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럼 / 업그레이드

제주형 자치경찰제가 나아가야 할 길

자치경찰단과의 협력을 통한 치안행정의 한 단계 도약을 기대하며

 

2021.1.1. 개정 「경찰법」의 시행으로 별도의 자치경찰청이나 자치경찰서 조직의 신설 없이, 자치 경찰 사무(생활안전·교통·여성청소년 등)에 대한 지휘·감독 권한을 분산하는 모형(소위 일원화 모델)을 기초로 한 자치경찰제가 전국에 도입됐고, 개정된 「경찰법」에 따라 합의제 행정기관으로 새롭게 설치된 자치경찰위원회가 제주경찰청의 자치 경찰 사무에 대한 지휘·감독권을 행사하며 점차 치안의 중심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제주의 주요 치안 통계를 살펴보면 제주도는 매년 1,0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전국 제1의 관광지이자, 인구 10만 명당 치안 수요(5대 범죄·교통사고·112신고)가 전국 1위인 지역이다.

 

이와 같은 지역적 특수성 때문에 생활안전 분야의 치안성과를 평가하는 지표인 지역 안전 지수는 전국 광역지자체 중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제주도의 경찰 인력과 장비는 치안 수요에 비해 부족할 수밖에 없어 범죄 예방 및 교통안전 등 도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다른 시·도에 비해 절실한 상황이다.

 

한편, 전국 일원화 모델의 자치경찰제 도입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2006년부터 운영 중인 제주도청 소속 자치 경찰단을 폐지하기로 논의됐으나, 국회의 치열한 논의 끝에 일원화 모델이 도입돼 자치경찰위원회가 설치되더라도 자치 경찰단을 존치하는 것으로 최종 결정됐고, 이에 따라 자치경찰위원회의 지휘·감독 하에 제주경찰청 자치경찰부서(생활안전·교통·여성청소년)와 제주자치경찰단 양기관이 동일한 자치 경찰 사무를 수행하게 돼, 제주도에 일명 ‘이중적 자치 경찰 체계’가 운용되기 시작했다.

 

제주의 ‘이중적 자치 경찰 체계’라는 유례없는 제도는 자칫 업무 중복에 따른 혼란과 비효율적인 업무처리 등을 발생시켜 도민 및 지역 안전 확보 노력에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으며, 그 피해는 고스란히 도민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

 

반면, 제주경찰청과 자치 경찰단 간 명확한 업무 분담과 긴밀한 협력을 토대로 각자의 영역에서 선의의 경쟁을 하게 된다면, 제주의 치안 안전망은 지금보다 크게 확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제주경찰청과 제주특별자치도(제주자치 경찰단) 간 명확한 업무 분담을 하도록 명시가 돼 있는 「제주특별법」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제주경찰청 간 사무분담 등에 관한 업무 협약’(이하 ‘업무 협약’)을 개정하여 치안행정의 비효율성을 해소하고 상호 간 긴밀한 협의와 소통을 통해 치안 협력체계를 새로 구축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업무 협약은 2008년 최초 제정된 이후 2014년에 한 차례 개정을 했으나, 지난해 자치경찰제가 시행돼 치안체계의 큰 변화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별도의 개정 없이 운영되고 있어 현실과의 괴리가 발생하는 등 개정이 시급하다.

 

이에 제주경찰청은 연초부터 전 기능이 합심하여 △ 교통 관련 자치 경찰단 책임구역(보호구역 등 교통안전시설 설치 도로) 지정 △ 자치 경찰단 중점 업무 수행 장소(「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상 도내 공원 등) 확대 △ 여성청소년·생활 질서 분야의 자치 경찰단 역할 분담 등의 주요 내용을 담은 ‘업무 협약’ 개정안을 마련했으며, 제주도청 및 자치 경찰단과의 본격적인 협의도 곧 시작할 예정이다.

 

특히 치안서비스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중산간 지역에 인접한 자치 경찰단(행복치안센터)을 24시간 운영 체계로 전환하고 해당 지역에서 발생하는 112신고에 대응하는 방안도 ‘업무 협약’ 개정안에 담았으며, 제주경찰청과 자치경찰단 간 치안정보·통계를 상시 공유하고 유·무선망을 실시간으로 연계하는 방안도 마련하여 양 기관 간 치안 협력체계를 더욱 공고히 구축하고자 한다.

