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또다시 당대표 선출을 끝내자마자
정쟁의 기류로 빠져들고 있다. 국민은 똑똑히 안다.
지금의 당대표 자리는 국민을 위한 자리가 아니라,
권력 다툼의 전초전일 뿐이라는 사실을.
수십 년 동안 당대표 선출 방식은 변해왔다. 대의원 비율을 줄이고,
권리당원·여론조사를 확대한다며 “민주적 운영”을 외쳤다.
그러나 결론은 언제나 똑같았다. 국민의 민생은 뒷전이고,
여야가 서로를 향해 칼만 빼드는 정치판이었다.
존 듀이가 말했듯, “민주주의는 선거일 하루가 아니라
매일의 생활 속에서 구현되어야 한다.”
지금 여야 정치권의 모습은 이 말을 정면으로 배반한다.
국민이 원하는 건 싸움 구경이 아니다. 내 삶이 달라지는 정치다.
국민 대다수는 지금 지쳐 있다.
물가가 치솟아 장바구니는 가벼워지고,
청년은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노인은 고독과 빈곤에 시달린다.
지방은 인구가 빠져나가 소멸 위기. 폭염에 폭우까지.
정치가 진정 챙겨야 할 것은 바로 이런 삶의 현장이다.
국민의 분노는 단순한 불평이 아니다. 이제는 절규다.
여당 정청래 당대표에게 묻는다.
“힘으로 밀어붙여 국민 목소리를 짓누르려는가?
그러다 민심은 더 크게 돌아선다.”
야당 장동혁 당대표에게 묻는다.
“투쟁만 외치며 정권 심판에만 매달릴 건가?
그 사이 국민의 삶은 누가 책임지나?”
정치는 권력의 전쟁이 아니라 국민의 삶이다.
싸우려거든 권력으로 싸우지 말고,
국민의 고통을 해결하는 데서 싸워라.
* “국민은 어째요? 정치가 뭐 이래!”
이 말은 푸념이 아니라 경고입니다
[지방정부티비유=이영애 발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