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에서는 ‘현재 세대와 미래 세대가 행복한 충청남도’ 건설을 위해 2013년 11월 경제, 사회, 환경, 행정, 배경 등 5개 분야 106개의 지속가능발전 지표를 발굴하는 등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 추진전략을 마련했다. 작년에는 개발된 지표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실행계획 수립 및 운영시스템을 구축했고, 정책을 수립·집행하는 공무원의 인식전환 및 공감대 확산을 위한 컨설팅 및 교육 등을 통해 지속가능발전 철학 및 가치를 행정에 접목하는 등 미래 발전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취재|양태석 기자
지속가능발전 지표는 경제, 사회, 환경, 행정 및 제도, 배경지표 등 5개 영역으로 구분
해 총 106개 지표가 연구개발됐다.
1. 경제
도민의 경제적 상황을 파악해 보다 더 행복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 새로운 일자리창출, 농수축산업 생산량, 대중교통 현황, 소득의 역외유출, 에너지생산 및 소비량 등 잘사는 지역만들기와 밀접한 25개 지표.
2. 사회
양극화 및 사회갈등을 해소하고 주민복지 및 안전한 지역육성을 위한 빈곤인구, 장애인고용, 질병발병율, 풍수해 및 사건사고, 교육 및 문화활동, 아동보육 등 25개 지표.
3. 환경
자연생태 환경을 보존해 깨끗하고 쾌적한 질 높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대기 및 수질환경 오염, 생태 및 녹지환경, 폐기물발생 및 재활용, 소음 등 26개 지표.
4. 행정 및 제도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경제·사회영역 발전과 환경유지 및 복원을 위해 필요한 재정, 행정서비스, 제도 및 민관 거버넌스 등 23개 지표.
5. 배경
모든 지표의 기본으로 인구증감률, 고령인구 비율, 외국인 귀화자 등 7개 지표.
충청남도는 지속가능발전 지표 실행추진에 만전을 기할 것이다. 도정과 연계가 가능한 지표는 데이터를 축적하는 등 지표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지속가능발전 선도사업을 선정해 시범적으로 사업을 운영토록 할 것이다. 또한 지속가능발전 가치를 도정의 핵심정책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인식전환이 필수이므로 공감대 확산 및 역량강화를 위해 도 및 시·군 공무원 대상 교
육 및 전문가 컨설팅 등을 실시할 것이다.
더불어 지속가능발전 전략을 마련해 지속가능발전 정책의 기본원칙과 세부내용을 마련하고 데이터가 구축되지 않은 지표는 전문 컨설팅, 실국 및 시군협의, 자문 등을 거쳐 데이터 구축방안을 마련할 것이다.
분야별 전문가 및 도민 등이 참여하는 지속가능발전 특별위원회의 운영 등을 통해 지속가능발전 철학과 가치가 행정에 반영되어 경제적으로 성장하고, 사회적통합, 환경의 보존과 개발의 조화를 이루어 도민의 삶의 질이 높아질 수 있도록 추진해나갈 것이다.
※ 보다 자세한 문의는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담당관(041-635-2150)으로 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