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혁신 행정] 도서관이 살아있다!? - 전라남도 순천시 ‘그림책 도서관’




a6c2cc938c9c9685c3cd7a173b1e8207_1529366406_6416.png




도서관 도시로 명성이 자자한 전라남도 순천시. 인구 28만의 중소도시인 순천이 다시 한 번 주목받고 있다. 전국에서 1호로 세워진 그림책 도서관은 ‘도서관은 놀이터’라는 새로운 공식을 만들며 전국의 모범이 되고 있다.

취재|황진아 기자

​2003년 MBC의 방송 프로그램 ‘느낌표’와 함께 전국 최초로 기적의 도서관을 건립하면서 ‘도서관 붐’이 일었던 순천시가 이제는 책을 읽고 공부하는 기존의 도서관의 개념을 바꾼 ‘그림책 도서관’으로 다시 한 번 전국에 명성을 떨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생소한 그림책을 모아 만든 ‘그림책 도서관’은 1500권 가까이 되는 그림책을 소장하고, 3개월마다 국내외 유명 그림책 작가들의 작품전을 기획해 전시한다. 글을 잘 읽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재미있게 책을 읽어 줄 ‘그림책 지도사’를 양성하기 위해국내에서 제일 유명한 강사를 초청해 강의도 진행하고 있다. 아이들에게 그림책 도서관은 재미있는 놀이터
다. 도서관 내 극장에서 공연하는 인형극은 특히 인기가 좋았다. 그림책 도서관이 처음 개관했을 때는 작가섭외 등 여러 가지 어려움도 있었지만 이제는 멀리에서도 일부러 도서관을 찾아오고, 출판사에서까지 먼저 연락을 해올 정도라고 한다.

그림책 도서관의 이런 성공은 직원들의 노력으로 더욱 빛을 발할 수 있었다. 그림책이 매우 좋은 소재임에도 홍보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것을 안타깝게 여긴 이강선 순천시 도서관운영과장과 직원들은 직접 운영하는 SNS나 전국의 공공도서관에 자체 제작한 홍보영상을 게시하는 등 도서관 홍보에 주력하며 전국에 그림책 도서관을 알렸다. 그림책 도서관을 벤치마킹하기 위한 다른 지자체의 발길에 잇따르고 있는 지금 이과장은 “관 주도로 해서는 절대 안 된다”며, “시민과
함께 하며 지역의 특색을 살리려는 고민이 있어야 성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a6c2cc938c9c9685c3cd7a173b1e8207_1529366416_1235.png

 



정숙하고 조용하다는 기존 도서관의 개념을 완전히 바꿔놓은 그림책 도서관을 찾은 아이들은 도서관이 제집인 마냥 뛰어놀기도 하고 바닥에 앉아 책을 읽었다. 이런 아이들을 덕분에 “도서관이 살아 움직인다”며 은근한 자부심과 애정을 드러낸 이 과장은 “그림책 도서관의 성공에 안주하지 않고 순천만 같은 랜드마크가 될 수 있도록 만화책 도서관, 휴먼라이브러리같은 특색 있는 사업도 구상하고 있다”며 시민들의 참여와 협조를 당부했다.


※ 더 자세한 내용은 순천시 도서관운영과(061-749-6955)로 문의하세요!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원주시, 가정의 달 맞이 원주몰 30% 할인 행사

원주시는 가정의 달을 맞아 공식 인터넷 쇼핑몰인 ‘원주몰(원주몰.com)’에서 5월 31일(토)까지 관내 200여 기업이 참여하는 기획전을 실시한다. 시는 기획전 기간 원주몰에 입점한 전체 상품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할인쿠폰을 지급할 예정이다. 5월 한 달간 매주 화요일(6일·13일·20일·27일) 오전 10시에 30% 할인쿠폰(최대 3만 원 할인)을 선착순으로 발급한다. 쿠폰은 원주몰 회원이라면 누구나 발급받을 수 있으며, 1만 원 이상 구매 시 사용할 수 있다. 발급일로부터 2일간 유효하다. 이에 더해 5월 9일과 10일 단계동 AK백화점 열린광장에서 원주몰 연계 특판전을 실시, 오프라인으로도 시민들을 찾아갈 계획이다. 엄병국 기업지원일자리과장은 “소중한 사람들에게 마음을 전하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기획전을 준비했다.”라며, “감사선물을 준비하고 있는 소비자들이 이번 행사를 통해 많은 혜택을 얻으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문의 기업지원일자리과 기업육성팀(033-737-2982)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