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신개념 주택 ‘패시브 하우스’. 《월간 지방자치》에서도 패시브 공법으로 지은 주민센터를 소개한 적이 있다. 한겨울에 난방을 하지 않아도 평균온도를 20℃로 유지하고 난방비는 일반주택의 10분의 1 수준이지만 건축비가 만만치 않다. 패시브 하우스가 아니더라도 내 집에서 겨울을 따뜻하게 날 수 있는 몇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쥐꼬리만 한 월급을 받는 직장인들은 한겨울 추위에도 집에서 오들오들 떨고 있어야 한다.
귀신보다 더 무섭다는 가스요금 고지서를 보고 뒷목을 잡아본 적이 있다면 겨울철 난방비 아끼는 몇 가지 방법을 숙지해두고 실천해보자.
솔솔 새는 바람, 창문단속은 철저히
창문에 일명 ‘뽁뽁이’만 잘 붙여도 실내공기가 따뜻하게 유지된다. 실제로 유리창으로 열 손실이 가장 많이 일어난다. 요즘은 디자인이 첨가된 뽁뽁이도 나와 인테리어 효과도 얻을 수있다. 가격대비 효과가 높고, 쉽게 붙였다 뗄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는 방법중 하나다. 꼭 뽁뽁이가 아니더라도 바람을 막을 수 있는 두꺼운 커튼이나 창문 틈새에 붙일 수 있는 문풍지, 단열스프레이도 효과가 좋다. 요즘은 침실에 설치할 수 있는 작은 사이즈의 난방텐트도 인기를 끌고 있는데, 외풍을 막기에도 좋고 아늑해 잠도 잘 오는 1석 2조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보일러 관리만 잘해도 절약
겨울철 장시간 외출 시에는 동파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온도조절기는 ‘외출’로 맞춰놓는 것이 좋다. 보일러는 차가워진 바닥을 다시 데우기 위해 많은 연료를 쓰기 때문에 난방비 폭탄을 맞을 수 있다. 잠깐 외출하는 경우에는 평소보다 2~3도 더 낮게 보일러를 설정해두 자. 보일러를 틀어도 따뜻하지 않다면 배관을 청소해주는 것이 좋다. 배관청소는 전문업체에 의뢰해 2~3년에 한 번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에 카펫이나 담요를 깔아 따뜻해진 바닥 열을 유지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보일러를 틀 때 가습기를 같이 사용하면 내부습 도가 높아져 빨리 따뜻해지고 공기가 열을 오래 간직하기 때문에 난방효과가 더 좋다.
수도꼭지는 항상 차갑게
수도를 사용한 뒤에는 냉수가 나오는 방향으로 수도꼭지를 돌려놓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좋다. 온수를 소량만 사용해도 보일러가 작동하기 때문에 무심코 다음 사람이 들어와 물을 틀었을 때 보일러가 가동되는 일을 막을 수 있다. 사소한 행동이지만 조금씩 새는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좋은 습관이 될 수 있다.
내복, 양말, 목도리는 내 몸처럼
넉넉하고 긴 옷을 입는 것만으로도 체온이 유지된다. 넉넉한 옷을 입으면 옷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해 체감온도를 높일 수 있다. 실내에서 반팔 반바지를 입는 것보다 긴 옷을 입거나 양말을 신고, 얇은 머플러를 두르고 있으면 체감온도가 최고 2.2도까지 올라간다. 전기장 판이나 온수매트 등을 사용해 체온을 유지해주는 것도 중요하다.
난방비를 절약하는 것도 좋지만 너무 꽁꽁 싸매고 있으면 건강에 좋지 않다. 아무리 날씨가 추워도 하루에 한두 번은 환기를 시키고 실내습도를 유지해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감기같은 호흡기 질환에 걸리지 않는 방법이다. 평소 생활습관을 바꾸고 보일러를 잘 관리해두면 불필요하게 새는 난방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남은 겨울, 따뜻하고 알뜰하게 지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