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 지원대상 : 18세~39세 미취업청년 지원사업 - 특성화 전문인력 양성 일자리 사업 - 신산업 중소기업 및 농업법인 일자리사업 - 미래축제청년인재사업 2. 청년셰어하우스 운영 지원대상: 부여군에 거주(예정)하는 18~39세 청년 또는 신혼부부 중 무주택자이면서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인 자 지원내용: 저렴한 월세로 주거공간 임대 3. 군복무청년(현역병) 상해보험 지원대상 : 부여군에 주소를 둔 현역 군복무 청년 보장기간 : 2024. 10. 16. ~ 2025. 10. 15. (매년갱신) 보장내용 : 상해사망·후유장해, 질병사망·후유장해, 입원, 골절·화상 진단금 4. 청년창업농 영농정착 지원 사업 지원대상 : 독립경영예정자 및 독립경영 3년 이하 지원내용 : 독립경영 1년차 월110만원, 2년차 월100만원, 3년차 월90만원 5. 청년센터 운영(지역 청년들의 커뮤니티 공간 및 지역 청년활동 거점 공간) 운영내용 : 지역 청년들이 원할 경우 스터디, 회의 등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공간 제공 센터위치 : 부여군 부여읍 사비로100번길 10 구비물품 : 컴퓨터, 프린터기, 책상, 의자 등 구비 공간구성 - 지하층: 청
부여군은 유기성폐자원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통해 유기성폐자원(가축분뇨, 음식물, 하수 찌꺼기 등)을 바이오가스로 생산하고 있다. 이 시설은 화석연료를 대체하여 전기를 생산함으로써 유기성폐자원 처리, 지역의 에너지 자립도 제고,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목표 달성, 악취 등 환경문제를 해소하는 1석 4조의 효과가 기대되는 시설이다. 하지만, 해당 시설은 기피 시설로 주민 반대에 부딪혀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기피시설을 기대시설로 변화시킨 공로를 인정받아 부여군은 2025년 제7회 지방정치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충남 부여군은 2024년 말 기준 59,550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농업 중심 도시이다. 같은 기간 조사한 가축통계 결과에 따르면 축산농가 수는 약 3천 농가로 한우·젖소·돼지 등 480만 두수를 사육하고 있다. 부여군은 오랜 시간 난제였던 축산농가의 분뇨 문제를 해소하고, 음식물류 폐기물, 양송이 재배농가 침출수, 농업부산물 등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여겨지던 폐자원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왔다. 지난 2022년에는 이러한 난제를 해소할 자구책으로 유기성 폐자원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설치를 민선 8기 공약사업 으로 발표해 공식화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