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원픽

[요즘 트렌드] 진화를 스스로 디자인하는 존재 넥스트 휴먼, 돌연변이!



우리의 몸은 크로마뇽인에서 진화를 멈췄을까? 아니면 새로운 존재로 넘어가는 중일까? 과연 미래 인간은 어떤 모습이 될까? 인류는 끊임없이 돌연변이를 만들어내고 있다. 우리 모두는 돌연변이로 태어났음을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도록 하자.


기획 오진희 기자



혹독한 야생에서 생존하기 위해, 찬란한 문명을 건설하기 위해 인류의 몸은 끊임없이 환경에 적응하며 진화해 오고 있다. 또한 21세기, 인류는 첨단 의학과 유전자 기술로 ‘몸의 역사(The History of Your Body)’를 새로 쓰고 있다. 자연선택의 법칙을 따르지 않고, ‘진화를 스스로 디자인하는 존재’가 된 것이다.


지난 9월 3일부터 KBS1 채널에서 방영된 사이언스 다큐멘터리 ‘넥스트 휴먼’ 영상을 통해 인류는 끝없이 새로운 돌연변이를 만들어 냈으며, 질병과 수명에 구애받지 않게 되었고, 뇌와 컴퓨터를 연결해 신체 능력을 무한히 확장시키는 새로운 존재가 되었음을 확인해보자.

 


프리젠터로 나선 《뇌》와 《개미》의 저자인 베르나르 베르베르 작가의 설명을 들으며 1편부터 4편까지 함께 따라가 보도록 하자.


“저는 우리가 어디에서 왔는지 알고 싶어요. 어떤 존재가 될 것인지도요.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던 인류의 역사에 대해 들려드리겠습니다.” - 베르나르 베르베르


1편 ‘돌연변이의 탄생’에서는 문명과 함께 진화해 온 인류의 역사를 바꾼 돌연변이 유전자를 찾아나서고 있다. 지구상의 몇 남지 않은 원시부족인 코이산 족의 거대한 엉덩이는 영양저장소의 역할을 한다. 둔부비대증 돌연변이는 생존을 위한 것. 이들은 아프리카 칼라하리 사막에서 시속 70km로 달리는 사냥감이 지쳐 쓰러질 때까지 따라가 사냥감을 포획한다. 음식도 먹지 않은 채 150km를 걸을 수 있는 것이다.

호모에렉투스 화석 기록을 보면 엉덩이 근육이 언제부터 커지기 시작했는지 알 수 있다. 큰 엉덩이는 인간이란 종의 출현을 알린 거대한 변화였고, 두 손에 자유를 주었다. 허리를 곧게 펴자 발성기관의 변화로 목소리를 갖게 되었고, 언어를 가지게 된 것이다. 야생의 초원 위에 거대한 문명을 세우고 지구상에서 약한 몸으로 가장 강한 존재가 된 것이다.

 


1편에서는 칭기즈칸의 세계 정복 비밀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고 있다. 칭기즈칸이 대제국을 세울 수 있었던 까닭은 바로 말젖 때문이었다. 당분해 유전자인 우유돌연변이를 가졌던 칭기즈칸은 전 세계 500여명의 아내와 수많은 여자를 거느리고 자식을 낳았다. 우유 돌연변이를 가진 사람의 생식력은 19%나 높다고 한다. 20여년의 정복 기간 동안 칭기즈칸의 유전자는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전 세계 남자의 0.5%, 즉 200명 중 1명은 칭기즈칸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바로 문명의 젖줄이 전 세계로 퍼져나간 것이다.


2편 ‘크로마뇽인’에서는 현대판 크로마뇽인인 타라후마라 인디언의 멸종 위기와 심장병(당뇨, 암)에 면역된 새로운 인류의 실체를 추적하고 있고, 카나리 제도의 거인 관체스 족과 마야 인들이 왜 멸종했는지를 추적하고 있다. 또한 농업혁명, 산업혁명, 정보혁명에 이르면서 우리의 몸은 어떻게 변화했는지 그리고 암, 비만, 알레르기는 우리의 몸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한 결과인지를 살펴보고 있다.


3편 ‘신의 언어, 유전자’에서는 자연도태를 거부하며 ‘스스로 진화를 디자인하는’ 인류의 미래 시나리오를 그려보고 있다.


대망의 마지막 4편 ‘퍼펙트 휴먼’에서는 인류의 영원한 꿈, 불멸의 삶을 다루고 있다. 미국 디트로이트 Cryonics사와 애리조나 Alcor사에 보관되는 냉동인간의 숫자가 늘어나고 있다. 불멸을 꿈꾸는 이들이 기대하는 미래 의학이 무엇인지 다루고 있으며, 귀, 코, 피부뿐만 아니라 신장, 폐 등 장기까지 만들어 낼 수 있는 재생의학이 현실화되고 있다. 영국의 사이펠리안 박사부터 미국의 아탈라 박사까지 재생의학의 최전선에 있는 박사들로부터 재생의학이 바꿀 질병의

미래를 들어보자.


 

또한 현대판 불로초로 주목받는 텔로머라제는 과연 인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지 노벨상 수상자 캐롤 그라이더 박사와 일본의 조로증 연구를 통해 그 가능성을 검증해보고 있다. 드디어 뇌와 기계,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기술이 스웨덴 연구진에 의해 현실화됐다. 뇌의 모든 것을 통제하고, 몸의 한계를 뛰어넘는 미래 인류는 공상 과학일까? 아니면 가능한 시나리오인가? 이 시나리오는 바로 우리의 ‘넥스트 휴먼’일 것이다.


돌연변이는 생명의 자연스런 과정이다. 우리 모두는 세상 밖으로 나온 순간 이미 부모와는 다른 유전자를 가진 돌연변이 다. 영상을통해 인류의 몸이 문명과 함께 진화를 해온 모습을 확인해보도록 하자. 21세기, 새로운 돌연변이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원주시, 가정의 달 맞이 원주몰 30% 할인 행사

원주시는 가정의 달을 맞아 공식 인터넷 쇼핑몰인 ‘원주몰(원주몰.com)’에서 5월 31일(토)까지 관내 200여 기업이 참여하는 기획전을 실시한다. 시는 기획전 기간 원주몰에 입점한 전체 상품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할인쿠폰을 지급할 예정이다. 5월 한 달간 매주 화요일(6일·13일·20일·27일) 오전 10시에 30% 할인쿠폰(최대 3만 원 할인)을 선착순으로 발급한다. 쿠폰은 원주몰 회원이라면 누구나 발급받을 수 있으며, 1만 원 이상 구매 시 사용할 수 있다. 발급일로부터 2일간 유효하다. 이에 더해 5월 9일과 10일 단계동 AK백화점 열린광장에서 원주몰 연계 특판전을 실시, 오프라인으로도 시민들을 찾아갈 계획이다. 엄병국 기업지원일자리과장은 “소중한 사람들에게 마음을 전하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기획전을 준비했다.”라며, “감사선물을 준비하고 있는 소비자들이 이번 행사를 통해 많은 혜택을 얻으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문의 기업지원일자리과 기업육성팀(033-737-2982)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