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신경과 뼈가 모여 있는 발은 인체의 축소판, 제2의 심장이라고 불릴 정도로 중요하다. 불균형한 발 모양을 그대로 방치하면 무릎, 허리, 어깨, 목 통증의 원인이 되지만 우리나라 50대 이상의 성인 중 70%가 발 질환을 가지고있을 정도로 발 건강에는 무관심하다. 더운 여름에는 운동화보다 시원한 슬리퍼나 샌들, 낮은 굽의 플랫 슈즈를 많이 신는다. 최근 비가 오는 날에는 무릎까지 올라오는 긴 장화가 유행하기도 했다. 멋도 있고 실용적이기는 하겠지만 발 건강에는 매우 좋지 않다. 불편하고 잘 맞지 않는 신발은 발 모양을 변형시키고, 비정상적인 발 모양은 몸의 균형을 망가트리고 습관성 염좌(삠)의 원인이 된다. 나이가 들면 키가 줄어들고 몸이 왜소해지지만 발은 커진다. 발바닥의 아치를 지지하는 인대의 탄력이 떨어지며 발 길이와 폭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젊은 사람들 중에도 유전, 비만 등 다양한 이유로 발 모양이 변형된 사람들이 많은데 당장 통증이 없다고 이를 방치하면 발목, 골반, 척추, 목까지 병이 나기 쉽다. 정상적인 발 모양은 발바닥에 적당한 높이의 아치가 있는데 이는 걸을 때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줄이는 쿠션 역할을 하고 앞으로 나가는 추진력을 준다
요즘 SNS는 트렌드를 주도하는 핵심이다. 그러나 SNS에서 화제가 되었다고 해서 무조건 믿는 것은 금물이다. 소비 트렌드, 기업 생산라인도 바꿔 경리단길, 망리단길, 세로수길, 유명 카페, 관광지, 꼭 먹어봐야 할 음식 등 요즘 ‘핫하다’는 ‘잇템(Item)’ 뒤에는 SNS가 있었다. SNS에서 유명 관광지나 장소를 검색하면 수많은 카페와 거리, 음식 등이 수도 없이 나오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듯이 이제 유명세를 타기 위해서는 SNS가 필수불가결한 요소다. 그도 그럴 것이 SNS는 이제 소비 트렌드를 바꾸고 기업의 생산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유명한 허니버터칩이나 캐릭터 우유 등은 SNS에서 처음 입소문이 나며 품절대란으로 이어졌고 결국 생산라인을 추가하면서까지 생산량을 늘리는 ‘대박’을 쳤다. 일본에 가면 꼭 사먹어야 한다는 젤리가 유명해지자 국내 대형 마트는 이를 정식으로 수입했고, 이제는 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드럭스토어에서도 판매 중이다. 대만에서 판매하는 누가 비스킷도 마찬가지다. 이 외에도 새우, 불막창 등 마트에서 ‘맛있다’고 소문난 제품들은 줄줄이 매출이 오르고 있다. 한때 때밀이 장갑계의 명품이라며 ‘때르메스’라고 불렸던 때
최첨단 기술이 날로 발전하는 가운데 생명의 신비인 정자와 난자의 만남으로 만들어지는 태아를 엄마의 배속이 아닌 인공자궁에서 배양해서 키울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다. 태아의 인공자궁 배양 기술이 남녀 차별이나 저출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1955년 에마뉴엘 그린버그라는 내과 의사가 영양소와 산소를 공급하는 펌프, 노폐물 배출 장치 등이 기다란 관으로 연결된 인공자궁 기계를 발명했다. 이후 특허도 취득했다. 일본의 연구진은 1990년대 중반 인공양수를 담은 기계에서 몇 주 동안 염소의 태아를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 코넬 대학에서도 인공자궁 안에서 세포를자라게 해 자궁내막 조직을 만든 후 쥐의 배아를 인공자궁 안으로 주입하는 실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보통 인공자궁이라고 하면 인큐베이터를 떠올리는데, 앞으로 나올 인공자궁은 단순히 인큐베이터 수준을 뛰어넘는다. 인공자궁은 태아가 여성의 자궁에서 자라는 것과 똑같이 수정란 착상부터 완전한 신생아 출산까지이루어지는 일종의 인공장기다. 자궁과 똑같은 역할을 해야 하므로 여러 기능을 갖춰야 한다. 태아가 자랄 때마다 변하는 특수소재로 만든 자궁 내막과 태아의
맛있게 먹고 남은 음식을 버릴 때 음식물 쓰레기인지 아닌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식재료니 당연히 음식물 쓰레기라고 생각하겠지만 우리가 음식물로 배출하는 쓰레기 중에는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하는 것이 훨씬 많다. 먹고 남은 음식물 쓰레기는 일정한 처리과정을 거쳐 동물의 사료나 퇴비로 사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동물에게 좋지 않은 음식 또는 재활용 장치에 장애를 일으킬 위험이 있는 식재료들은 반드시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하지만 어떤 것이 음식물이고 어떤 것이 재활용인지 헷갈린다. 게다가 무심코 과일에 붙은 상표나 채소를 묶은 노끈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지 않고 음식물 쓰레기로 함께 버리는 경우도 있다. 평소 음식물 쓰레기로 생각하고 버리지만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하는 식재료들을 정리했다. 아래 표를 참고해보자.
