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의 글

윤심? 반(反)윤심??

다시 지방선거의 계절이다. 전국동시지방선거 8회째를 맞았다.

 

이번 선거에서 눈여겨볼 점은 단연 윤심 VS 반윤심이지 않을까?

 

물론 여소야대 정국에서 새롭게 탄생된 정부에 힘을줄지 아니면
새 정부를 견제할지 여부도 중요하다.

 

하지만!

 

지방선거는 본래 지방자치단체에 소속된 주민을 위한 투표임을 잊어서는 절대 아니 된다!

 

국민과 가장 가까운 선거인 지방선거와 관련하여 몇 가지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유권자들의 투표 참여 제고이다.
찍을 후보가 없다던 이번 20대 대통령선거 투표율 77.1%,  
21대 국회의원선거 투표율 66.2%에 비해 제7회 지방선거 투표율은 60.2%였다.

내 생활과 가장 관계 깊은 지방선거, 적극적인 투표 참여가 요구된다.

 

둘째, 국회의원 보궐선거는 최소화되어야 한다.
국회의원직은 광역단체장 등 다른 선거 출마를 위한 정거장이 아니다.

다른 선거에 출마하고자 하면 국회의원 출마를 접고지방선거에 참여해야지 

이번처럼 다수의 보궐선거가 동시에 이뤄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섯째, 공명선거이다.

금권·관권 선거는 이제 옛날 얘기가 되었다. 대신 신종 수법의 불법과 탈법이 판치고 있다.
국가 위상에 걸맞은 선거 문화와 풍토가 꼭 실현되기를 바란다.

 

넷째, 묻지마 투표는 아니다.
4대 선거(광역단체장, 광역의원, 기초단체장, 기초의원) 동시 실시가 정당 투표처럼

같은 기호로 투표되는 경향이 컸다.


비대면 시대에 아쉬움도 있지만 선관위가 정성껏 준비해 우편으로 보낸 선거 공보물을

꼼꼼히 검토하여 제대로 된 투표를 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 역대급 비호감 대선이라는 칭호가 아직 머릿속에 생생히 남아 있다.

 

언론은 일찍이 윤심과 반윤심 구조에 초점을 두며

지방선거의 진정한 의미를 퇴색시키고 있다.


지자체 주민 한 명 한 명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그리고 도움이 되는 지방선거가 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제8회 지방선거는 윤심 VS 반윤심이 아니라

바로 민심을 헤아리는 선거라는 점을 똑똑히 새겨야 한다!


2022년 05월 《지방정부》, 《지방정부 tvU》 발행인 이영애 

 

배너

발행인의 글


"국내 이미지 컨설턴트 위상 높여나가길" 국제이미지컨설턴트협회 한국중앙지부, 에듀케이션 데이 성료

매년 봄과 가을에 개최되는 ‘에듀케이션 데이(Education Day)’’는 국제이미지컨설턴트협회 한국중앙지부 정규 행사의 일환으로, 회원들에게 이미지컨설턴트로 활동하기 위한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컨설턴트 역량을 향상시키고, 회원 간 네트워크를 형성해 친밀과 협업, 동반 성장을 촉구하며, CIC(Certified Image Consultant) 자격 보유자들이 CEU(Continuous Education Unit)점수를 취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된다. 이번 ‘에듀케이션 데이’ 행사는 ‘SNS를 활용한 퍼스널 브랜딩’이라는 주제 하에 열렸다. ‘탐미’라는 닉네임으로 인플루언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신미연 강사와 꽃중년 유튜버로 활약하고 있는 김종완 강사가 강연자로 참석했다. 신미연 강사는 ‘인스타그램 네비게이션 활용’을 주제로 개인 브랜딩에 인스타그램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들에 대해 설명하며 참가자들에게 유익한 시간을 제공했다. 또한 ‘전문가의 SNS을 위한 스마트폰 촬영의 모든 것’을 주제로 강연을 펼친 김종완 강사는 이미지 컨설턴트가 SNS상에서 전문성을 효과적으로 부각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촬영 기법 등에 대해 소개했다

세대 간 장벽 허문 디지털 기술 교육

2023년 4월 현재, 우리는 첨단 기술(High Technology) 세계에 살고 있다. 최근 신세대 사이에서 크게 관심을 받는 챗GPT 부터 가상 세계 메타버스까지, 불과 10년 전만 해도 상상만 하던 세상이 현실에서 구현돼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있다. ‘MZ세대 이해하기’처럼 현실에 반영된 밈이나 숏폼 콘텐츠 등을 심심찮게 볼 수 있으며, 해가 갈수록 비약적으로 성장하는 IT 기술의 발전은 세대 차이를 크게 벌려놓았다. MZ세대를 제외한 세대는 첨단 기술 시대에 적응하기가 쉬운 일이 아니다. 최근 들어 식당에서도 태블릿 PC나 스마트 키오스크로 음식을 주문하는 일이 일상이 되다 보니 IT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들은 식사하기조차 쉽지 않다. 이런 고령의 노인들에게 기기 사용법을 알려주어 세대 차를 극복한 훈훈한 사례가 소개돼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고 있다. 애슈데일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요양원을 찾아 스마트 기기 사용을 어려워하는 어르신들에게 최신 기술을 알려주고, 휴대전화처럼 일상에서 사용하는 기기 사용법을 공유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학생들이 어르신들에게 스마트 기기 사용법을 알려주듯, 학생들은 어르신들에게 과거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