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을 비롯한 다양한 SNS와 수없이 많은 언론에서 다룬 뜨거웠던 이슈나 유머스러운 이야기 중 공직자들이 꼭 챙겨봤으면 하는 글들을 소개한다.
기획 편집부
세계 역사학자 187명 집단 성명 “日, 역사적 사실 왜곡 말고 인정하라”

지난 5일 미국, 유럽, 호주 등 전 세계 아시아 역사 및 일본학 전공 역사학자들은 ‘일본의 역사가들을 지지하는 공개서한’이라는 제목으로 성명을 냈다. ‘히로히토 평전’으로 퓰리처상을 수상한 허버트 빅스 빙엄턴대 교수, 에즈라 보걸 하버드대 교수, 존 다우어 MIT 교수, 브루스 커밍스 시카고대 교수, 피터 두스 스탠퍼드대 교수 등 저명한 세계 역사학자 187명이 참여했으며, 성명의 내용은 아베 정부에 일본군 강제동원 위안부 과거사 왜곡 중단 및 역사적 사실 인정을 촉구하는 내용으로 큰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187명의 역사학자들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민족주의적 목적 때문에 악용하는 일은 국제적인 문제 해결을 어렵게 하고 피해 여성의 존엄을 모독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또 “일본이 식민통치와 전시만행의 과거사 문제를 말과 행동으로 해결함으로써 리더십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말하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아베 총리의 결단력 있는 행동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또한 역사학자들은 일본의 과거 잘못 인정은 한·중·일 세 나라의 관계를 증진시킬 뿐 아니라, 전 세계의 양성평등을 위해 역사적 발걸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프 킹스턴 미국 템플대 도쿄 분교의 아시아학 소장은 일본의 역사학자와 저널리스트들이 일본정부로부터 정부를 비난하지 말라는 압력을 받고 있는 시기에 나온 이번 성명에 대해 “공정하고, 균형 잡혀 있으며, 말해야 할 필요가 있는 어떤 것”이라며 의견을 피력했다.
한편, 일본 근대산업시설 세계유산 등재가 유력하다고 전해지고 있다. 근대산업시설들은 강제징용시설로 알려져 또 한 번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결정은 6월말 결정될 예정이다. SNS에서는 일본의 역사 왜곡이 하루 이틀 일이 아니지만,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는 이야기가 오가고 있는 중이다.
헐크, “한국으로 이사 가고 싶다!” 한국사랑 표현해 눈길 끌어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The Avengers: Age of Ultron)이 1000만 관객을 훌쩍 넘어섰다. 2014년 서울에서 어벤져스 촬영을 했다고는 하지만, 가히 그 인기가 예상을 뛰어넘고 있다.
어벤져스를 본 관객들은 대부분 엄지를 치켜세우고 있다. 우리나라 도시 서울이 영화 속 배경으로 나오기 때문에 또는 한국의 여배우가 출연하기 때문에 인기가 있는 것이 아니라, 영화 자체가 잘 만들어졌다며 영화를 본 관객들 대부분이 좋은 평점을 주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어벤져스 캐릭터 그 누구보다 인기를 끌고 있는 사람이 있다. 아이언맨도 아닌, 토르도 아닌, 캡틴 아메리카도 아닌, 바로 헐크다.
헐크를 맡은 배우는 마크 러팔로로, 비긴 어게인에서 키이라 나이틀리와 열연해, 한국 팬들의 사랑을 듬뿍 받은 적이 있다.
지난 3월 말 어벤져스 홍보차 한국을 내한했던 마크 러팔로는 미국 ABC ‘라이브 위드 캘리 앤 마이클’에서 한국을 방문한 에피소드를 털어놨다.

마크 러팔로는 이날 방송에서 “한국과 중국을 방문했는데, 한국에 가서 비틀즈의 인기를 실감했다. 한국에 내 팬이 굉장히 많다. 그렇게 말할 수 있다”고 말하면서 즐거워했다. 또 “내가 어떤 행동만 해도 한국 팬들은 소리를 지르고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며 “미국에서는 누구도 나한테 그러지 않는다. 집에서도 마찬가지다. 한국으로 이사 가고 싶다”고 한국에 대한 사랑을 과감하게 표현해 누리꾼들의 환영을 받고 있다.
SNS에서는 헐크가 우리나라로 이사만 와준다면, 본인의 집을 내주겠다는 누리꾼이 등장해 웃음을 선사하고 있다.
헐크 역을 맡은 마크 러팔로는 한때 뇌종양으로 인한 안면마비를 앓았었다고 전해지면서,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진정한 히어로의 탄생이라는 훈훈한 소문이 퍼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