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4월 22일 한국교통연구원 주최로 열린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 수립연구’ 공청회에서 구축계획안을 발표했다.
이번 4차 계획은 수도권 집중과 지방권 소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비수도권 광역철도 확충에 힘을 실었다. 광역경제권 주요 지점을 1시간 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수도권에 필적하는 광역경제권 조성 기반을 마련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대구권(김천∼구미) 및 충청권 광역철도(조치원∼신탄진 및 강경∼계룡)를 추진하기로 했다. 비수도권 광역철도 신설 사업으로는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광주∼나주 광역철도, 대구∼경북 광역철도 등이 선정됐다.
고속철도 이용이 불편했던 충남 홍성 등 서해안 지역에는 새 고속철도가 놓인다.
서울로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4차 철도망 계획안에는 서해선∼경부고속선 연결선이 포함됐다.
서해선과 경부고속선이 연결되면 홍성에서 서울까지 이동시간이 2시간 21분에서 48분으로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수도권 교통난 해소 사업으로는 신도시 개발 등으로 급증하는 서부권 교통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광역급행철도(GTX) 신규 노선(김포 장기∼부천종합운동장)을 놓기로 했다. 신규 광역철도 사업으로는 별내선 연장, 분당선 연장, 일산선 연장, 대장∼홍대선, 신구로선 등도 포함됐다.
교통연구원은 혁신도시 등으로 국토 공간이 다핵화하고, 수도권 집중 및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지방광역권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4차 철도망 계획 사업 추진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175조8천억 원, 부가가치효과 73조 원으로 추산된다. 또 46만8천 명 고용유발효과가 있을 것으로 교통연구원은 분석했다. 정부는 계획기간인 2030년까지 총 90조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