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호 친환경 하이브리드 선박 보령 앞바다에 떴다

 

국내 제1호 친환경 하이브리드 선박 '늘푸른충남호' 가 취항식을 열고 운항에 들어갔다. 

 

7일 충청남도에 따르면 보령시 대천항 관공선 부두에서 열린 취항식에 김태흠 충남도지사를 비롯해 조승환 해양수산부장관, 김동일 보령시장 등 400여 명이 참석했다고 밝혔다. 

 

늘푸른충남호는 6개 시군과 18개 도서지역 집하 해양쓰레기를 운반하기 위해 건조된 배로, 제작하는 데 국비를 포함 총 75억 원이 들었다고 충남도 측이 알렸다. 

 

늘푸른충남호는 해양쓰레기 육상 운반을 포함해 해양 환경 보존, 해양오염사고 방제작업 지원, 해난 사고 예방과 구조 역할도 수행한다. 

 

131톤 규모로 전장 32m, 폭 7m, 깊이 2.3m, 최대 13노트(24㎞/h) 속도로 운항할 수 있다. 최대 승선 인원은 25명, 최대 항속 거리 1,200㎞이며 전기추진기로는 최대 40분간 평균 6노트로 운항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인만큼 고속 운항 시에는 디젤기관을, 근거리 운행 시에는 전기 모터를 사용한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취항식에서 "전국 최초 친환경 하이브리드 선박을 선보여 깨끗한 해양 환경 만드는 데 앞서 나갈 것"이라며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충남의 노력은 유엔 공공행정상 수상 등 대내외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서해를 푸르게 지킨다는 사명으로 항상 안전하게 운행하기를 바란다"고 응원했다. 

 

취항식 이후 김태흠 지사와 조승환 장관이 어촌신활력증진 사업 대상지인 삽시도를 둘러보고 선상에서 정책 현안을 협의하기도 했다. 

 

김태흠 지사는 이번 자리를 통해 △ 글로벌 해양레저관광도시 조성 △ 최첨단 해양허브 인공 섬 조성 △ 구획 어업 낚시어선 구제 방안 △ 지방관리 무역항 시설 사용료 지방이양 △ 보령신항 개발계획 국가계획 수정반영 등 9개 도정 정책 현안과 핵심 사업에 대한 지원을 요청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이탈리아 대사, 경주시와 시칠리아 우호협력 관계 제안

경주시는 29일 주낙영 경주시장이 에밀리아 가토(Emilia Gatto) 주한 이탈리아대사를 청사 내 대외협력실에서 접견하고, 경주시와 이탈리아 도시 간 교류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접견은 오는 10월 경주에서 열리는 ‘2025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포스트 APEC 시대를 대비한 글로벌 도시 외교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주낙영 시장은 이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역사문화관광도시 경주를 찾아주셔서 진심으로 환영한다”며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경주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이탈리아 도시들과의 교류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양국 간 깊은 문화적 공통점을 바탕으로 문화·경제 분야에서 풍성한 결실을 맺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토 대사는 “경주는 긴 역사와 아름다운 문화유산을 간직한 도시로, 이탈리아 여러 도시들과 많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며 “특히 시칠리아의 아그리젠토(Agrigento)와 경주 간 우호협력 관계를 추진하자”고 제안했다. 또 “문화 교류와 인적 교류는 물론, 공동 사진전 개최나 양해각서(MOU) 체결 등 실질적인 협력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경주시는 1985년 이탈리아 고대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