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슴 쓰림, 답답함, 속 쓰림, 목에 이물질이 걸린 듯한 느낌은 위-식도 역류병의 대표적인 증상이다. 불규칙한 식사와 기름진 음식, 카페인 음료, 비만 등이 원인인 위-식도 역류병을 방치하면 식도 출혈이나 식도가 좁아지는 합병증이 생기기도 한다.
기획 편집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위-식도 역류병 환자가 2009년 256만8000명에서 2013년 351만 9000명으로 37% 증가했다고 밝혔다. 남성보다 증상에 민감해 병원을 더 많이 찾는 여성의 발병률이 약 1.3배 높았고, 나이가 들어 식도 기능이 약화되고 사회생활을 하며 스트레스와 과식, 야식 같은 잘못된 식습관, 음주, 흡연, 운동부족 등으로 인해 40대 이상의 고연령층에서 많이 나타났다.
위-식도 역류병이란 위산이나 위 내용물이 식도 내로 역류하여 식도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가슴 쓰림이나 산역류 같은 불편한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를 말한다. 위내시경을 통해 위-식도 역류병을 진단하는데 내시경에서 식도 하부에 미란이나 궤양이 있은 경우를 역류성 식도염 또는 미란성 역류질환이라고 한다. 그러나 증상과 내시경 소견이 항상 일치하지는 않으며 전형적인 증상이 있으나 내시경에서 식도염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를 비미란성 역류질환이라고 한다. 또한 증상이 없으나 내시경에서 식도염이 관찰되는 경우를 무증상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한다.
‘위-식도 역류병’의 대표적인 증상은 가슴 쓰림과 역류증상이다. 가슴 쓰림이란 흉골 뒤쪽이 타는 듯한 증상이지만 환자의 증상에 대한 표현 자체가 주관적이기 때문에 ‘뜨겁다, 쓰리다, 아프다, 화끈거린다, 더부룩하다’ 등 여러 가지 말로 증상을 호소한다.

역류증상은 위산이나 위 내용물이 인후부로 역류하는 현상을 말하며 신물이나 쓴물이 올라온다는 표현을 자주 한다. 한편 비전형적인 증상으로 만성기침, 목의 이물감, 쉰 목소리, 흉통, 기관지 천식이나 후두염 등의 증상이 있다. 당장 생명에는 지장이 없다고 위-식도 역류병 증상을 무시하면 식도 점막을 손상시켜 궤양과 출혈을 일으키며 심한 경우 식도암으로까지 번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치료제로는 위산분비를 강력히 억제하는 양성자펌프억제제가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약물이며, 증상에 따라 4~8주 정도 투여한다. 그러나 증상이 심한 환자에게는 좀 더 지속적인 산 억제 치료가 필요하다.
한편 치유된 후에도 약을 끊으면 높은 재발률을 보인다. 이는 치료제가 위산분비를 억제하여 식도의 염증을 개선시키지만 병의 근본적인 원인을 없애는 것은 아니기 때문으로 재발방지를 위해서는 생활습관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
위-식도 역류병의 예방법
• 운동과 식이요법을 통해 체중을 줄인다
• 꽉 끼는 옷을 입거나 복압을 증가시키는 행위는 피하는 것이 좋다
• 음주와 흡연은 줄인다
• 취침 전 음식 섭취를 피하고 식후 2~3시간 이내에는 눕지 않는다
• 기름진 음식이나 탄산음료, 카페인 음료는 자제한다
• 잘 때는 상체를 높여 주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