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 브랜드를 만드는 것들

  • 등록 2018.07.11 12:01:36

 

57.png

 

 

강진주 편집위원, 퍼스널이미지연구소장

 

  

가방도 선택 상황에 따라
가방 또는 브리핑케이스는 남성과 여성 모두 자신의 체격과 비슷한 것을 고르는 것이 좋다. 덩치가 큰 사람이작은 가방을 들면 우습게 보이고 덩치가 작은 사람이 큰 가방을 들면 안쓰러워 보인다.

정장에서의 가방은 어깨에 메는 것보다 손에 드는 것이 좋다. 정장 어깨에 주름에 생겨서 지저분해 보일 뿐 아니라 한쪽 어깨에만 가방을 메고 다니면 반대쪽 어깨가 처져서 균형이 깨진다.

 

외부에서 고객과 만남이 잦은 직업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형태가 있는 가방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미팅 장소에서 가방을 옆 좌석에 내려놓았을 때 힘없이 쓰러지는 것보다는 긴장한 듯 모양을 잡고 서있는 것이 보기에도 좋다. 물론 서류나 자료 등을 보관하기에도 용이 하다.

 

가방의 컬러는 신발, 벨트 등과 같은 색을 사용한다. 이렇게 컬러를 연결하면 뚱뚱해 보이거나 키가 작아 보이는 것을 막고 여러 가지 컬러 때문에 시각적 혼란을 주지도 않는다.

 

가방은 직급이나 직업에 상관없이 모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지만 비즈니스 캐주얼을 입었을 때는 다르다.비즈니스 캐주얼은 상의 어깨에 구김이 가도 업무를 보는 데 별다른 지장이 없다. 크게 긴장감을 주지 않는 의상에 딱딱한 가죽 가방을 들고 있으면 오히려 어색해서 조화를 깬다.

 

 

 

 

 

휴대전화보다는 손목시계
요즘은 휴대전화가 시계 기능을대체하기 때문에 시계를 찬 사람이 많지 않다. 그러나 중요한 계약을 앞둔 협상 자리에서 휴대전화를 꺼내 시간을 확인하면 일을 그르치기 십상이다.

 

또 마침 휴대전화 배터리가 방전되어 시간을 알 수 없는 곤란한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 시계로도 자기 이미지에 통일감을 줄수 있고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표현할 수 있다.

 

시계는 크게 밴드 재질인 가죽과
금속 시계로 구분한다. 금속 밴드 시계는 품위를 상징하며 검은색 가죽 밴드 시계는 비즈니스 이미지를 갖고 있다. 손목이 두꺼운 사람은 큰 시계, 손목이 가는 사람은 시계판도 작고 줄이 가는 것이 잘 어울린다.

 

보석 액세서리는 최대한 절제
보석을 차는 이유는 단순하고 밋밋함을 피하고 포인트를 주기 위해서다. 그런데 여성이 귀걸이, 목걸이, 팔찌, 반지 등 온갖 보석을 주렁주렁 걸친다면 보석을 통해 자신을 과시하려는 인상밖에 주지 못한다.

보석을 쓸 때에는 요란함을 피하고 최대한 절제하는 것이 관건이다. 반지 하나에 귀걸이를 하는 것이 적당하다. 굳이 모든 종류의 보석을 착용하고 싶다면 그때는 작은 아이템을 선택해서 너무 화려해 보이지 않도록 신경 쓴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박달스마트시티 본격 개발, 첨단 복합문화공간 탄생" [최대호 안양시장]

대춧빛 얼굴에 늘 웃음이 걸려 있고 좌중을 휘어잡는 호탕한 바리톤 목소리는 우물 속 깊은 메아리처럼 길게 여운을 던진다. 최대호 안양시장의 시민 사랑은 ‘안전’에서 드러나고 ‘민생’에서 빛을 발한다. 작년 11월말 농산물도매시장이 폭설에 붕괴될 당시 시민 사상자 ‘제로’는 최 시장의 ‘신의 한 수’에서 나왔다. 재빠른 선제 대응은 ‘안전’의 교과서로 이젠 모든 지자체 단체장들에겐 규범이 됐다. ‘민생’은 도처에서 최 시장을 부르고 있다. 쌍둥이 낳은 집도 찾아가 격려해야 하고 도시개발사업은 매일 현장 출근하다시피 하고 장애인 시설도 찾아 애들을 안아주기도 한다. ‘안전’에 관한 한 그는 축구의 풀백이다. 어떤 실수도 허용하지 않으려 온몸을 던진다. ‘민생’에는 최전방 스트라이커다. 규제의 장벽과 민원의 태클을 뚫고 기어이 골을 넣는다. 그래서 그의 공약은 이렇게 ‘발’로 해결한다. 최 시장이 축구광이라는 건 시 청사에 나부끼는 깃발을 보면 안다. 태극기 옆에 안양시기(市旗)와 나란히 펄럭이는 시민구단 FC안양 깃발을 보라. 이런 시장을 ‘레전드’라 부른다. 장소 안양시장 접견실 대담 이영애 발행인 정리 엄정권 대기자 사진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