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의 글

지방정부가 답이다

보름달은 크고 아름답다. 달을 품은 한가위는 더욱 그렇다.

한가위는 흩어져 살던 가족이 모여서 새로 거둬들인 곡식과 과일로 조상에게

제사를 드리는 날이다.

 

그래서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라는 말이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온다.

 

오늘날의 대한민국 다수 국민에게는 매일매일이 한가위 같은 풍요로움이 있다.

그런데 한가위를 앞두고 또다시 터진 수원 세 모녀 사건은

우리를 무력하게 만든다.

 

“슬프다.”

2014년에 있었던 송파 세 모녀 사건 이후 정부와 국민은

다시는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다짐했지만 이후에도 성북 네 모녀,

대전 삼부자, 전남 일가족 등 판박이 사건이 계속 터지고 있다.

 

정부는 그럴 때마다 이런저런 법을 따지면서 사전에

위기 가구를 찾아 비극적인 사태를 차단하겠다고 했다.

왜 안 되는 것일까?

 

아무래도 지방정부가 더 나서야 될 것 같다.

사람 타령, 예산 타령으로 면피되지 않는다.

이제는 현장을 가장 잘 알고, 제때 위기 가구를 찾아낼 수 있는 대안은

지방정부와 통반장들일 것이다.

 

“지방정부와 통반장에게 확실하게 권한과 책임을 주자.”

“지방정부가 대안이 되도록 통반장은 더 분발하자.”

 

아무리 선진화된 복지제도를 갖추고 있어도 전달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수원 세 모녀 사건류의 낭패를 면키 어렵다.

세계 10위 경제 대국, 국민소득 3만 5,000달러가 무슨 의미 있는가?

 

내년부터는 슬프고 우울한 한가위가 아니면 좋겠다.

 

※ 달을 품고 소원 이루는 행복한 추석되세요.

 

2022년 09월 《지방정부》, 《지방정부 tvU》 발행인 이영애 

 

배너

발행인의 글


정읍시 솔티생태관광방문자센터 개관

정읍시는 2일 국가생태관광지역 정읍 월영습지와 솔티숲 인근에 솔티생태관광방문자센터 문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개관식에는 시민을 비롯해 이학수 정읍시장과 전라북도의원 및 정읍시의원, 유관기관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해 개관을 축하했다. 월영습지는 월영산 곡저분지에 형성된 저층형 산지 내륙습지다. 이곳은 과거 화전민의 농경지로 사용됐던 폐경지가 50여 년간 방치되면서 습지로 천이돼 습지로 복원된 곳이다. 평지와 산지 특성을 모두 지녀 독특한 생태계를 고스란히 간직해 보전 가치가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송죽마을 주민들이 가꾸고 운영하는 솔티숲은 과거에 내장산 국립공원과 상수원 보호 구역으로 지정돼 있어 원시 숲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깃대종인 비단벌레와 진노랑상사화 등 멸종위기종과 733종의 자생식물이 서식하고 있기도 하다. 환경부는 2018년 월영습지와 솔티숲의 가치를 인정해 '국가생태관광지역'으로 지정했다. 솔티생태관광방문자센터는 생태관광지역의 자리적 중심에 위치해 있어 각종 생태관광 활동의 연결 기능을 담당한다. 방문자들에게는 즐거운 체험과 교육 기회, 고즈넉한 휴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실, 휴게실, 상품판매실 등을 갖췄다.

세대 간 장벽 허문 디지털 기술 교육

2023년 4월 현재, 우리는 첨단 기술(High Technology) 세계에 살고 있다. 최근 신세대 사이에서 크게 관심을 받는 챗GPT 부터 가상 세계 메타버스까지, 불과 10년 전만 해도 상상만 하던 세상이 현실에서 구현돼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있다. ‘MZ세대 이해하기’처럼 현실에 반영된 밈이나 숏폼 콘텐츠 등을 심심찮게 볼 수 있으며, 해가 갈수록 비약적으로 성장하는 IT 기술의 발전은 세대 차이를 크게 벌려놓았다. MZ세대를 제외한 세대는 첨단 기술 시대에 적응하기가 쉬운 일이 아니다. 최근 들어 식당에서도 태블릿 PC나 스마트 키오스크로 음식을 주문하는 일이 일상이 되다 보니 IT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들은 식사하기조차 쉽지 않다. 이런 고령의 노인들에게 기기 사용법을 알려주어 세대 차를 극복한 훈훈한 사례가 소개돼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고 있다. 애슈데일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요양원을 찾아 스마트 기기 사용을 어려워하는 어르신들에게 최신 기술을 알려주고, 휴대전화처럼 일상에서 사용하는 기기 사용법을 공유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학생들이 어르신들에게 스마트 기기 사용법을 알려주듯, 학생들은 어르신들에게 과거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