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남지 않은 공무원퇴직, 어떻게 준비하고 있나? 본지는 제2의 인생을 보다 안락하고 행복하게 보내려는 워킹시 니어들을 위해 새롭게 생겨나고 있는 신규직업을 소개한다.
정리 양태석 기자 출처 《2015 직종별 직업사전》
도시재생 전문가

쇠퇴하는 도시의 지역역량 강화 및 새로운 도시기능 도입 등을 통해 도시의 정체성을 보존하면서 경제, 사회, 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도시재생 계획을 수립하고 지원한다.
정부, 지자체, 기업 등의 도시재생 컨설팅 의뢰를 받고 역할과 권한을 위임받는다. 도시재생 사업 대상지역을 탐방해 지역의 역사, 문화, 도시기능적 특징, 생태 자원, 고유한 환경, 인문학적 특징 등 도시재생을 위한 지역적 자산, 지역 내 사회적 관계(갈등사안, 주민의 요구, 이해 관계 등) 등을 조사한다. 지역의 비전,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삶의 질 향상 방안, 자립적 선순환 환경시스템, 지역경쟁력 강화, 생태자원의 활용, 인문학적 자산의 활용 등을 기획하고 도시재생 마스터플랜을 작성해 보고한다. 도시재생 사업이 추진되면 공공및 민간분야의 여러 사업주체에게 도시재생 기법에 대한 지식을 제하고 중재자 역할을 수행한다. 사업추진 중에 발생하는 갈등을 조정하기도 한다.
빌딩정보모델링 전문가

각종 건축물 및 관련 설비의 정보를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빌딩정보모델링) 기술을 사용해 3차원 모델링 작업을 수행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계 및 시공, 유지관리의 최적화에 필요한 정보를 분석·제공한다.
건축, 토목, 플랜트 등의 설계 실무자와 협업해 프로젝트를 구성한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빌딩정보모델링)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3차원 모델링 작업을 한다. 설계 또는 레이아웃 변경, 정보수정 등의 업무를 진행해 3차원 모델과 정보를 갱신한다. 건축물의 설계과정에서 3차원 시뮬 레이션을 통해 설계의 적합성을 검토한다. 공법에 따른 시공성을 사전에 검토하고 3차원 BIM에 의한 사전 테스트 시공을 하면서 시공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나 이상 여부를 점검 한다. 건물 생애주기 중 건축재료 및 시설장비 등의 교체시기, 이력관리 등 유지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개발하고 유지관리에 필요한 예산수립, 설계변경, 건축물 가치평가 등에 활용한다.
스마트헬스케어기기 개발자

스마트헬스케어 서비스에 사용되는 액세서리나 웨어 러블기기(건강측정기, 활동량계, 모바일 혈압혈당계 등)를 개발한다.
서비스 수요자가 선호하는 디자인, 편리성, 기능, 착용형태 등을 분석한다. 서비스기획서에 따라 개발할 기기의 착용방법, 형태, 무게, 용도, 사용환경, 소재, 기능 등을 파악한다. 센서, 부품, 전원, 네트워크 기능, 디자인 등을 고려해 제품을 설계한다. 목업(제품 디자인 평가를 위해 만들어 지는 실물크기의 모형)을 제작해 디자인을 검토·수정 한다. 시제품을 제작하고 정확도평가, 신뢰도평가, 사용환경 테스트(실험실에 실재 사용환경을 구성하고 사용환경을 가속시키는 테스트)를 실시한다. 어플리케이 션과 통신으로 연결해 작동테스트를 한다. 기존 제품의 펌웨어, 추가기능 등을 업데이트하기도 한다.
입체(3D)프린터 개발자
3D프린터(컴퓨터 디자인 프로그램으로 만든 3차원 도면을 바탕으로 실물의 입체모양을 만드는 기계)를 개발한다.
기존 3D프린터를 분해·조립해 내부구조를 파악하고 관련자료를 연구한다. 개발할 3D프린터의 기능, 출력물의 크기, 활용분야의 요구사항, 필라멘트(출력물의 재료가 되는 플라스틱 수지)의 재질, 직경 등을 결정 한다. 설계프로그램을 사용해 구동부(3축으로 노즐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구동장치, 제어장치, 센서, 스위치 등)를 설계한다. 노즐의 직경, 사용재료의 특성, 가열부를 연구·설계한다. 구동부 제어회로, 센서회로를 설계한다. 제품을 구동시키는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를 개발한다. 각 부분의 설계가 완성되면 부품별로 제작하거나 제작을 의뢰한다. 시제품을 제작하고 테스트를 실시해 수정·보완한다. 기계가공, 회로제작 등 부품의 양산을 진행하고 조립공정을 개발한다.
디지털광고게시판 기획자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이용한 광고 게시판(Digital Signage)을 기획·개발한다.
고객과 상담해 광고·홍보 목적, 요구사항 등을 파악한다. 설치환경, 표출될 콘텐츠의 내용,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방수, 내한, 내열, 내구성, 시안성, 조작성, 화면크기, 디스플레이 방법과 종류, 프레임, 통신장치 및다양한 부가기능(음성인식, 블루투스, 모션인식, 터치 기술, 스피커 등)을 기획한다. 콘텐츠(사용자 환경, 화면, 애니메이션, 플래시, 영상, 동작, 부가기능의 구현 등)를 기획한다. 기획안을 작성하고 고객과 상담해 수정·확정한다. 기획에 따라 하드웨어와 콘텐츠의 제작을 의뢰한다. 하드웨어와 콘텐츠가 제작되면 시제품을 제작하고 운영프로그램(네트워크에 연결해 광고내용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을 설치한다.
시제품을 테스트하고 수정·보완한다. 현장에서 설치를 지휘·감독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