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홀몸 노인 안부 챙긴다

6월 19일부터 돌봄인공지능 노인말벗서비스 시행

생성형 챗GPT가 경기도에 거주하는 홀몸 노인과 소통하며 안부를 묻고, 복지 서비스와도 연계한다. 

 

경기도가 6월 19일부터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을 도정에 접목해 노인말벗서비스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노인말벗서비스는 인공지능 상담원이 1주일에 한 번 노인에게 휴대 전화를 걸어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노인이 전화를 받지 않으면 세 번까지 걸며, 세 번 모두 받지 않으면 담당 직원이 직접 전화하는 방식이다. 담당 직원이 전화해도 받지 않으면 읍면동 복지 담당자가 노인이 사는 곳을 방문해 상황을 확인할 예정이다. 

 

또 경기도는 인공지능이 단순한 안부 전화만 거는 게 아니라 대화 내용을 파악해 복지와도 연계한다. 

가령 대화 도중 '살기 어렵다', '외롭다' 처럼 어려움을 호소하거나 위기 징후가 감지되면 직원이 직접 전화 상담을 진행하고,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경기도 긴급복지 핫라인과 연결해 복지서비스와 잇는 것이다.

 

경기도는 서비스 시행에 앞서 1,800명을 발굴해 6월 7일부터 16일까지 1차 신정 받아 19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한다. 

 

이후 서비스를 원하는 65세 이상 노인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다. 홀몸 노인이 우선 신청 대상자이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신청할 수 있다는 게 경기도 측의 설명이다. 

 

한경수 경기도 노인복지과장은 "노인말벗서비스가 노인들의 외로움과 우울감을 덜어 정서적 안정감을 높이고 주기적으로 안부를 확인해 식사와 운동 등 건강한 생활을 하도록 할 것"이라며 "복지 사각지대의 위기 상황을 예방하고 적시에 개입할 수 있도록 돌봄 안전망을 지속해서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발행인의 글


치매 디지털 치료제 개발 기업 로완, 글로벌 컨퍼런스를 통해 비약물 치매 예방 비전 제시한다

뇌 질환 디지털치료기기 개발 기업 ㈜로완은 오는 9월 22일 ‘글로벌 디멘시아 컨퍼런스’에서 디지털치료기기를 활용한 치매 예방 비전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해당 컨퍼런스는 대한치매학회와 인지중재치료학회가 개최하는 국내 최대 치매 컨퍼런스로, 전문가들은 최신 치매 연구 동향과 비약물 치료를 통한 치매 극복 방향성을 논의한다. 이번 컨퍼런스는 주식회사 로완이 메인 스폰서로 참여했다. 로완은 뇌 질환 디지털치료기기 개발기업으로, 최근 경도인지장애 개선 디지털치료기기 ‘슈퍼브레인 DEX’를 개발 완료하여 식약처 확증임상 시험계획을 승인받았다. 이날 컨퍼런스는 두 가지 세션으로 나눠 진행된다. 우선 첫 번째 세션에서는 세계적인 뇌 연구 권위자인 미국 BNI 마완 사바(Marwan Sabbagh) 박사가 영상을 통해 연사로 나선다. 마완 박사는 ‘Global Dementia Drug Research Trends’란 주제로 최신 치매 약물 연구 동향을 강연한다. 이어 노스이스턴 대학교 아서 크레이머(Arthur Kramer) 박사는 ‘Exercise and Brain Cognition’을 주제로 운동과 뇌 인지 능력에 관해 발표하고, 일본 요코하마 쓰루미 재활병원 카츠아키

세계 행복 보고서

전 세계는 글로벌 팬데믹의 영향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 높아진 생활비, 주식 시장의 불확실성, 기후변화 문제, 경제적 혼란 등을 겪고 있다. 그런데도 최근 발표된 ‘세계 행복 보고서’는 이러한 불확실성과 어려움 속에서도 놀랄 만한 회복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한다. 행복에 관련된 여러 요소를 기준으로 95개국의 국민 행복도를 순위별로 보았을 때 핀란드가 6년 연속 1위를 차지했고, 덴마크, 아이슬란드, 이스라엘, 네덜란드가 그 뒤를 이었다. 2023년 순위에서 특이점은 이스라엘이 2022년 9위에서 4위로 크게 상승했고, 스위스가 9위로 내려갔다는 것이다. 캐나다는 13위를, 아일랜드, 미국, 독일, 벨기에, 체코, 영국은 그 뒤를 이었고, 리투아니아는 20위에 올라섰다. 리투아니아는 2017년부터 30계단이나 상승했다는 점이 주목받았다. 이 보고서는 사람들 사이에 행복이 어떻게 불평등하게 분배되는지에 대한 추세를 자세히 살펴보고 인구의 상위 절반과 하위 절반 사이의 행복 격차를 조사하는데, 보고서의 편집자인 존 헬리웰은 “최근 3년 동안 국가별 행복도의 평균은 상당히 안정적이었다”고 말했다. 세계 행복 보고서에 따르면, 국가별 행복 수준을 파악하는 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