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대중화 된 ‘팬덤 문화’...10명 중 8명 “좋아하는 스타 있다”

‘팬덤 문화’, 특정 연령대· 분야 넘어 전반적인 사회 문화 자리 잡아
개인의 취향과 정체성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 재평가

 

10명 중 8명 “공인 및 스타를 좋아해 본 경험이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는 지난 8월 8일 전국 만 13~69세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 2024 팬덤 문화 및 덕질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 10명 중 8명(77.8%)이 공인 및 스타를 좋아해 본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그 중 상당수(87.5%)는 실제 팬덤 활동에 참여해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팬덤 활동 방법으로는 TV 및 라디오 프로그램 본방 시청(48.8%, 중복응답), SNS 팔로우(48.6%)를 꼽았으며, 좋아하는 스타의 사진을 수집하거나(34.7%) 스마트폰 바탕화면 이미지 꾸미기(34.0%)를 통해 팬심을 표현한다는 응답이 그 뒤를 이었다.

 

좋아하는 스타 및 공인으로는 드라마·영화 배우(44.2%, 중복응답), 아이돌 가수(43.8%), 스포츠 선수(37.8%) 등 주로 연예계나 스포츠 스타를 좋아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었다.

 

특히 저연령층을 중심으로 유튜버를 꼽은 비율이 타 연령층에 대비해 두드러진 점이 특징적이었다.(10대 43.8%, 20대 53.3%, 30대 32.1%, 40대 16.6%, 50대 11.8%, 60대 17.9%).

 

트렌드모니터 관계자는 “이는 상대적으로 디지털 플랫폼에 익숙한 젊은 세대의 특징이 반영된 결과다”며 “유튜버의 콘텐츠를 통해 비슷한 관심사를 공유하면서 유대감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콘텐츠를 소비하고 참여하는 방식이 더욱 다양해지면서 방송·연예계를 넘어 과거에는 주목받지 못했던 분야의 인물도 팬덤을 통해 그 영향력이 확산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언급했다.

 

10명 중 9명 “팬덤 활동도 일종의 개인의 취향”

 

이처럼‘팬덤’ 문화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팬덤 활동을 개인의 취향으로 여기는 태도가 뚜렷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89.6%가 “팬덤 활동도 일종의 개인의 취향이라고 볼 수 있다”고 답했다. 또 “팬덤 활동을 하는 사람들의 취향을 존중해줄 권리가 있다”고응답한 비율은 84.9%에 달했다. 팬덤 문화가 단순한 유행을 넘어 개인의 정체성과 취향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고연령층에서도 팬덤 활동이 과거보다 다양해졌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며(10대 83.0%, 20대 84.5%, 30대 88.5%, 40대 85.0%, 50대 93.0%, 60대 93.0%), 팬덤 현상이 청소년뿐만 아니라 전 연령층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응답이 높게 평가됐다(10대 78.5%, 20대 85.5%, 30대 85.5%, 40대 83.0%, 50대 84.5%, 60대 88.0%).

 

트렌드모니터 관계자는 “과거 특정 연령대에 국한되어 있던 팬덤 문화가 다양한 연령대와 분야에서 보편화됐다”며 “이를 개인의 취향으로 존중하는 태도가 확산되고 있음을 짐작해 볼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