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생이 온다

 

[사진제공 웨일북(whalebooks)]

 

90년생은 다르다. 언어도 생각도 소비성향도 기성세대와는 다르다. 기성세대의 모습도 그들이 바라는 그것과는 다르다. 그러나 관심과 신뢰와 존중이 있다면 우리가 함께하는데 다름은 문제 되지 않는다. 90년생, 아니, 우리 모두가 알아야 할 이야기.

 

ㅇㄱㄹㅇ’, ‘ 할많하않’, ‘아아’, ‘취존’, ‘생스’.

혹시 이런 단어가 낯설거나 생소한가? 그럴 수 있다. 이 단어들은 최근 사용되는 신조어 및 줄임말이다. ‘ㅇㄱㄹㅇ(이거레알)’, ‘할많하않(할 말은 많지만 하지 않겠다)’, ‘아아(아이스 아메리카노)’, ‘취존(취향존중)’, ‘생스(생활 스터디)’와 같은 단어들을 모르는 사람들은 생각보다 많다. 그러나 주의해야 한다. 이런 단어를 모른다면 당신은 꼰대로 여겨질 수도 있다. 이런 단어가 생소하고 여전히 90년생이 낯설다면 이 책을 읽어보길 바란다.

 

90년생은 다르다. 사용하는 언어도 다르고 생각도 다르다. 90년생은 삶의 목적이 아닌 삶의 유희를 추구한다. 이념적 세계보다 연극적 세계가 더 중요하다. 어설픈 ‘B급 감성에 열광하며 간단하고 솔직한 것을 좋아한다. 은어와 이모티콘과 요약된 것을 애용한고 자신에게 꼰대질하는 기성세대나 호갱으로 대하는 기업은 매몰차게 외면한다. 모바일 라이프를 즐겨온 앱 네이티브이며 디지털 역량을 보유한 이들이 장래에 가장 희망하는 직종은 공무원이나 건물주와 임대업자이다.

 

이런 젊은 세대의 모습을 단순히 백안시하거나 외면해선 안 된다. 빌게이츠Bill Gates가 트위터를 통해 밀레니엄 세대는 종종 게으르고 작은 것에 열광한다고 조롱을 당하지만, 변화를 갈망하고 있으며, 강력한 변화의 힘을 가진 그들에게 힘을 불어넣어야 한다라고 언급한 것을 기억해야 한다. 또한 알리바바를 탄생시킨 중국의 마윈馬雲의 말처럼 젊은 세대를 믿는 것이야말로 미래를 믿는 것이다. 그들에게 신뢰와 지지를 보내는 게 우선인 것을 깨달아야 한다.

 

젊은 세대는 믿고 신뢰해야 할 우리의 미래이다. 이미 임박한 미래이다. 90년생의 문화를 낯설어하고 당황할 시간도 없다. 이제 곧 주민등록번호 맨 앞자리가 ‘0’인 세대가 온다. 진정성을 가지고 정직하게 새로운 세대를 껴안고 잘 뒷받침할 수 있는 법을 배울 수 있어야 한다.

 

청년에게 기성세대가 보이는 가장 흔한 반응은 열정이 사라지고 도전정신이 없어서, 그저 편한 복지부동의 일만 하려는 나약한 세대라는 부정적인 평가이다. 문제는 새로운 세대를 이해하기보다는 방관하는 자세에서 비롯됐다는 데 있다. 기성세대가 젊은 세대를 포용력 있고 열린 자세로 그들과 적극적으로 만날 때에만, 젊은 세대에 대한 모든 편향된 평가와 논의들이 사라질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을 꼭 읽었으면 하는 독자들이 있다. ‘ㅇㄱㄹㅇ’(이거레알), ‘할많하않’(할 말은 많지만 하지 않겠다) 같은 단어를 모르는 이들을 꼰대라고 생각하는 90년생이다. 저자가 주목한 스티브 잡스Steve Jobs의 연설이 있다.

 

지금 이 순간, 여러분이 바로 새로운 세대입니다. 하지만 머지않아 여러분도 점차 기성세대가 될 것이고 이 세상에서 사라지게 될 것입니다. ‘너무 심한 말 아닌가라고 느꼈다면 미안하지만 이것은 엄연한 사실입니다.”

 

우리는 누구나 똑같이 늙는다. 그리고 반드시 한 줌의 흙으로 돌아갈 것이다. 누구도 예외일수는 없다. 다만 시간적인 차이가 있을 뿐이다. 지나간 것을 고루하고 고리타분한 것으로만 여겨서는 안 된다. 새로운 것이 늘 옳은 것은 아니다. 90년생 또한 젊은 세대의 실상을 객관적으로 분별하고 기성세대를 존중하며 함께 나갈 수 있는 법을 모색해야 한다. 미래는 젊은 세대의 것이지만 과거가 없이는 미래도 있을 수 없는 법이다.

 

혼자 이룰 수 있는 건 없다며 책을 맺는 저자의 말에는 90년생, 그리고 90년과 함께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에 대한 따뜻한 관심과 시선이 담겨있다. 이 책은 브런치북 프로젝트수상작이기도 하다. ‘브런치brunch’를 건너뛰고 이 책을 선택한다고 해도 충분히 따뜻한 배부름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우리의 삶은 같은 길을 돌고 도는 원형같이 보이지만, 실상은 조금씩 위로 올라가는 나선형의 모양을 취하고 있다고 믿는다. 기성세대가 되면서 느끼는 진리는 이 세상 속에서 나의 힘 하나로 이룰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이다. 나는 기존 세대의 호의와 사회적 혜택을 통해 지금까지 자라왔다고 생각하고, 다음 세대가 더 나은 세상으로 나갈 것이라고 믿는다. 그들에게도 그런 믿음을 주고 싶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박달스마트시티 본격 개발, 첨단 복합문화공간 탄생" [최대호 안양시장]

대춧빛 얼굴에 늘 웃음이 걸려 있고 좌중을 휘어잡는 호탕한 바리톤 목소리는 우물 속 깊은 메아리처럼 길게 여운을 던진다. 최대호 안양시장의 시민 사랑은 ‘안전’에서 드러나고 ‘민생’에서 빛을 발한다. 작년 11월말 농산물도매시장이 폭설에 붕괴될 당시 시민 사상자 ‘제로’는 최 시장의 ‘신의 한 수’에서 나왔다. 재빠른 선제 대응은 ‘안전’의 교과서로 이젠 모든 지자체 단체장들에겐 규범이 됐다. ‘민생’은 도처에서 최 시장을 부르고 있다. 쌍둥이 낳은 집도 찾아가 격려해야 하고 도시개발사업은 매일 현장 출근하다시피 하고 장애인 시설도 찾아 애들을 안아주기도 한다. ‘안전’에 관한 한 그는 축구의 풀백이다. 어떤 실수도 허용하지 않으려 온몸을 던진다. ‘민생’에는 최전방 스트라이커다. 규제의 장벽과 민원의 태클을 뚫고 기어이 골을 넣는다. 그래서 그의 공약은 이렇게 ‘발’로 해결한다. 최 시장이 축구광이라는 건 시 청사에 나부끼는 깃발을 보면 안다. 태극기 옆에 안양시기(市旗)와 나란히 펄럭이는 시민구단 FC안양 깃발을 보라. 이런 시장을 ‘레전드’라 부른다. 장소 안양시장 접견실 대담 이영애 발행인 정리 엄정권 대기자 사진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