자칭 ‘주식 전문가’ 인터넷 주식카페, SNS 등을 통한 비대면 투자자 모집이 많아지면서 증권사기가 빈발하고 있다. 투자전문가를 사칭하고 고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하면서 돈을 빨리 보내라고 한다면 조심해야 한다. 입금된 투자금을 챙겨잠적해버리는 사기꾼인 경우가 많다. 특히 자칭 ‘주식 전문가’들이 증권방송이나 광고성 프로그램에 출연해 이름을 알린 다음, 그 유명세를 발판으로 투자금을 받아가로채는 사례도 빈발한다. 방송매체의 신뢰성을 악용해 허위광고로 투자자를 속이는 것이다. 아무래도 증권전문 방송에서 하는 말이니까 “풍문으로 듣는 것보단 더 믿을 만하겠지” 하는 생각이 들 수 있겠지만, 증권TV 방송 광고라 해도 광고주 요청대로 방영하는 것이므로, 그 내용을 전적으로 신뢰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이런 허위·과장 광고와 자칭 ‘주식 전문가’들의 말에 현혹되지 말고 제도권 금융투자회사를 방 문, 투자조언과 다양한 정보를 직접 듣고 확인한 후 투자에 나서는 것이 안전하다. ‘대박! 추천종목’ 대놓고 사라고 권유하지는 않지만 “00회사 요즘 좀 잘나가지 않나요??” 등 댓글을 동원하거나 은근히 호재가 있는 것 같은 루머를 퍼뜨리며 투자하도록 오도하는 경우가
물품사기, 쇼핑몰사기, 조건만남사기 등 갈수록 늘어나는 인터넷 사기 수법과 예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참고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인터넷 물품사기는 개인 간 물품을 직거래하는 인터넷 상거래 과정에서 판매자가 물품을 보내준다고 속인 뒤 구입대금만을 가로챈 채 잠적하거나, 거꾸로 물품을 구매한다고 속인 뒤 물건을 먼저 보내달라고 하고 대금을 지급하지 않은 채 잠적하는 유형의 범죄다. 또 상대방에게 물품대금을 받고 물건을 보내주긴 하였으나, 애초 약속한 물건과 다른 물건을 보내는 범죄를 말한다. 인터넷 물품사기는 인터넷 중고장터에서 주로 발생한다. 인터넷 중고장터는 최근에 ‘헬로마켓, 번개장터’ 등 모바일시장까지 확대되면서 더욱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그중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곳은 중고나라 카페이다. 중고나라 카페는 가입자는1,400만 명이며, 하루 평균 매물 등록건수는 12만여 건에 이른다. 이처럼 중고나라 등 사이트에서 많은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개인 간 거래에 있어 어떠한 안전장치도 제공하고 있지 않고 있다. 사기 수법과 안전거래 수칙 1. 선입금 유도 후 잠적 중고물품 거래 시에는 되도록 판매자와 직접 대면해서 거래를 해야 한다. 직거래를 하게
최근 미국에서 발표된 논문이 큰 파장을 불러왔다. 이 논문은 우리가 쓰는 화장품에 들어있는 스크럽 알갱이들이 바다로 흘러들어가고 있으며, 결국 인간에게 악영향을 미친다는 내용이었다. 논문은 직경 5mm 이하의 마이크로비즈가 하수처리장에서 미처 여과되지 못하고 강이나 바다로 흘러들게 되는데, 이렇게 흘러든 마이크로비즈를 물고기가 먹이로 착각해 섭취하게 되고, 인간이 이 물고기를 잡아먹기때문에 결국 마이크로비즈를 인간이 먹게 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미국 일리노이주는 마이크로비즈 제조·판매를 금지했고, 캘리포니아주에서도 1mm 크기 이하의 마이크로비즈를 개인위생용품으로 활용하지 못하게 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우리나라에서도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016년 9월 미세플라스틱이 화장품 원료로 쓰이는 것을 전격 금지한다는 행정예고를 발표했다. 이를 통해 2017년 7월부터는 마이크로비즈가 함유된 제품의 생산 및 수입이 금지되며, 이듬해부터는 2017년 7월 이전 제조된 마이크로비즈 함유 제품의 판매도 금지될 예정이다.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네티즌들은 “미세플라스틱이라는 게 있는지도 몰랐다”, “생각지도 못했던 것인데 절대쓰지 말아야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또 스크럽
