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민의정

유엔과 미 해군 역사상 최대 부패 사건

​​세상의 어느 조직이든 부패하기 마련이다. 결국 조직이 아니라 사람이 문제다. 범세계적인 기구인 UN에서부터 미국 군대에도 이런 부패 문제는 심각했다. 김영란법이 시행된 우리나라도 되새겨볼 만한 사건들이다.

 

유엔 창립 이후 최대의 스캔들

 

37.png

 

2013년 9월부터 1년간 유엔총회 전 의장을 맡았던 존 애시는 2015년 10월 중국 기업인들로부터 130만 달러(약 15억 원)를 받은 혐의로 기소됐다. 애시에게 금품을 전달한 인물은 마카오 부동산재발 응랍셍( 立勝)과 사우스사우스뉴스(South South News)와 IOSSC(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outh-South Cooperation)의 부총재인 중국계 여성 비비안 왕 등으로 알려졌다. 응랍셍에게 뇌물을 받은 유엔주재 외교관은 애시 혼자가 아니었다. 유엔의 발표에따르면 2011~2014년에 뇌물 수수가 있었으며 뇌물 제공 혐의 등으로 응랍셉 등 4명과 유엔 주재 도미니카 공화국 대사도 기소됐다.

 

애시의 직접적인 체포 혐의는 탈세다. 탈세는 혐의 발생 시에도 외교관의 불체포 특권이 적용되지 않는다. 프리트 바버라 뉴욕 연방지검 검사장은 “애시는 롤렉스, 맞춤 정장, 자택에 설치한 농구 코트와 자신과 자신이 이끌어온 국제기구를 팔아 넘겼다”고 말하며, 2013년부터 2014년까지의 유엔총회 의장 재임 시기만이 아니라 유엔 대사로 재임했던 시절의 혐의도 수사 대상이라고 밝혔다.


애시는 자신이 태어난 카리브해에 위치한 앤티가바부다(Antigua and Barbuda)에서의 이권 획득에 관심을 가졌던 중국 기업가 응랍셍과 앤티가바부다 총리의 면담을 중개한 역할도 한 것으로 보인다. 당국의 발표에 따르면 응랍셍은 ‘유엔 마카오 회의센터’를 건설하기 위해 애시에게 금품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대가로 애시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게 관련 문서를 제출해 편의를 제공한 혐의가 있다.


2016년 6월 22일 뇌물수수 혐의로 기소된 존 애시 전 유엔총회 의장은 뉴욕 자택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고위급 미국 해군 장교 대규모 뇌물 사건으로 감옥에 가다

38.png

 

고위급 미 해군 장교가 ‘말레이시아’ 방위계약자에게 사업에 관한 기밀정보를 제공한 혐의로 48개월 감옥행을 선고받았다. 대니얼 두섹(Daniel Dusek)은 호화 호텔에 숙박하고 성접대를 받는 대가로 해당 정보를 제공했다. 두섹은 또한 7만 달러(약 8200만 원)의 벌금과 3만 달러(약 3600만 원)를 해군에 배상하라고 명을 받았다. 그는 미군 사상 최악의 뇌물수수 사건으로 형을 받은 최고위 장교가 된다.


2015년 같은 혐의로 유죄를 선고 받아 스캔들의 중심에 있던 레오나르드 프랜시스(Leonard Glenn Francis)는자신이 운영하는 항만서비스 회사인 GDMA(Glenn Defense Marine Asia)를 통해 ‘두섹’과 다른 장교들에게 식사, 술, 호화 호텔 숙박 및 다른 선물들을 제공하며 미해군 함정들이 GDMA가 운영하는 항구에 정박하도록 로비를 하였다.

 

두섹은 이와 같은 향응을 제공받고 핵추진 항공모함 에이브러햄 링컨호(USS Abraham Lincoln)가 프랜시스 소유의 항구인 말레이시아(Malaysia) 클랑(Klang)항구에 정박하도록 주선했다.

또한 항구에 정박한 군함들은 연료와 음식 등을 시가보다 비싸게 GDMA로부터 사들였다. 이런 식으로 GDMA가 벌어들인 돈은 3480만 달러, 우리 돈으로 410억 원에 달한다.


재니스 샘마르티노(Janis L. Sammartino) 판사는 듀섹 대령을 향해 “미 해군에서 당신과 같은 직위에 있는 자가 호텔 투숙과 여흥 그리고 성 접대를 받고서 정보를 넘겼다는 것은 정말 상상하기도 어려운 일”이라며 “국가 안보를 위태롭게 했다”고 비난했다. 이에 두섹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 자기 자신을 결코 용서할 수 없을 것’이라 말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원주시, 가정의 달 맞이 원주몰 30% 할인 행사

원주시는 가정의 달을 맞아 공식 인터넷 쇼핑몰인 ‘원주몰(원주몰.com)’에서 5월 31일(토)까지 관내 200여 기업이 참여하는 기획전을 실시한다. 시는 기획전 기간 원주몰에 입점한 전체 상품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할인쿠폰을 지급할 예정이다. 5월 한 달간 매주 화요일(6일·13일·20일·27일) 오전 10시에 30% 할인쿠폰(최대 3만 원 할인)을 선착순으로 발급한다. 쿠폰은 원주몰 회원이라면 누구나 발급받을 수 있으며, 1만 원 이상 구매 시 사용할 수 있다. 발급일로부터 2일간 유효하다. 이에 더해 5월 9일과 10일 단계동 AK백화점 열린광장에서 원주몰 연계 특판전을 실시, 오프라인으로도 시민들을 찾아갈 계획이다. 엄병국 기업지원일자리과장은 “소중한 사람들에게 마음을 전하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기획전을 준비했다.”라며, “감사선물을 준비하고 있는 소비자들이 이번 행사를 통해 많은 혜택을 얻으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문의 기업지원일자리과 기업육성팀(033-737-2982)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