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민간 산후조리원 2주 이용 평균 비용이 491만 원, 최고 4,020만 원(2025.6. 기준)에 달하는 가운데, 서울시가 이용 부담을 낮추고 서비스를 높인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을 시범 운영한다.
시는 2026년 민간 산후조리원 5개소를 공모해 상반기 중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을 시범 가동할 계획이다. 이후 운영 결과를 분석하고 보완을 거쳐, 2027년부터 서울 전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참여 시설은 서류심사, 현장실사, 심의위원회를 거쳐 선정되며, 공공 운영 기준을 준수하도록 협약을 체결하게 된다.
지자체가 직접 설치하고 운영하는 공공 산후조리원과 달리,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은 민간이 주체가 되어 시와 협약을 맺고 운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서울시는 현재 서울 시내 산후조리원 산모실(총 1,964실)이 출생아 수에 비해 과잉 공급된 상황을 고려해, 공공과 민간이 상생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대안으로 본 모델을 설계했다.
서울에 거주하는 산모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취약계층과 다자녀 산모에게는 우선 입소권이 주어진다. 서울시는 민간 조리원 이용이 어려운 계층의 입소 기회를 보장하면서도, 모든 산모가 공정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 방침을 마련할 계획이다.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은 2주 기준 390만 원의 표준요금을 적용하며, 산모는 250만 원을 부담하고 나머지 140만 원은 서울시가 지원한다. 다자녀 가구와 한부모 가정은 50%, 저소득층은 전액 감면 대상이다.
2025년 6월 서울시 조사에 따르면, 민간 산후조리원 평균 이용료는 491만 원, 중위 요금은 390만 원(최저 280만 원~최고 4,020만 원)으로, 서울형 조리원은 평균의 절반 수준 비용으로 이용 가능하다.
시는 이 사업을 통해 산모 회복은 물론 신생아 돌봄 역량까지 높이는 표준화된 산후조리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입소 전 출산 준비 교육(2회 이상)을 이수하고, 이후 모자동실, 모유 수유, 산후 운동, 유방·전신 관리 등의 회복 프로그램과 함께 신생아 돌봄 교육 및 건강관리 서비스가 보건소 연계로 제공된다.
시는 감염 및 안전관리 기준에 따라 기존 시설을 개선할 수 있도록, 조리원 한 곳당 최대 5,000만 원의 시설개선비를 지원한다.
해당 예산은 ▴신생아실 환기시설 보강과 집중관리실 운영 ▴대소변 처리 격리시설 설치 ▴장애인 산모실 마련 등에 활용되며, 이와는 별도로 감염병 예방을 위한 세부 프로토콜도 마련해 산모와 신생아가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머물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