우리나라의 새로운 기회 5G 핵심기술, 어떻게 활용할까? 5G 시대가 열렸다. 대한민국의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는 5G를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 출처 한국정보화진흥원 5G가 뭐길래? 5G로 통신사들은 넓은 대역폭을 확보하고 속도 개선을 위한 신기술 등을 통해 LTE 속도 대비 최대 20배 수준으로 증가된다. 대용량, 고화질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이 가능해짐에 따라 실감형, 몰입형 서비스 산업이 활성화된다. 지연시간은 단말기가 통신할 때 요청에서 반응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인데, 원격 조정 등 지연 없는 즉각적인 반응이 필요한 산업에 적용되어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다. 단위 지역에 최대 연결될 수 있는 기기의 수가 LTE 대비 10배 증가해 백만 개의 사물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다. 이에 향후 스마트시티 등 모든 사물이 연결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단위 지역 내 다량의 센서 연결이 필수적이다. 5G는 어떤 기술을 발전시키나? 1. 원격제어(차이나 모바일사 5G 기반 원격 제어 주행) 5G 통신의 초저지연 특성을 반영하여 중국 차이나 모바일은 차량 원격제어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5G 네트워크를 통해 20km 이상 떨어져 있는 무인 차량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비트코인 광풍을 계기로 알려지게 된 블록체인 기술은 앞으로 전 세계인의 생활 방식과 모든 영역을 변화시킬 메가톤급 핵폭탄과 같은 기술이다. 공무원들도 미리 대비하여 자신과 국가의 미래를 잘 준비하길 바란다. 블록체인은 무엇인가? 블록체인 기술은 새로운 데이터 보안기술이다. 블록체인은 거래 정보를 하나의 덩어리로 여긴다. 이 덩어리들을 체인으로 연결한 거래 장부가 블록체인이다. 은행이 모든 고객의 거래 장부를 관리하는데, 블록체인을 이용하면 거래와 관계 당사자들이 모두 거래 장부를 동시에 공유하고 관리할 수 있다. 거래 명세를 모두가 동시에 들고 있다는 점에서 공공거래 장부라고 부른다. 블록체인 장부에는 모든 기록이 남아있지만 위조할 수 없고 안전하며 뛰어난 보안성을 갖췄다. 중앙에서 통제하고 관리하지도 않아 속도도 빠르다. 블록체인으로 거래하면 은행을 거치지 않고 개인과 개인이 직접 거래할 수 있다. 한 번 만들어진 블록은 그대로 보존되어 성사된 거래가 취소되기 어렵다. 금융권을 중심으로 본격 도입하고 있는 블록체인 현재 블록체인은 비트코인과 같은 금융 분야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민은행이 블록체인 서비스를 본격 도입했다. 이
아무리 공유, 공개가 모토인 SNS라도 조심해야 할 것이 있다. 얼굴만 안 보일 뿐이지 현실과 똑같은 ‘사람’과의 관계이기 때문이다. 특히 주의해야 할 행동을 소개한다. 아무 생각 없이 SNS에 올리는 사진, 괜찮을까? 프랑스에서는 자녀의 사진을 SNS에 공개하는 것은 자녀의 초상권과 사생활을 침해하는 행위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프랑스에서는 만약 자녀가 자신의 동의 없이 SNS에 사진을 게시한 부모에게 소송을 제기할 수 있고, 부모는 최고 징역 1년 또는 4만5000유로(약 6000만 원)의 벌금에 처해질 수도 있는 셈이다. 무심코 올린 자녀의 사진을 통해 개인정보나 신상이 알려지고, 심지어는 소아성애자들의 목표가 되는 등 자녀를 위험에 빠트릴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꼭 자녀의 사진만이 아니다. 지인, 가족, 친구의 사진, 심지어는 본인의 사진이라도 인터넷이나 SNS에 게시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언제, 어떻게 나도 모르는 사이에 공유되고 알려져 개인정보나 초상권이 침해당하고,알지도 못하는 사람이 마치 자신이 찍은 사진인 양 ‘도용’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터넷에는 자신의 사진이 도용당했다며 피해를 호소하는 글을 적지 않게 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