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사례

미국 LA시의회, 2028 올림픽 앞두고 관광업 종사자 최저임금 인상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의회는 관광업 종사자들의 최저임금을 오는 2028년까지 시간당 30달러로 인상하는 내용을 담은 ‘올림픽 임금(Olympic Wage)’ 조례 개정안을 작년 12월 11일 통과시켰다.

 

이 조례로 최저임금 인상을 적용받게 된 대상은 LA시 관할지역 내 객실 수 60개 이상을 갖춘 호텔에서 일하는 객실 청소부와 데스크 직원,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LAX)에서 근무하는 터미널 및 항공기 청소부, 경비원, 기내식 업체 종업원 등 3만6,000여명이다.

 

인상안이 통과됨에 따라 이들은 올해 7월 1일부터 22.50달러로 인상된 시간당 임금을 받게 됐다. 또 2026년까지는 25달러, 2027년까지는 27.50달러, 2028년까지는 30달러로 인상된다. 그 외에도 근로자들은 의료 수당도 기존의 주당 5.95달러에서 주당 8.35달러로 인상됐다.

 

이 조례는 오는 2028년 로스엔젤레스에서 개최 예정인 하계 올림픽의 개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급등하는 집값에 대처하기 위해 내려진 조치 중 하나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2028년까지 일자리 늘어날 것”

 

마퀴스 해리스-도슨(Marqueece L. Harris-Dawson) LA시의회 의장은 “누구도 LA에서 정규직으로 일하면서 집값을 감당하지 못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발표했다.

 

이스트사이드(Eastside) 지역구의 이사벨 후라도(Ysabel Jurado) LA시의원은 관광업 임금 인상으로 인한 경제적 혜택을 강조했다. 그는 “이 조례를 통해 근로자들이 지역 전체에서 더 많은 돈을 쓰도록 유도할 것이며, 결과적으로 수천 개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촉진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저임금 근로자를 지원하면 그들은 우리 경제에 기여하고 도시를 강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LA시의회에 자문을 위해 출석한 UC버클리의 경제학자 데이비드 롤랜드-홀스트(David Roland-Holst) 교수는 “임금 인상은 궁극적으로 경제 성장을 위한 강력한 도구가 될 것이다”며 “2028년까지 LA에서 정규직 일자리 6,000개를 창출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캘리포니아 어디에서도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대량 해고의 실증적 증거를 보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2025년 대한민국 최저임금 1만30원

 

한편 올해 대한민국에서 적용되는 최저임금은 작년(9860원)보다 1.7% 오른 시급 1만30원이다. 이번 인상률은 역대 두번째로 낮은데다,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 2.6%에도 못미친다.

 

나원준 경북대 경제학과 교수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물가상승률에도 미치지 못하는 최저임금 인상은 저임금 노동자들을 버리겠다는 것이다”며 “실제 생계비와 최저임금 격차가 너무 큰 것도 문제다”고 밝혔다.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경기주택도시공사, 연천BIX 산업시설용지 7필지 공급

경기주택도시공사(GH)는 경기도 연천군 '연천 BIX (Business & Industry Complex)' 내 산업시설 용지를 공급한다고 17일 밝혔다. 식료품 제조업을 대상으로 총 7필지를 공급한다. 공급가격은 필지별로 최소 9억 7,429만 3천 원에서 최대 22억 7,249만 9천 원이다. 이달 27일∼28일까지 접수하고, 연천군의 입주 심사를 거쳐 4월 14일 입주대상자를 선정한다. GH와 연천군이 조성하는 연천 BIX는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통현리 273-4 일원에 60만㎡ 규모로 조성되는 산업단지로 전철 1호선, 수도권 제2외곽순환도로, 구리-세종 고속도로 등 우수한 광역교통 기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분양가격인 조성원가는 3.3㎡당 84만3809원으로 인근 산업단지 대비 저렴하고, 각종 투자 인센티브 · 중소기업 정책자금 및 보증지원, 국세 및 지방세 감면 등 다양한 혜택도 눈여겨볼 만하다. 또 유네스코가 인증한 생물권 보전지역, 세계지질공원 등 임진강, 한탄강이 세로축과 가로축을 이룬 풍부한 수계자원을 갖춰 '그린바이오산업 클러스터'로서의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도 나온다. 공급 관련 세부 사항은 GH 홈페이지(www.gh.or.kr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