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4월 20일은 장애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고취하기 위해 제정된 장애인의 날이다.장애인과 비장애인을 넘어 모두가 살기 좋은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편견과 장벽을 깨고 쉽고 편리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움직임을 소개한다. 기획황진아 기자 터키에 사는 20대 청년 무하렘 야즈안에게 어느 날 정말 특별한 하루가 펼쳐진다. 길거리에서, 상점에서, 택시 안에서까지도 낯선 사람들과 대화하는 데 아무것도 불편하지 않았던 것. 평범한 사람이라면 이게 뭐가 특별한 일인가 싶겠지만 청각장애인인 무하렘에게 사람들과 대화하는 데 아무런 불편함이 없다는 것은 기적 같은 일이다. 무하렘에게 말을 건네기 위해 그의 누나와 국내 한 기업은 사람들과 함께 한 달간 준비하며 수화를 배웠고, 그 과정을 담은 영상은 작년 한 해 유튜브 조회 수백만 건을 기록하며 화제가 됐다. 아침에 일어나고 다시 밤에 잠자리에 들 때까지 아무 것도 불편하지 않은 하루를 상상해 본 적 있는가? 언어 와 성별, 나이가 다른 사람과 자유롭게 소통하고, 몸을 움직이는 데 아무런 제약이 없다면…. 너무나 이상적인 이야기지만 실제로 그런 사회를 만들기 위한 움직임이 있다. 1974년 UN 장애인생활환경전문가
미국 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SXSW, South by Southwest)는 2016년 디지털 산업의 최고와 최신 발전을 기념하기 위해 SXSW 인터렉티브 혁신상을 제정했다.이 상을 통해 디지털 산업의 진화와 트렌드 발전의 현주소를 알아보자. 기획양태석 기자 돈스 보이스 (Don’s Voice, Not Impossible) 사람 간 소통의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 회사에 시상하는 사람 간의 연결 에서의 혁신 부문의 수상작 ‘낫 임파 서블’은 루게릭병이 있는 돈 모이어와 그의 아내 로렌 모이어의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돈스 보이스를 만들었다. 부부는 1989년 결혼했지만 6년 뒤 돈 모이어는 루게릭병 진단을 받았다. 시간이 흐를수록 돈의 운동신경 기능은 죽어갔고, 1999년 5월 21일 결국 산소호흡기에 의지하게 되며 말도 할 수 없게 되었다. 눈동자만 움직일 수 있는 돈을 위해종이에 알파벳을 적어 그와 소통해오던 아내는 낫 임파서블 창업자의 이야기를 듣고 남편을 위한 디지털 솔루션을 만들어 달라고 부탁한다. 이에 낫 임파서블은 부부가 소통하던 알파벳이 적힌 종이를 본딴 인터페이스를 개발했고, 돈은 15년 만에 아내에게 사랑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많은 은퇴자가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로 프랜차이즈 창업이다.그러나 일부 업종의 경우 창업 후 폐업률이 80%에 육박하는만큼 신중에 신중을 거듭해야 한다.창업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부실 프랜차이즈 업체 피하는 법을 알아봤다. 기획편집부 참고여성가족부 위민넷 프랜차이즈는 초기 진입 비용이 좀 더 드는 반면 아이템과 영업 전략, 마케팅, 브랜드파워 등을 본사에 일임 하거나 함께 진행하는 만큼 창업 시 장점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많은 은퇴자가 프랜차이즈 창업을 고려하고 있다. 물론 최고의 브랜드와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가장 많은 프랜차이즈를 하면 좋겠지만, 프랜차이즈의 출점에도 한계가 있고, 내가 가진 비용도 제한이 있다. 따라서 많은 이가 프랜차이즈 창업 준비시 비용과 브랜드 사이에서 고민한다.그런데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너무 많다. 2014년 기준으로 4288개. 잘못 선택했다가 폐업하면 어쩔까? 걱정이 많은 창업 준비 은퇴자들을 위해 부실 프랜차이즈 업체 피하는 방법을 알아봤다. 과장 광고, 검증되지 않은 업종 책임지지 않는 프랜차이즈 피해야 가장 기본적인 것은 과장 광고를 하는 업체를 피해야 한다는 점이다. 특히 케이블방송을
