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계족산 '황톳길 걷는 맨발의 청춘'

‘맨발의 청춘’. 왕년에 많이 들어보던 말이다. 맨발로 황톳 길을 걸으며 건강을 챙겨 청춘으로 돌리려는 곳이 있다. 대전 대덕구에 있는 계족산 황톳길이다. 계족산은 해발 429m로 닭계(鷄), 발족(足) 닭발처럼 생겼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황톳길로 유명한 계족산을 방문한 4월 16일, 산 입구에 도착한 시각이 오전 10시임에도 사람들로 북적였다. 차에서 내려 5분 정도 걸으니 계족산 입구 황톳길 등산로가 눈앞에 펼쳐졌다.  

 

등산로 한쪽에 발바닥 모양의 계족산 황톳길 설명 안내판이 있다. 임도(林道) 한쪽에 넓이 1.5m, 총길이 14.5㎞로 조성된 계족산 황톳길은 에코 힐링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있으며 연간 100만 명 넘게 찾는 곳으로, 해마다 ‘계족산 맨발 축제’도 열린다고 한다.

 


일행 5명 중 3명은 황톳길을 걷겠다고 신발과 양발을 가지런히 비닐봉지에 담아 등산 가방에 넣고, 나머지 2명은 등산화를 신고 걷기로 했다. 전날 비가 내려 등산하는 데 괜찮은 날씨였지만, 맨발로 황톳길을 걷기에는 약간 차가운 날씨였다. 맨발로 처음 황토를 밟는 순간 발바닥이 차갑게 느껴져 오싹하기까지 했다.

하지만 황토 특유의 부드러운 촉감이 발바닥을 행복하게 해주고 자동 발 마사지까지 받았다. 어릴 때 시골에서 황톳길을 많이 걸었지만, 맨발로 황톳길을 걸어가면서 발 마사지하기는 처음이다.

 

 

계족산 등산길에 만난 맨발 걷기 운동가 김영수 씨(60세)가 “맨발로 걸으면 발바닥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말초신경을 자극해 호르몬 활동에 도움을 주며 특히 황토에는 유효 미네랄이 풍부해 일부가 피부로 흡수되므로 기왕 맨발 걷기를 하려면 황톳길이 더 좋다”고 했다.    


일행 앞에 초등학교 저학년으로 보이는 아이들과 엄마, 아빠 한 가족이 황톳길을 걷고 있었다. 오누이로 보이는 아이들은 황토에 나란히 발 도장을 찍기도 하고 나비 모양도 만들며 가다 놀다 한다. 우리는 아이들의 발자국이 얼마나 귀여운지 밟지 않으려고 조심스레 걸었다.  

 

 

황톳길 발자국을 보며 ‘우리 인생길의 발자국은 어떤 모양일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황톳길 발자국처럼 눈에 보이지 않지만 세상을 살면서 모든 사람이 다른 사람들과 이런저런 인생 발자국을 남길 것이다.

내 인생에 가장 큰 발자국은 우리 부모님에 대한 그리움의 발자국과 불효의 발자국이다. 꼭 부모가 아니더라도 세상살이란 서로 간에 무늬 없는 발자국을 남기는 것이 인생이다. 서로 좋은 마음으로 발자국을 남기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한다.

 

계족산 황톳길을 걷다 보면 중간 중간에 발 씻는 곳이 있다.  10㎞ 지점 발 씻는 곳에서 정답게 서로 발을 씻겨주 는 부부를 만났다. 서울에서 왔다는 변재근 씨(57세) 부부는 결혼한 지 30년 만에 처음으로 서로 발을 씻겨주며 “내 마음속에 황톳길 사랑의 발자국 하나를 남긴다”고 말했다. 

 

 

계족산 황톳길 등산이 거의 끝날 무렵 조금 넓은 곳에 공연을 할 수 있는 작은 무대가 설치돼 있다. 등산 시즌이면 매주 휴일마다 오후에 공연이 열리는데, 운 좋게 우리가 내려오는 시간이 공연 시간이라 잠시 쉬면서 재미있게 공연도 관람할 수 있었다.   

 


등산하기 좋은 계절이다. 기왕 등산하려면 대전 계족산 황톳길을 맨발로 걷으며 건강도 챙기고 가족과 친구의 발을 씻겨주며 좋은 추억, 인생의 아름다운 발자국도 남겨보기를 권해본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숲체험 하며 우리들은 자라요” [초등생 현장학습]

㈔미래인재교육개발원이 진행하는 '2025 숲체험 현장학습'이 본격 시작돼 서울 등 도시 어린이들에게 다양한 자연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올해 현장학습에는 28개 초등학교 4,000 여명의 어린이가 참여한다. 이 현장학습은 4월 10일 서울 상현초등학교를 시작으로 10개 학교가 이미 참여했으며 5월에도 10개교가 참여하고 있어 높은 참여 열기를 보이는 가운데 숲체험 현장학습이 어린이들에게 본격적으로 생태 감수성을 키울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현장학습은 교육에 필요한 교재, 체험 재료, 간식이 제공되며 주강사 보조강사 지도 아래 안전하게 진행된다. ‘Feel Green, See Dream’이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되는 이 현장학습은 아이들이 자연 속에서 정서적 안정을 회복하고, 또래 친구들과의 협동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확장하며, 자신의 꿈을 탐색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프로그램은 자연물 탐색, 자연물 빙고 활동, 자연물로 꿈 표현하기, 플로깅(plogging) 등 다양한 체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업을 진행하는 ㈔미래인재교육개발원 관계자는 “숲은 아이들에게는 살아있는 교실”이라며 “그 초록의 교실에서 도시의 아이들은 꿈을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