 

제주도는 국내 유일의 ‘이중적 자치 경찰 체계’를 운용 중인 만큼, 치안행정을 운영함에 있어 일부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는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각 기관 간의 이해관계를 내려놓고 도민과 지역의 치안만을 최우선적인 가치로 삼아 협력체계를 구축해나간다면, 협업과 분담이 어우러져 보다 촘촘한 치안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고, 이는 결국 제주도의 치안시스템을 한 단계 발전시킨 ‘제주형 자치 경찰 체계’로 거듭날 수 있게 될 것이다.

 

‘제주형 자치경찰제’로 나아가는 첫걸음인 ‘업무 협약’ 개정에 대해 제주특별자치도(제주자치경찰단), 제주특별자치도 의회, 제주자치경찰위원회 그리고 도민 모두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을 부탁드린다.

배너

발행인의 글


공무원 처우 대폭 개선, 정부 합동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와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 합동으로 27일 대폭적인 공무원 처우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정부 합동대책에 따라 우선적으로 민생현장 최일선에 있는 6급 이하 국가공무원 2,000여명의 직급을 상향 조정하고, 7급에서 6급으로의 근속 승진은 7급 11년 이상 재직자의 40% 규모에서 50%로 확대하며, 연 1회만 가능했던 승진규모에 대한 심사 횟수 제한도 폐지된다 또한 재난·안전 분야에 2년 이상 계속 근무한 공무원은 승진임용 배수범위 적용을 면제하고 근속승진 기간도 1년을 단축해 심사요건을 완화하며, 6급 대우공무원 선발기간은 현행 5년에서 4년으로 1년 단축된다 정부의 이같은 공무원 처우개선 대책은 낮은 보수, 민원인의 폭행·폭언, 재난대응근무 피로 누적 등 직무에 전념하기 어려운 근무여건을 개선하여 안정적으로 공직사회에 변화의 바람을 일으키고 보다 질 높은 대국민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보인다.

울산중구 의원발의, 반려동물산업육성 지원조례 제정

[지방정부티비유=김성주 전문위원] 울산광역시 중구의회(의장 강혜순)는 문기호 의원의 대표 발의한 「울산광역시 중구 반려동물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안)」을 행정자치위원회 심의를 거쳐 21일 제262회 중구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의결했다. 울산지역에서는 처음으로 제정되는 이 조례는 반려동물산업의 발전기반을 조성하고 이 분야 지역산업에 대한 경쟁력을 높여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킨다는 목적으로 제정되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조례의 내용은 반려동물산업 육성을 위한 추진방향과 목표를 설정하고 전문 인력 양성과 창업·경영지원, 관련 행사 유치, 투자 및 재원조달 방안 마련 등을 담은 기본계획 수립을 명시하고 있으며, 반려동물산업과 관련 콘텐츠 개발과 홍보·마케팅 지원, 예비창업자 발굴, 경영상담·자문과 같은 컨설팅 활동 등의 다양한 사업 추진의 근거도 담아 제도적 지원의 기반을 마련했다. 특히 지난해 광역시 중 울산이 처음으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로부터 ‘반려동물 친화관광도시’로 선정된 점에 착안해 이번 조례가 반려동물산업과 관광을 연계 시켜나가는데 촉매제가 될 전망이다. 반려동물 친화관광도시는 반려동물과 함께 지역의 다양한 관광자원을 활용해 숙박과 음식,

[미국 하와이주] 산불피해 복구・환경 보전에 사용, 관광세 25달러 부과 추진

하와이주는 관광세를 걷어 지난해 산불로 100명 이상이 죽고 160억 달러(21조 2,656억 원) 상당 재산 피해를 입은 마우이섬 복구와 하와이 전역의 환경 피해 복원 및 보전 비용으로 충단할 예정이다. 하와이 의회에 상정된 법안 HB2406은 ‘기후건강 및 환경행동특별기금’을 주정부에 설치하고 단기체류자에 부과하는 25달러의 세금을 재원으로 충당하도록 했다. 관광세는 의료시설, 학교, 기부받은 숙박시설, 마우이 화재 이재민 임시 숙소 체류자에게는 부과하지 않는다. 연간 6,800만 달러(904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관광세 수입은 산불과 홍수 예방, 산호초 복원, 녹색 인프라 건설, 토지 관리 및 구급품 조달 비용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조시 그린 하와이 주지사는 2022년에 1인당 50달러(6만 6,000원)의 관광세를 부과하려고 했으나 의회에서 부결된 바 있다. 그린 주지사는 “하와이 연간 방문자가 900만 명에서 1,000만 명인데 주민 수는 140만 명이다. 1,000만 명의 여행자는 우리가 환경을 보호하는 것을 도와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주 하원관광위원장인 션 퀸란 의원은 여행 패턴이 바뀐 것이 관광세 도입을 추진한 한 요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