세계 최대의 집단지성 네트워크인 위키피디아는 이제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인터넷 정보검색의 필수 코스로 자리잡았다. 위키피디아를 통해 집단지성이 무엇인지 소개한다. 기획정우진 기자 2001년 ‘집단지성’ 개념이 알려지기도 전에 탄생한 온라인 백과사전 위키피디아 (Wikipedia)는 현재 자타공인 세계 최대의 집단지성 소셜 네트워크로 자리잡았다. 2015년 기준 291개 언어로 제작된 백과사전이 집대성돼 있고, 2000만 건 이상의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며, 하루 페이지뷰는 5억 건이 넘는다. 한때 명성을 떨쳤던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등은 위키피디아에 밀려 힘을 못 쓰고 있는지 오래다.집단지성은 불특정 다수의 대중이 모여 공동으로 지식정보를 생산하거나 의결하는 것을 뜻한다. 위키피디아의 경우는 예컨대 ‘지방자치’라는 하나의 정보 문서가 있다면 문서 우측의 ‘편집’ 버튼을 눌러 누구나 편집이 가능하게끔 텍스트 자체를 개방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지식과 경력, 수준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백과사전 제작에 참여할 수 있다. 규모의 집단지성 네트워크를 구축해 세계 최고의 백과사전 만든다 그런데 편집을 대중에 맡기는 것에는 맹점이 있다. 바로 ‘퀄리티’를
올 상반기 급격히 떠오르는 신조어 ‘개저씨’를 다룬 다큐가 방영됐다. 그러나 재미는 있었다는데, 시청한 사람들은 왠지 찜찜한 기분이 가시지 않는 모양이다. 기획정우진 기자 ‘개저씨’라는 단어가 있다. ‘개+아저씨’의 합성인데, 나이와 지위를 무기로 약자에게 횡포를 부리는 40대 이상의 남성을 뜻하는 말이다. 이 용어는 최근 SNS에서 올 상반기 대표적인 신조어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관련 3월 14일 SBS는 ‘아저씨, 어쩌다보니까 개저씨’라는 제목의 스페셜 다큐를 방영했다. 이 다큐는 참신하고 익살스러운 편집으로 방영 당시 주목을 받았다. 그런데 ‘뒷맛’은 개운치 않았던가 보다. “통쾌하다” 보다 “찝찝하다”는 반응이 더 많은 것이다. 무엇이 문제였던 것일까? 미디어는 ‘프레임’을 얼마나 세련되게 다루느냐가 관건 언어학자 조지 레이코프(Georgy Lakoff)는 현대인들이 복잡한 사회적 현상을 설명할 때 효율적으로 생각하기 위해 사고 방식을 메뉴얼화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이를 ‘프레임(Frame)’이라고 명명했다. “그림을 액자 프레임에 끼우듯 그림도 글도 우겨넣는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쉬운데, 이는 특히 미디어가 사회적 의제를 다루는 방
삼성폰 사용자라면 한번 쯤은 꼭 실행해 봐야 하는 앱기기 관리 앱을 소개한다.빠르고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중요한 시대에 우리의 손과 발이 되어주는 스마트폰 최적화는 능력있는 직장인의 가장 기본적인 덕목이기 때문이다. 기획양태석 기자 스마트폰이 매우 편리하지만 갈수록 사용 연령층이 넓어지면서 어르신에게는 복잡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이에 삼성전자는 다양한 연령층 고객들이 스마트폰을 보다 편하게 사용할수 있도록 유용한 앱들을 만들었다. 삼성 원격서비스 삼성전자 서비스 센터를 찾는 사람들 중 많은 사람들이 설정상의 문제로 센터를 찾는 경우가 많다. 특별히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고 사용법만 알면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많다는 말이다. 이때 원격 서비스 앱을 설치해 이용하면 굳이 센터를 찾지 않아도 손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 문제가 생겼을 시 무작정 서비스 센터를 찾지 말고 일단 원격서비스 앱을 설치해 실행시켜보라! 시간과 돈을 훨씬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법 1. ‘삼성모바일원격’ 앱을 마켓(구글/삼성앱스)에서 다운받아 설치한다. 2. 콜센터에 전화한다.(이용약관 동의 후 콜센터 전화번호가 표시된다.) 3. 상담사가 안
집은 인간에게 휴식과 위안을 주는 공간으로 없어서는 안 될 존재다. 그런 집이 당신의 미래를 좌우한다면 어떨까?21년 간 청소사업을 하며 수많은 사람들의 방을 봐온 저자는 ‘방’을 보면 누구든지 자신의 미래를 알 수 있다고 말한다. 기획편집부 어떻게 방을 보고 미래를 알 수 있을까? 경기침체로 모든 사람이 불안해한다. 대기업이나 중소기업, 창업하여 가게를 꾸려나가는 사람이나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들,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들, 자녀의 미래 등등 걱정거리가 많다. 《성공을 부르는 방 정리의 힘》의 저자 마스다 미츠히로는 우리에게 미래를 긍정 적으로 바라볼 수 있고, 새롭게 창조해 나갈 수 있다고 말한다. 그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방을 보는 것이다.방(혹은 집 전체)을 보면 나의 미래는 물론 타인의 미래도 예측할 수 있다. 또 회사와 학교를 넘어 시·군· 구를 비롯한 단체와 조직의 미래도 알 수 있다. 법칙1. 사람의 마음이 방에 드러난다. 똑같은 방은 하나도 없다. 십인십색(十人十色)이라는 말처럼 사람의 숫자만큼 방이 있다. 그리고 잘 관찰해 보면 방과 사람은 똑같다. 즉, 방에는 그 방에 사는 사람의 특징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마음에 불평불만,
