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뉴스

K-팝이 미치는 경제적 가치와 긍정적 파급효과

20년 전 누군가가 5,000㎞ 떨어진 나라에서 그 나라의 언어로 된 노래, TV 프로그램, 영화가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소중히 여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면 아마 코웃음을 쳤을 것이다. 


그렇지만 현재 K-팝, 한국의 대중문화, 특히 한류 음악의 부상은 음악 세계에서 찾아 보기 드문 현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우리에게 보여주었다. 


전 세계적으로 음반 산업을 대표하는 단체에 따르면, 2020년에 급성장하는 음악 시장은 ‘한국’이라고 밝혔다. 한류의 영향은 대한민국 경제에 엄청난 파급 효과를 일으킨다. 예를 들어, 7인조 K-팝 그룹 BTS(방탄소년단)는 예술을 통해 한국 경제가 49억 달러 이상의 가치를 창출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한류는 한국에서 가장 큰 문화 수출이자 글로벌 문화의 중요한 동인이 됐다. 넷플릭스상의 수많은 K-드라마를 통해 한국의 스킨케어 요법의 인기가 높아지고 한국 아이돌뿐만 아니라 래퍼와 개그맨 등 연예인들의 인기를 실감할 수 있게 됐다. 

 

K-팝 인기에 관해 전 세계적으로 2021년에 수행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대다수가 K-팝이 팬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사실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인기 있고 널리 알려져 있다고 했다. 이러한 인기 덕분에 인도, 호주, 스페인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독특하고 시선을 사로잡는 K-팝 댄스 루틴을 배우려는 열망으로 이어졌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이 어느 정도 통제되고 있기 때문에 콘서트, 시상식, 영화제, 경기와 같은 행사를 오프라인에서 다시 개최하고 있다. KCON이 서울, 도쿄, 시카고, LA에서 열리는 오프라인 버전 콘서트로 돌아오자 팬들은 열광했다. 또한 마닐라, 자카르타, 시드니 등지에서 앙상블 콘서트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특히 동남아 최대의 K-팝 음악 축제인 한류팝페스트(HallyuPopFest)의 개최 소식은 많은 한류 팬의 가슴을 뛰게 만들었다. 

 


2018년 싱가포르에서 시작된 한류팝페스트는 유명 한국 아티스트가 여럿 초청돼 팬들이 아이돌을 만날 수 있는 K-팝 콘서트이다. 영국 최초의 K-팝 페스티벌이기도 하며 올해 7월 첫 런던 투어를 발표했다. 그후 8월에는 엄청난 라인업으로 시드니 투어를 예고했다. 

 

한류팝페스트의 호주 투어는 뉴사우스웨일스(NSW) 정부와 협력하여 이루어지며 스튜어트 아이레스 관광부 장관은 언론 성명에서 “한국 음악과 문화는 지난 10년 동안 세계적인 현상이 됐으며, 세계 최고의 K-팝 아티스트들을 보고 그들과 만날 수 있는 기회는 웨스턴 시드니에 끌릴 수 천 명의 팬과 지역 경제에 상당한 활력을 줄 것이다”라고 기대감을 비쳤다. 


한 발표에 따르면 10대 청소년들이 BTS의 노래를 따라 부르는 것에 대한 부모들의 긍정도를 조사한 결과, 다른 미국 가수들의 노래를 따라 부르는 것보다 훨씬 더 높게 나왔다고 한다. 


그 이유는 한국 노래, 특히 BTS의 노래 가사에는 욕설이나 비방 등이 거의 포함돼 있지 않고 오히려 긍정적인, 밝은 메시지를 전달하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우리나라의 밝은 문화와 생각을 다른 나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고 퍼뜨릴 수 있다는 점이 자랑스럽고 보람되게 여겨져야 할 것이다. 

배너

발행인의 글


김해시 전국 최초 공원묘지 플라스틱조화 사용금지 시책 전국 확산에 이어 입법 성과까지

2050 탄소 중립 실현 위해 정부 및 지자체, 공공기관이 노력하는 가운데 경남 김해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한 공원묘지 내 플라스틱 조화 사용금지 시책이 눈길을 끈다. 김해시는 지난해 공원묘지 내 플라스틱 조화 반입을 금지하는 시책을 발굴해 시행해왔다. 공원묘지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조화는 중국에서 수입해오는 데다가 재활용 자체가 안 되는 저질의 합성수지와 철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량 소각 내지 매립되는 쓰레기로 분류됐다. 풍화 시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발생하며 소각할 때 다량의 탄소가 배출돼 환경 오염을 유발하고 인체에도 유해하다는 이유에서다. 민관의 자발적 협약과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한 결과 지역 공원묘지 4만 7,000여 기의 묘지에 놓여 있던 플라스틱 조화가 1년 만에 모두 퇴출되는 성과를 거뒀다. 환경을 위해 참신하고 좋은 정책으로 평가 받으며 경기, 부산, 울산, 강원, 충북, 충남, 경북 등 전국 지자체가 앞 다퉈 벤치마킹해갔다. 플라스틱 조화 사용을 하지 말자는 필요성과 사회적 공감대를 이루었으나 법적·제도적 근거가 없어 추진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김해시 측이 밝혔다. 김해시는 시책에 그치지 않고 법적·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자원의 절약과

헬싱키시 바닷물 이용 가정 난방사업 추진

핀란드 수도 헬싱키시가 바닷물을 이용해 가정 난방을 하는 지속 가능한 난방사업에 착수했다. 발틱해 해저까지 닿는 터널을 건설해 바닷물을 퍼 올린 다음 히트 펌프로 지역난방을 위한 전기를 생산한다는 복안이다. 현재 가동 중인 석탄발전소 2개 중 하나가 해수 이용 에너지 사업 기지로 바뀌고 석탄발전은 2024년 중단된다. 상온을 유지하는 심층 해저수를 끌어올려 히트 펌프로 재처리해 열을 생산하는 바닷물 이용 난방사업은 앞으로 2년 내에 사업계획을 구체화하고 5년 이내에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이 사업의 추정 사업비는 약 4억 유로(5,456억 원)이다. 헬싱키 최대 에너지 기업인 헬렌 오이(Helen Oy)가 스페인 건설사 Acciona SA, 지역인프라기업 YIT Oyj와 손잡고 이 사업을 시행한다. 헬렌 오이에 따르면 2021년에 헬싱키 지역난방의 75% 이상에 화석연료가 사용됐다. 시 당국은 앞으로 해수를 이용해 헬싱키 가구 40%의 난방을 해결하는 것을 1차 목표로 삼았다. 현재 대다수 헬싱키 가정은 석탄과 천연가스를 사용해 열과 전기를 생산하는 지구난방시스템으로 난방을 한다. 헬싱키 건축물 90% 이상이 이 난방시스템에 연결돼 있고 2개의 석탄 이용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