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트렌드

음료 캔과 용기 재활용 모범 국가 덴마크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은 EU 지침에 따라 2029년까지 음료 캔과 병의 수거율을 90%로 끌어올려야 한다. 덴마크는 올 들어 재활용률 100%를 달성했다고 공언했다.

덴마크의 알코올류, 소프트드링크, 주스, 미네랄워터 등 각종 음료 용기 및 캔의 수거와 예치금 제도는 높은 수거율과 재활용률을 달성해 다른 유럽 국가의 모범이 됐다.

 

덴마크의 음료 캔, 용기 수거와 재활용은 비영리 민간단체인 ‘단스크 레투르시스템(Dansk Retursystem,덴마크 예치금 및 반환 시스템)’이 맡고 있다.

 

 

운영 방식은 음료생산업체가 소비자에게 제품가격 외에 예치금을 추가해 부과한다. 소비자는 예치금 반환 표시가 된 빈 용기나 캔을 슈퍼나 키오스크에 반환하면 처음 음료를 구입한 장소 불문 현금으로 예치금을 되돌려 받는다. 반환받는 예치금은 용기 종류에 따라 개당 1크로네(183원)에서 3크로네(549원)까지다.

 

보증금 환수제는 덴마크 환경부의 승인을 받아 양조업체들이 설립한 단스크 레투르시스템이 운영한다. 단스크 레투르시스템은 빈 용기와 캔의 수거, 재처리 책임을 맡는데 음료를 판매업체에 보내면 생산자는 그에 해당하는 예치금을 단스크 레투르시스템에 보낸다. 판매업체는 소비자에게 예치금을 돌려주고 빈 용기와 캔이 수거돼 재활용되면 같은 금액을 단스크 레투르시스템으로부터 돌려받는다.

 

이 단체가 운영하는 음료 캔과 용기의 재활용 시스템은 이미 비용 제로를 실현했다. 5년 전까지 음료 생산업체는 단스크 레투르시스템이 재활용하는 용기 1개에 평균 0.17 크로네(31원)를 지불해야 했다. 지난해 이 비용은 0.03크로네(5.5원)로 감소했다. 이것은 시장에서 재활용 용기에 대한 수요가 많아 가격이 높게 책정되기 때문이다.

 

음료 생산자는 소비하고 남은 캔, 용기, 병을 처리하기 위해 단스크 레투르시스템에 따로 돈을 낼 필요가 없다. 생산업체의 비용 부담이 없어진다는 것은 재활용품의 수거, 분류, 재활용에 들어가는 비용이 이제는 단스크 레투르시스템이 재활용품 판매로 받는 수입으로 충분히 충당할 수 있게 됐다는 의미이다.

 

재활용제도에 대한 적응, 재활용 포장재 사용으로 인한 비용 감소가 비용 제로화에 기여했다.

새로운 포장 방법 개발에 돈을 들이지 않아도 돼 판매 가격을 인하할 여력이 생긴다. 소비자, 생산자, 환경 모두에 이익이 되는 시스템이다.

 

덴마크에서는 일찍부터 유리병의 수거와 재활용이 자리 잡았다. 용기 반환제도는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다. 플라스틱, 유리, 알루미늄으로 만든 일회용 캔과 병의 반환 및 예치금제도가 전국적으로 도입된 후 수거율이 항상 90%대를 넘었다.

 

덴마크의 포장재 재활용률이 높은 이유는 오랜 역사로 재활용제도가 정착되고 덴마크 국민과 기업들이 제품 포장재의 수거, 반환, 재활용에 대한 높은 의식을 갖고 적극 실천하고 있다는 점이다. 덴마크인들은 누구나 어릴 때 동네에서 빈 캔이나 병을 주워 슈퍼마켓과 키오스크에 설치된 반환기에 넣으면 나오는 동전을 받아 아이스크림, 사탕, 새로 나온 음료를 사 먹은 추억이 있다. 덴마크인의 일상에 자리 잡은 이런 습관은 ‘at pante’라는 신조어를 탄생시켰다. ‘at pante’는 빈 용기를 모아 동전을 받고 반환한다는 의미가 됐다. 어린아이들이 또래 혹은 부모에게 ‘pante’해도 되는지 묻는 게 일상화돼 있다.