알록달록한 색깔과 이리저리 끼워 맞추는 재미가 있는 레고 블록은 어린이뿐만 아니라 성인 키덜트족에게도 사랑받는 ‘잇템’이다.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활용이 무궁무진한 레고 블록의 변신은 어디까지일까? 기획황진아 기자 어려서 레고 블록 좀 만져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색색의 작은 레고 블록들을 이리저리 끼우며 노는 재미를 안다.작은 블록들을 모아 이것저것 만들다 보면 레고 블록으로 세상에 있는 그 어떤 것이라도 만들 수 있을 것처럼 느껴진다. 실제로 레고 블록의 활용은 이미 우리 상상을 뛰어넘는다. 영국의 완구전문가 제임스 메이(James May)는 레고 블록이 한 TV쇼에서 영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장난감에 선정된 것을 기념해 330만개의 블록을 이용해 화장실과 샤워시설, 침실까지 완벽하게 갖춘 실제로 사람이 살 수 있는 집을 만들었다. 신문과 칫솔, 컵, 다리미 까지 모두 레고 블록으로 만든 이 집은 안타깝게도 부지 주인의 요구로 완공된 지 2주 만에 철거됐다. 미국에서는 16세 소년이 레고로 시리얼 자판기를 만들 었고, 인도의 한 소년은 시각장애인들을 위해 비싼 점자 출력기를 대신할 레고 점자 출력기를 만들었다. 이 외에도 레고 명품자동차와 레고 캠핑
미국의 ‘패스트 컴퍼니’ 주최로 디자인과 비즈니스 세계에서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한 사람에게 주는 디자인에 의한 혁신상에서 수상한 몇 가지 제품을 소개한다. 기획양태석 기자 ‘패스트 컴퍼니’는 작품의 가능성, 독창성, 심미성, 지속가능성, 사용자 통찰력의 깊이, 문화적인 영향,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요한 심사기준으로 삼았다. 시상은 총 14개의 카테고리로 나눠 진행된다. 1. 3D프린팅: 3D프린팅 기술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획기적인 디자인 2. 시티 솔루션: 도시디자인, 건축, 설치와 디지털 인터페이스등 도시를 발전시키는 아이디어 3. 데이터 시각화: 복잡한 데이터나 정보를 정적 설계 또는 인터렉티브 디자인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한 작업 4. 경험: 사용자가 브랜드, 서비스 또는 제품과 상호작용할 수있는 다양한 방법을 연구한 3차원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5. 실험: 비상업적인 콘셉트, 시제품이나 그 밖의 프로젝트 6. 패션: 패션 관련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보여준 획기적인 아이디어 7. 그래픽 디자인: 타이포그래피나 일러스트, 시각적 정체성과 같은 평면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8. 건강: 애플리케이션, 의료기기, 건강 추적 장치나 운동기구 등을 포
널려 있는 게 정보라지만 양질의 정보, 필요한 정보를 잘 찾아내는 것이 능력이다.공무원들도 갈수록 아이디어가 요구되는 일이 많아질텐데, 어디서 그런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까?좋은 자료조사 사이트를 소개한다. 기획양태석 기자 학술정보 시장조사 1. DBPIA(www.dbpia.co.kr) 국내 학술지, 전문잡지, 전자책, 웹 DB, 동영상 강의 등을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 2. KRPIA(www.krpia.co.kr) 한국사 관련 데이터베이스로 한국의 역사, 문화, 문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 자료 수록 3. 과학기술학회마을(society.kisti.re.kr) 학위논문, 국내/외 학술지 논문, 단행본, 공개강의, 기타 OAJ를 선택적으로 검색 4. KINDS(www.kinds.or.kr) 한국언론재단에서 제공하는 신문 기사 검색 서비스 5. KOASAS(koasas.kaist.ac.kr) KAIST 교수들이 학술지나 학회에 발표한 논문을 일반인들에게 무상으로 공개하는 온라인 시스템 경제 리포트 시장조사 1. 삼성경제연구소 SERI(www.seri.org) 경제에 관련된 정보를 얻는데 가장 유명한 사이트 2. LG경제연구원(www.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