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시민생활실험단(리빙랩)’, 100일간의 쓰레기줄이기 실험에 나섰다

청주를 넘어 전국적인 생활쓰레기 줄이기 운동 확산의 홀씨가 된 ‘시민생활실험단’을 직접 만나고 왔다

 

청주시 117개 가정이 2020년 12월 1일부터 2021년 3월 10일까지 100일간 쓰레기 줄이기 실험에 참가해 청주시 전역은 물론 다른 지역까지 쓰레기 줄이기 운동의 모델이 되고 있다. 2019년 11월 13일 청주시가 건립한 청주새활용센터(이하 ‘센터’)는 (사)풀꿈환경재단이 수탁운영하고 있다. 

 

 

센터는 2020년 11월 23일 시민생활실험단(리빙랩, Living Lab) 모집공고를 내고 같은 해 12월 1일 117개 가정으로 실험단을 발족해 100일간의 대장정에 들어갔다. 첫째 달은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생활했고, 둘째와 셋째 달은 각자의 여건에 맞게 자율적으로 쓰레기를 줄이는 미션을 진행했다. 쓰레기 증감 상태를 비교하기 위해 발생량(배출량)을 기록해야 했다. 

 

실천 방법은 음식 배달 대신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는 용기를 들고 가서 음식을 담아오고, 빈 병을 모아 마트에 다시 갖다 주며, 시장에 갈 때는 에코백을 휴대해 비닐봉지를 받지 않고, 단원들 간에 쓰지 않는 물건을 교환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강구했다. 이러한 노력과 실천으로 2020년 12월 대비 2021년 2월 쓰레기 발생량은 21.5% 감소했고, 재활용 쓰레기 분리배출량(재활용량)은 2.5% 증가했다. 

 

 

100일간 의식적으로 쓰레기 줄이기 실천을 생활화하고 배출량까지 일일이 기록하는 것은 쉽지 않았을 것이다. 자동화와 편리함에 젖어 사는 오늘날의 상황에 비춰보면 더욱 힘겨운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시민들은 공동 SNS를 통해 단원들 사이에서 실천 사례를 공유했고, 참여 가정 일원인 20명의 정예화된 환경 리더들이 각자 5개 가정씩 맡아 격려를 하면서 100일을 완주했다. (리더들도 직접 실험에 참여)

 

참여 가정들은 배출량의 발생량을 비교하면서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꼭 바꿔야 할 습관에 대한 고민과 노력을 시작하는 계기가 됐다고 한다. 또한 광주 동구청과 대전 자원봉사센터를 비롯한 여러 공공기관·단체에서 문의 전화가 오는 등, 이 소식이 청주 넘어서까지 알려져 생활쓰레기 줄이기 운동을 확산하는 홀씨가 되고 있다.

 

 

 

현재 센터는 ‘쓰레기 줄이기 실험’ 시즌 2 형식으로 ‘청주시민 쓰레기 줄이기 100일 실천운동(주제: 시민생활실험에서 시민생활실천으로)’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다. 100일 실험운동을 기획한 센터, 20명의 지도자, 97명의 참여 가정은 지구의 위기를 맞고 있는 이 시대, 지구를 정말 사랑하고 지구를 보호하는 데 용기 있게 앞장서는 지구수호대(Captain planet and planeteers*)이다.

 

*지구수호대: 1990년부터 1996년까지 미국 TV에 방영된 애니메이션. 국내에서도 1993년 8월 25일부터 12월 10일까지 방영됐다. 지구 재앙과 싸우는 지구수호 용사 ‘paneteer’들이 ‘captain planet’의 도움으로 환경 파괴 및 재난과 싸우는 모험기이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박달스마트시티 본격 개발, 첨단 복합문화공간 탄생" [최대호 안양시장]

대춧빛 얼굴에 늘 웃음이 걸려 있고 좌중을 휘어잡는 호탕한 바리톤 목소리는 우물 속 깊은 메아리처럼 길게 여운을 던진다. 최대호 안양시장의 시민 사랑은 ‘안전’에서 드러나고 ‘민생’에서 빛을 발한다. 작년 11월말 농산물도매시장이 폭설에 붕괴될 당시 시민 사상자 ‘제로’는 최 시장의 ‘신의 한 수’에서 나왔다. 재빠른 선제 대응은 ‘안전’의 교과서로 이젠 모든 지자체 단체장들에겐 규범이 됐다. ‘민생’은 도처에서 최 시장을 부르고 있다. 쌍둥이 낳은 집도 찾아가 격려해야 하고 도시개발사업은 매일 현장 출근하다시피 하고 장애인 시설도 찾아 애들을 안아주기도 한다. ‘안전’에 관한 한 그는 축구의 풀백이다. 어떤 실수도 허용하지 않으려 온몸을 던진다. ‘민생’에는 최전방 스트라이커다. 규제의 장벽과 민원의 태클을 뚫고 기어이 골을 넣는다. 그래서 그의 공약은 이렇게 ‘발’로 해결한다. 최 시장이 축구광이라는 건 시 청사에 나부끼는 깃발을 보면 안다. 태극기 옆에 안양시기(市旗)와 나란히 펄럭이는 시민구단 FC안양 깃발을 보라. 이런 시장을 ‘레전드’라 부른다. 장소 안양시장 접견실 대담 이영애 발행인 정리 엄정권 대기자 사진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