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사례

미국 작년 430만명이 창업

코로나가 초래한 이변

2020년 하반기 이후 지속된 미국의 창업 열풍은 팬테믹이 초래한 경이적 변화의 하나가 되었다. 미국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지난 해 3월 코로나 봉쇄조치 후 수주 동안 창업은 30% 급감하다가 6월부터 되살아나 연말까지 창업건수가 1년 전보다 25% 정도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창업은 약 280만 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다.

 

창업의 대열에 끼어 든 사람은 상당수가 코로나로 실직한 사람들이다. 지난 2월 미 코프먼재단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사업을 시작한 사람 중 30%가 실직 상태였다.

 

지난 해 말까지 미국에서 코로나로 인해 910만개의 자영업체가 문을 닫거나 영업을 일시중단하고 900만명이 일자리를 잃었다. 이들 중 일부는 신기술을 접목하는 방법으로 이전의 사업을 재개하거나 디지털 앱에 투자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거나 소셜 미디어를 통해 고객에 다가가는 방법을 배워 창업 전선에 뛰어들었다.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온라인 쇼핑이 폭발적으로 늘었으며 창업자의 3분의 1이 웹사이트를 만들면 몇일 안에 판매를 시작할 수 있는 점을 이용해 온라인이나 기타 비점포 사업을 통해 창업을 했다. 온라인을 사무실 삼아 소매업체를 운영하는 사람이 많았다.

 

 

아틀란타 북부의 더그 맥큐(Doug McCue)는 뉴욕에서 고급품 소매업체에서 일하다 실직하고 풀타임 직장을 구하지 못하자 커피원두를 볶는 것을 좋아하는 것을 살려 지난 해 5월 큐브류 커피 로스터(CueBrew Coffee Roasters)라는 온라인 커피점을 창업했다. 그는 과거보다 수입이 10분의 1로 줄었지만 자기 사업에 의욕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세무당국에 향후 직원을 고용할 예정이라고 밝힌 창업자가 16% 증가했다고 밝혔다. 팬데믹 기간 중 창업열풍은 10년전 대 공항과 대비된다. 작년 연말까지 고용등록된 사람이 29주 연속 증가했는데 2008년에는 겨우 3주 동안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문가들이 주목하는 미국 창업 열풍의 또 다른 요인은 심리적 요소로 미국 밀레니얼 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 직장인들이 팬데믹을 겪으며 ‘위험 선호 경향’을 보이며 특히 경제적 여력이 있는 고소득 전문직종인 욜로족(YOLO·You Only Live Once)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져 창업으로 이어진다고 보았다.

 

창업 열풍이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고, 위험성도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미 포브스는 “기업가 정신의 발현으로 인한 스타트업 급증 현상은 경제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면서도 “신생 스타트업 상당수는 빠르게 파산할 위험도 크다”고 경고했다. 팬데믹이 끝나면 스타트업을 접고 전통적인 직장으로 돌아갈 사람이 많을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고 코로나로 생긴 스타트업 대부분이 특정 업종에 편중돼 있으며 추가 고용을 창출하지 않는 소규모 스타트업이라고 평가절하하는 견해도 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원주시, 가정의 달 맞이 원주몰 30% 할인 행사

원주시는 가정의 달을 맞아 공식 인터넷 쇼핑몰인 ‘원주몰(원주몰.com)’에서 5월 31일(토)까지 관내 200여 기업이 참여하는 기획전을 실시한다. 시는 기획전 기간 원주몰에 입점한 전체 상품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할인쿠폰을 지급할 예정이다. 5월 한 달간 매주 화요일(6일·13일·20일·27일) 오전 10시에 30% 할인쿠폰(최대 3만 원 할인)을 선착순으로 발급한다. 쿠폰은 원주몰 회원이라면 누구나 발급받을 수 있으며, 1만 원 이상 구매 시 사용할 수 있다. 발급일로부터 2일간 유효하다. 이에 더해 5월 9일과 10일 단계동 AK백화점 열린광장에서 원주몰 연계 특판전을 실시, 오프라인으로도 시민들을 찾아갈 계획이다. 엄병국 기업지원일자리과장은 “소중한 사람들에게 마음을 전하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기획전을 준비했다.”라며, “감사선물을 준비하고 있는 소비자들이 이번 행사를 통해 많은 혜택을 얻으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문의 기업지원일자리과 기업육성팀(033-737-2982)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