있다.

 

한편 코로나19 확산으로 온라인으로 개최된 12월 6일 '인천해양설화 북콘서트'에서는 기증식 영상, 작가와의 만남, 해양설화 그림책 2종의 모션그래픽 등 풍부한 볼거리가 어린이들에게 제공됐다.

 

김호석 인천광역시 도서관정책과장은 "인천은 168개의 섬이 있는 해양 도시로 알려지지 않은 해양설화가 많다"며 "앞으로도 해양설화를 발굴해 인천만의 고유한 독서문화 콘텐츠로 만들어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춘천 신북읍 파크골프장 착공

춘천시(시장 육동한)는 1일 오전 10시 30분 신북읍 천전리 바람길정원 일원에서 ‘신북읍 파크골프장 착공식’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육동한 춘천시장을 비롯해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 김진호 시의장 등 주요 내빈과 시민 10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맥국터농악 식전공연, 기념사, 축사, 오색 리본 컷팅식, 기념촬영 등으로 진행됐다. 신북읍 파크골프장은 총사업비 14억1천만원을 투입해 3만5천㎡ 부지에 18홀 규모로 조성된다. 화장실과 관리사무실 등 부대시설도 함께 설치해 시민 누구나 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2023년 2월 하천점용 허가 협의와 파크골프협회 의견 수렴을 시작으로, 2024년 1월 소규모 환경영향평가를 마쳤으며, 2025년 3월 하천점용허가 및 실시설계용역을 완료하는 등 착실히 준비를 거쳐왔다. 5월 2일부터 본격적인 공사에 착수해 12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잔디 활착 기간을 거쳐 2026년 9월 정식 운영할 예정이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이번 파크골프장 조성이 단지 체육시설 하나를 새로 만드는 것을 넘어서, 시민 여러분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 공동체의 활력을 불어넣는 시작점이 되길 바란다”고 전하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