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인생 3모작, 맞춤형 직업교육 ‘신중년특화과정’에서 준비하자

한국폴리텍대학의 ‘신중년특화과정’은 제2의 인생을 설계하는 신중년들에게 취업의 꿈을 실현할 수 있는 든든한 징검다리이다.
 

신중년특화과정 취업률 60% 넘어
은퇴했거나 은퇴를 앞둔 50~69세를 신중년이라 지칭한다. 노후 준비가 제대로 돼 있지 않거나 은퇴 이후 인생 2막을 시작하려는 대부분의 신중년은 지속해서 일하고 싶어 한다.


재취업을 위한 교육과 직업훈련을 받기 원한다면, 한국폴리텍대학 신중년특화과정을 두드려보자. 최고 전문가로부터 맞춤형 직업교육을 받아 취업률이 60%가 넘는다고 하니 솔깃하지않은가?


한국폴리텍대학은 기술 중심의 실무 전문인을 양성하는 고용노동부 산하의 국책특수대학으로, 전국 8개 권역(수도권, 인천·경기, 강원, 충청, 광주·호남,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전국단위특성화)에 36개 캠퍼스가 있다. 다양한 직업 및기술 교육과정이 진행되는데, 특히 2018년부터는 50~60대를 대상으로 숙련된 기술을 취득할 수 있는 ‘신중년특화과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2018년 한 해만 1,459명이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한국폴리텍대학 7개 캠퍼스에서 시니어헬스케어, 자동차복원, 전기설비기술, 패션제품생산 등 총 12개 과정을 운영한다. 취업을 희망하는 만 50세 이상(주민등록상 1969년 2월 4일 이전 출생자) 미취업자라면 누구든 지원할 수 있으며, 면접을 거쳐 선발한다.


대학에서 수업료, 실습복, 실습재료, 생활관비, 식비 등 교육비전액을 지원하기 때문에 부담 없이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다.

 

매월 출석률이 80% 이상인 자에게는 훈련수당도 지급한다.2018년 상반기 기준 전체 수료자 중 64%가 취업에 성공했다.
 
면접 전형은 의사소통 능력, 대인관계 능력, 직업윤리 등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직업기초능력 항목을 평가받는다. 자세한 사항은 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www.ncs.go.kr)에서 ‘NCS 및 학습모듈’을 검색해 ‘직업기초능력’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원 동기와 취업 의지가 가장 중요하며 면접 시 이 부분을 잘 어필해야 뽑힐 수 있다.


과정마다 다르지만 수강생으로 선정되면 대략 주 5일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16주 동안 교육이 이뤄진다. 교육은 현장실무 중심으로 이뤄지며 취업하고자 하는 분야의 핵심 기술 및 기능 훈련을 체계적으로 받는다.


시니어헬스케어부터 스마트전기까지 다채로운 과정 운영
한국폴리텍대학은 2022년까지 수강생을 1,100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서울정수캠퍼스 등에서 2020년도 교육생을 모집 중이다. 


서울정수캠퍼스
자동차복원과 공조냉동 직종에서 연간 50명씩 모집해 6개월 동안 교육한다. 내년 상반기 과정 모집은 11월1일부터 12월12일까지이며 면접은 12월19일, 합격자 발표와 등록은 내년 1월7일~9일이다. 상반기 모집 인원은 직종별 28명이다. 


서울강서캠퍼스
신중년특화과정은 기간 4개월이며 시니어헬스케어와 글로벌한식조리 직종 두 가지로, 상·하반기로 나눠 모집하며 모집 인원은 분기별로 각각 25명씩이다. 2020년 상반기 모집은 1월3일부터 2월7일까지이며 2월20일~21일 합격자 발표와 등록이 이뤄진다. 
시니어헬스케어 과정은 요양보호사 양성을 목적으로 장기요양기관의 기관장과 간호사, 물리치료사, 영양사 등 요양보호 전문가로 구성된 강사의 지도 아래 현장 실무 중심형 교육과 실습으로 진행되는 게 특징이다. 요양보호사 교육을 진행하는 민간 시설이 많지만 탄탄한 커리큘럼과 지원 덕분에 경쟁률이 높다. 


남인천캠퍼스
특수용접과, 스마트전기과, 자동차과에서 신중년특화과정을 11월1일부터 내년 1월12일까지 모집한다. 면접은 내년 1월14일, 합격자 발표 및 등록은 내년 1월20~23일이며 3월2일 개강이다. 상반기 모집 인원은 직종별로 27명이다.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교육과정에 반영한 맞춤형 교육을 실시한다. 교육 후 자동차정비기능사, 자동차보수도장기능사,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자격을 얻을 수 있으며 현대, 기아, 삼성, GM, 쌍용자동차 등에 취업 가능하다. 스마트전기과에서는 전기 기술 이외에 태양광 발전 설비 기술 및 승강기, 자동제어 기술을 배울 수 있다. 특수용접과는 특수 소재 및 고숙련 파이프 용접까지 기초부터 탄탄하게 개인별 지도를 받을 수 있다. 


익산캠퍼스
한국폴리텍대학 익산캠퍼스는 2020학년도부터 전기제어과 전기공사 분야의 4개월 과정 신중년 학생을 모집한다. 3월 개강 상반기 학생은 27명을 모집하는 데 원서접수는 11월1일부터 내년 2월10일까지, 면접은 2월12일, 합격자 발표는 2월14일이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춘천시 바이오 비전 밝힌다"...육동한 시장, 다롄에서 성장 전략 제시

육동한 춘천시장은 다롄 우호도시를 방문 춘천시의 바이오산업 육성정책과 미래성장 비전 청사진을 제시했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18일 다롄 샹그리라호텔 3층에서 개최된 우호도시 원탁회의에 참석 춘천 바이오 전략을 공유했다. 이번 원탁회의는 다롄시가 '5월 국제개방월'을 맞이해 우호도시를 대상으로 개최한 회의다. 이 자리에는 슝 마오 핑 다롄시 당서기, 천 샤오 왕 다롄시장, 다마쓰 타쿠야 일본 이와테현 지사, 김응수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중국사무소장 등 국내외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자리에서 육 시장은 "춘천시 69개 바이오기업은 연매출 1조 5000억원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며 "푸드테크 연구지원센터, 연구개발특구 유치 추진 등 미래산업을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혁신특구, 국가첨단 전략산업 특화단지 등 체계적이고 선도적인 바이오 산업 정책을 공유했다. 한편 춘천시는 지난 2003년 다롄시와 우호도시 협약을 체결한 이래 행정, 문화, 관광 분야에서 22년간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이번 회의를 계기로 산업 분야까지 교류 협력 지평을 확대해 나가는 기회의 장이 됐다는 평가다. [지방정부티비유=전화수 기자]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