 

 

소비자는 처음 음료를 구입할 때 가격과 함께 지불한 예치금을 돌려받는 것이지만 빈 용기를 반환하면 현금을 받게 돼 용기 반환에 매우 적극적이다. 생산자는 빈 캔과 용기로 새 캔과 용기를 만드는 것이 비용을 더 절약할 수 있고 골치 아픈 빈 용기 수거를 떠안지 않아도 돼 예치금반환제도에 적극 참여하게 된다. 이것은 음료 시장의 활성화에도 기여한다.

 

덴마크의 예치금제도가 2002년 9월 도입된 후 회수되는 빈 캔과 용기의 수거율은 제로에서 92%까지 꾸준히 상승했다. 2021년에 19억 개의 공병과 캔이 수거 재활용돼 수거율은 93%를 기록했다. 빈 용기 재활용으로 일 년 동안 탄소 배출량이 21만 톤, 14%가 감소했다. 한 번에 300개의 공병이나 캔을 처리하는 ‘Drop and Go’라는 새로운 기계가 2018년 쇼핑몰, 대형 행사장 등에 설치되면서 빈 용기의 반환이 더 수월해졌다. 빈 용기 예치금반환제도는 처음에는 청량음료와 맥주에만 적용됐으나 몇 번에 걸쳐 과일주스 용기 등 다양한 음료로 확대됐다.

배너

발행인의 글


"국내 이미지 컨설턴트 위상 높여나가길" 국제이미지컨설턴트협회 한국중앙지부, 에듀케이션 데이 성료

매년 봄과 가을에 개최되는 ‘에듀케이션 데이(Education Day)’’는 국제이미지컨설턴트협회 한국중앙지부 정규 행사의 일환으로, 회원들에게 이미지컨설턴트로 활동하기 위한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컨설턴트 역량을 향상시키고, 회원 간 네트워크를 형성해 친밀과 협업, 동반 성장을 촉구하며, CIC(Certified Image Consultant) 자격 보유자들이 CEU(Continuous Education Unit)점수를 취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된다. 이번 ‘에듀케이션 데이’ 행사는 ‘SNS를 활용한 퍼스널 브랜딩’이라는 주제 하에 열렸다. ‘탐미’라는 닉네임으로 인플루언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신미연 강사와 꽃중년 유튜버로 활약하고 있는 김종완 강사가 강연자로 참석했다. 신미연 강사는 ‘인스타그램 네비게이션 활용’을 주제로 개인 브랜딩에 인스타그램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들에 대해 설명하며 참가자들에게 유익한 시간을 제공했다. 또한 ‘전문가의 SNS을 위한 스마트폰 촬영의 모든 것’을 주제로 강연을 펼친 김종완 강사는 이미지 컨설턴트가 SNS상에서 전문성을 효과적으로 부각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촬영 기법 등에 대해 소개했다

세대 간 장벽 허문 디지털 기술 교육

2023년 4월 현재, 우리는 첨단 기술(High Technology) 세계에 살고 있다. 최근 신세대 사이에서 크게 관심을 받는 챗GPT 부터 가상 세계 메타버스까지, 불과 10년 전만 해도 상상만 하던 세상이 현실에서 구현돼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있다. ‘MZ세대 이해하기’처럼 현실에 반영된 밈이나 숏폼 콘텐츠 등을 심심찮게 볼 수 있으며, 해가 갈수록 비약적으로 성장하는 IT 기술의 발전은 세대 차이를 크게 벌려놓았다. MZ세대를 제외한 세대는 첨단 기술 시대에 적응하기가 쉬운 일이 아니다. 최근 들어 식당에서도 태블릿 PC나 스마트 키오스크로 음식을 주문하는 일이 일상이 되다 보니 IT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들은 식사하기조차 쉽지 않다. 이런 고령의 노인들에게 기기 사용법을 알려주어 세대 차를 극복한 훈훈한 사례가 소개돼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고 있다. 애슈데일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요양원을 찾아 스마트 기기 사용을 어려워하는 어르신들에게 최신 기술을 알려주고, 휴대전화처럼 일상에서 사용하는 기기 사용법을 공유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학생들이 어르신들에게 스마트 기기 사용법을 알려주듯, 학생들은 어르신들에게 과거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