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의 글

싸울 거면, 경제랑 싸워라

 

싸울 거면, 경제랑 싸워라
정치는 경쟁을 하는 데서 출발한다
정권을 잡기 위한, 즉 대선에서 승리하는 것이 최종 목표일 것이다


따라서 정쟁 또는 정치적 다툼은 정치인 본연의 모습일 수 있다
그럼 싸워서 정권을 잡으면 끝인가?


그 때부터가 새로운 시작이다
국민의 안위 그리고 먹고사는 경제를 해결할 책무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국민의 신뢰를 쌓으면서 다시 집권하는 선순환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 정치는 왜 선순환이 아닌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는 것일까?

현실은 암담하다, 국내외적인 환경은 그야말로 각종 리스크에 둘러싸여 있다
트럼프의 재등장도 우리를 포함, 전세계에 여간 어려운 문제가 아니다

정치가 싸울 일이 있으면 싸우되 민생경제로 싸우면 좋겠다


AI 국가대항전이 벌어지고 있는 지금, 선발 주자인 미·중 등은 저만치 앞서서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미래 성장을 위한 예산까지 지원을 아끼지 않는데, 
우리는 국회도 정부도 NATO (No Action Talk Only)이다

공부 잘하는 우등생은 더 잘 하려고 열심히 하는데 뒤처진 학생은 
책만 펴놓고 있는 격이니 우등생 근처에나 갈 수 있겠는가?


현실을 보면 국가 기간 전력망 확충, 국민연금 개혁, 저출산 고령화 대책,

중소기업 ·자영업자 지원, 의대 정원 조정 문제 등 풀어야 할 숙제가 너무 많다


이런데도 국민에게 피로감만 주는 생산성 없는 싸움을 계속할 건지, 안타깝기만 하다
최고의 경제 지도자가 대한민국에 분명 있었을 텐데,

 

정치싸움 잘 하는 곳에 표를 찍어준 국민이 벌받고 있는 듯 싶다

다음 정권에서는 지방을 포함 경제통 지도자가 뽑히길 바란다

그럼에도 현실에서는 제발 싸울 거면 민생 경제로 싸워야 한다


“국민이 많이 힘들어요”~
* 늘 감사하며, 12월 행복한 마무리하세요!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대전·충남 ‘통합 이익’ 주민에 다 돌아간다" [정재근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위원장]

계룡산이 겹겹이 두른 저 푸르름은 동쪽 대전을 물들이고 서쪽북쪽내포평야까지 이어지고 사방의 저 물소리는 한밭 땅을 휘돌고 충청 깊숙이 스며드니 이미 경계는 없고 같은 사투리 닮은 웃음, 충청인 듯 대전인 듯, 사람은 다 같은 사람 아닌가. 정재근 대전충남 행정통합 공동추진위원장의 말이다. 한국유교문화진흥원 정재근 원장은 오늘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간 공동위원장으로 만났다. 오랜 행안부 관료 생활이 이 자리로 이끌었고 정 위원장은 대전과 충남을 넘나들며 아래 윗사람 가리지 않고 의견을 듣고 전하며 통합에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다. 청주·청원 그리고 마창진 통합 실무를 지휘한 경험은 대한민국 공직자에겐 매우 드문 사례. 그래서 그는 ‘통합’에 적임이다. 국가개조라는 소명이 그를 이끌고 있다. 이제 통합 작업은 대선을 기점으로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그의 공직 생활의 나침반이 된 건 ‘I WANT TO BE A PERSON WHOSE PLACE HAS PROUD. 나는 내 고향이 자랑스러워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링컨의 말. 그 말은 그를 지방 공무원 헌신으로 인도했다. 이제 대전·충남통합은 정재근의 기쁨, 정재근을 낳은 논산의 자랑이

호주 노동委 “보육교사 등 50만명 임금 최대 35% 올려라”

호주 공정노동위원회(Fair Work Commission, FWC)는 여성 근로자들이 다수를 차지하는 직종에 대해 최대 35%의 임금 인상을 권고했다. 이 조치는 약 50만 명의 근로자에게 영향을 미치며, 특히 유아교육, 사회복지, 보건 및 약사 등 전통적으로 여성 비율이 높은 직군이 대상이다. 4월 발표되 이 권고는 단순한 임금 조정이 아닌 성평등 실현을 위한 역사적 전환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호주는 OECD 국가 중에서도 성별 임금 격차가 비교적 적은 국가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나, 여성 중심 직종에서의 ‘구조적 저평가’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었다. 2023년 기준, 호주의 성별 임금 격차는 13.3%였으며, 이는 여성들이 남성과 같은 일을 하더라도 연간 약 13,200 호주 달러(약 1,170만 원) 적은 수입을 가져간다는 의미다. FWC는 이러한 구조적 격차가 여성 다수가 종사하는 돌봄·복지 직종의 사회적 가치가 임금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보고, 성중립적 평가 대신 ‘성인지적 가치 평가’를 적용한 최초의 판결을 내렸다. 여성 중심 산업의 임금 인상 배경 이번 결정은 2022년 알바니지(Albanese) 정부가 도입한 ‘공정노동법(Fa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