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의 글

이번에는 매듭을···

이번에는 매듭을···

 

우리는 가끔 노블레스 오블리주 (Noblesse oblige)라는 말을 들먹이곤 한다.

“귀족은 의무를 갖는다”라는 뜻의 프랑스어 표현으로 보통 권력, 명성은

그에 따르는 책임과 의무가 있다는 뜻이다.

지금 우리 국민들은 다시 이 말이 떠오를 것이다.

우리 사회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어디로 가고 없는가?

 

최대 현안이 된 의사 확충을 위한 의과대학 정원 증원 여부가 국민을 절망케 하고 있다.

1998년 3,507명이던 의대 입학 정원이 의약분업 추진으로 인한 총파업을

수습하는 차원에서 2003년, 2004년, 2006년 세 차례에 걸쳐 3,058명으로 ‘축소’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간 소득 수준 향상과 인구 고령화에 따라 의료 서비스의 수요가 늘어난 것에 비하면

의사 수가 부족한 것은 논란의 여지가 없다.

그래서 응급실 뺑뺑이, 소아과 오픈런이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이며 지방자치는

오래전부터 “지역 간 의사 불균형 분포” 등 필수 의료가 붕괴됐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의사 수는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이다.

 

2020년 급박했던 코로나19 때도 의사 정원 확대 시도는 의료계의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국민의 의대 정원 확대 찬성 76%, 반대 16%라는 한국갤럽의 여론조사 결과에 반해

의사들은 의대 정원 확대 반대가 압도적으로 우위이다.

 

조선시대 경주 최 부자 이야기, 제주도 거상 김만덕, 독립운동가 우당 이회영 등 우리 역사에도 자랑스러운 실천가들이 있었다 (가진 자가 그 사회, 또 이웃에게 베풂과 상생 정신).

지금은 어떤가?

 

정치 지도자, 재벌 대기업 총수, 각계의 초엘리트들이 무엇을 보여주고 있는가?

‘모두의 반성과 성찰이 요구된다.’

의대 정원 확대 문제가 잘 매듭지어지기를 기도한다.

정부는 의료진과의 충분한 소통과 협의를 통해 해결하기 바란다.

서로 ‘막’ 가지 말기를 국민은 요구하고 있다.

 

의료계와 정부는 국민의 건강권을 존중하고 국민의 여론을 근거로 서로의 권력을

내려놓고 국민을 위한 엘리트의 모습을 보여주기 바란다.

또다시 갈등만 키우고 문제는 남아 있는 상황의 반복은 안 된다.

 

**노블레스 오블리주 실천을 박수 치고 싶다.

 

 

배너

발행인의 글


평창군, "2024 평창 더위사냥축제" 26일 개막

올해 10회째를 맞는 평창더위사냥축제는 이전보다 더 큰 규모로 행사시설과 편의시설을 증설하며 관광객 맞이 준비를 마쳤다. 특히 올해는 10주년을 맞아 기존 물놀이 프로그램 외에도 ▲페달보트 ▲땀띠공원을 누비는 셔틀 로드기차 ▲물풍선 던지기 ▲물풀장 튜브 싸움 ▲산신령 버블탑 ▲10주년 기념 불꽃놀이 등 신규 프로그램으로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즐거움과 추억을 선사할 예정이다. 더불어 꿈의 대화 캠핑장 운영, 광천선굴 트랙터 체험, 땀띠공원 땀띠물 오래 참기 등 주변 관광자원과 연계한 행사와 행사장 곳곳에 20여 개의 먹거리 부스가 준비되어 다양한 즐길 거리와 함께 다채로운 축제를 즐길 수 있다. 심재국 평창군수는 “궂은 날씨에도 평창더위사냥축제 성공을 위해 지역주민이 한마음으로 행사 준비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안전하고 시원한 평창더위사냥축제장에서 가족, 연인, 친구와 함께 즐거운 추억 만드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G20 17개국 국민 68% 부유세 도입 찬성...한국은 찬성률 71%, 반대는 10%에 그쳐

인류가 당면한 현안 문제 해결을 위해 만들어진 국제기구 ‘로마클럽’이 주도하는 지속가능 성장 프로젝트 '어스포올'(Earth4All)과 여론조사기관 입소스는 6월 24일 G20 18개국 설문조사에서 17개국(중국 제외)에서 부유세 찬성 의견이 3분의 2를 넘었다고 밝혔다. 이 설문조사에서는 G20 국가 중 18개국에서 각각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부유세와 기후변화 등을 포함한 경제 및 정치적 변화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17개국 국민의 68%가 경제와 생활방식의 주요 변화를 위한 재원 마련을 위해 부유층에 부유세를 부과하는 것에 찬성했다. 반대는 11%에 그쳤고, 70%는 부유층에 대한 높은 세율을, 69%는 대기업에 대한 세율 인상을 지지했다. 단 중국에서는 일부 질문이 제외됐다. 한국의 부유세 지지율은 71%로 17개국 평균보다 3%포인트 높았고, 인도네시아(86%), 튀르키예(78%), 영국(77%), 인도(73%)에 이어 5번째로 높았다. 반대의견은 10%였고, 찬성도 반대도 않는다는 의견이 17%, 모르겠다는 응답은 2%였다. 부유세 찬성률이 낮은 나라는 사우디아라비아(54%), 아르헨티나(54%), 덴마크(55%) 등이었으나 이들 국가도 찬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