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장

김영길 울산 중구청장, 월간 지방정부 창간 2주년 축하 메시지

 

안녕하십니까.

울산 중구청장 김영길입니다.

 

희망찬 2023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 모든 분들의 가정에 웃음과 행복이 가득하길 기원합니다.

 

그리고 새로운 지방시대를 열어가고 있는,

월간 《지방정부》의 창간 2주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지방 소멸과 지역 양극화 등이 시대의 화두로 떠오른 요즘,

우리 사회를 관통하는 메시지는 바로 ‘지방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월간 《지방정부》는 중앙과 지방정부를 연결하고

지방정부의 역할 등을 심도 있게 조명하며,

진정한 의미의 지방분권과 균형발전 실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방행정의 길잡이가 되어

지방의 현주소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지방정부가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 주시길 기대합니다.

 

민선8기 울산 중구도 ‘울산의 종갓집’으로서

지역 발전을 선도해나가겠습니다.

우선 인구 확충에 힘쓰겠습니다. 지방의 미래는 인구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저는 그 해답을 개발제한구역 해제에서 찾고자 합니다.

 

중구 면적의 절반가량인 그린벨트는 완화하고 해제해

스포츠타운과 주거가 복합된 대규모 산업단지를 만들어

정주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겠습니다.

 

또 태화강 국가정원 인근에 다양한 관광 인프라를 확충해 ‘체류형 관광도시’로 도약하고,

울산에서 가장 많은 23개의 전통시장과 상점가를 특화해

침체된 지역경제를 되살리겠습니다.

이러한 일련의 노력을 바탕으로 ‘누구나 살고 싶은 종갓집 중구’를 반드시 건설하겠습니다.

 

빛나는 미래를 향한 중구의 발걸음에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배너

발행인의 글


MG새마을금고재단, 청년 주거비 지원 '내집잡기 6기' 모집

MG새마을금고 지역희망나눔재단(MG새마을금고 재단)은 2023년 MG희망나눔 청년주거 장학사업 내집(Home)잡(Job)기 6기를 모집한다. 지원대상은 주거비 지원이 필요한 청년 100명을 대상으로 1인당 월 최대 25만원씩 6개월간 총 150만원 상당을 지원한다. 신청자는 소득 기준, 주거계약기준, 자기소개서 등 1차 서류심사, 2차 비대면 면접심사를 통해 최종 선발된다. 모집기간은 오는 3월 20일부터 4월 14일까지 약 한 달간 온라인 신청을 통해 접수되며, 자세한 사항은 MG새마을금고 재단 홈페이지 및 내집 잡기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차훈 MG새마을금고재단 이사장은 “청년주거 장학사업은 2018년부터 지속해 온 사업으로, 현재 청년들이 고물가 · 고금리 · 고환율 등 3고라는 어려운 여건에 설자리를 찾기가 쉽지 않다”고 밝히며, “청년들이 꿈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가장 확실한 투자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이사장은 "청년이 꿈과 포부를 가지고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MG새마을금고 재단이 늘 곁에서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헬싱키시 바닷물 이용 가정 난방사업 추진

핀란드 수도 헬싱키시가 바닷물을 이용해 가정 난방을 하는 지속 가능한 난방사업에 착수했다. 발틱해 해저까지 닿는 터널을 건설해 바닷물을 퍼 올린 다음 히트 펌프로 지역난방을 위한 전기를 생산한다는 복안이다. 현재 가동 중인 석탄발전소 2개 중 하나가 해수 이용 에너지 사업 기지로 바뀌고 석탄발전은 2024년 중단된다. 상온을 유지하는 심층 해저수를 끌어올려 히트 펌프로 재처리해 열을 생산하는 바닷물 이용 난방사업은 앞으로 2년 내에 사업계획을 구체화하고 5년 이내에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이 사업의 추정 사업비는 약 4억 유로(5,456억 원)이다. 헬싱키 최대 에너지 기업인 헬렌 오이(Helen Oy)가 스페인 건설사 Acciona SA, 지역인프라기업 YIT Oyj와 손잡고 이 사업을 시행한다. 헬렌 오이에 따르면 2021년에 헬싱키 지역난방의 75% 이상에 화석연료가 사용됐다. 시 당국은 앞으로 해수를 이용해 헬싱키 가구 40%의 난방을 해결하는 것을 1차 목표로 삼았다. 현재 대다수 헬싱키 가정은 석탄과 천연가스를 사용해 열과 전기를 생산하는 지구난방시스템으로 난방을 한다. 헬싱키 건축물 90% 이상이 이 난방시스템에 연결돼 있고 2개의 석탄 이용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