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일부터, 대구시가 시행 중인 ‘어르신 통합무임 교통카드’의 사용지역이 경북 주요 6개 시·군으로 확대된다. 이에 따라 기존 대구, 경산, 영천에 더해 고령, 구미, 김천, 성주, 청도, 칠곡 등 총 9개 지자체에서 무임교통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된다. 해당 무임카드는 만 73세 이상 어르신이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에 발급받은 무임 교통카드 그대로 사용 가능하다. 적용되는 교통수단은 시내버스, 도시철도, 대경권 광역철도(대경선) 등으로, 지자체 간 상호 연계가 가능해짐에 따라 대중교통을 통한 광역 이동의 편의성이 대폭 개선될 전망이다. 이번 확대 조치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교통복지 향상과 광역생활권 구축을 위한 것으로, 해당 지역의 어르신들은 별도 등록 없이 기존 카드로 혜택을 누릴 수 있다. 특히 대구 인접 지역인 구미·김천·칠곡 등은 통근 및 병원 이용 수요가 높은 지역으로, 교통비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단, 무임교통카드로 발생한 이용 비용은 어르신의 주소지 지자체에서 부담하게 되며, 상호 간 비용정산 체계를 기반으로 운영된다. 이는 지자체 간 협력과 교통복지 공동체 실현이라는 측면에서도 주목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5년 「청년 여성 농업·농촌분야 탐색교육(시골언니 프로젝트)」을 6월부터 10월까지 운영한다고 밝혔다. 「시골언니 프로젝트」는 농업·농촌을 접할 기회가 적은 도시의 청년 여성들에게 농촌지역에 먼저 정착한 여성 멘토(시골언니)와 함께 농촌살이의 다채로운 방식을 탐색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현장 체험형 교육 프로그램이다. 농식품부는 ‘22년부터 매년 5~6개소의 현장운영기관을 선정하여 100여 명의 청년 여성이 농업농촌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올해 사업 운영기관으로는 상주, 거창, 강화, 청도, 원주, 김제 지역의 6개소가 선정되었으며, 오는 6월 19일 경북 상주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사업이 진행된다. 그간의 시골언니 프로젝트는 도시 청년 여성들에게 농촌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는 의미가 있었으나, 농촌에서의 창업이라든지 이주·정착으로 연결되는 사례는 충분치 않았다는 점이 아쉬운 부분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올해부터는 프로그램 종료 후 농촌에서의 진로를 선택하는 참여자가 확대될 수 있도록 취·창업 연계 기능을 강화한다. 여성가족부와 협업을 통해 지역 여성취업전문기관인 여성새로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