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율주행과 신재생에너지로 도시문제 해결하는 도시 6곳 선정

2023년 거점형·강소형 스마트시티 조성 사업을 공모한 국토교통부는 거점형 지자체 2곳(울산광역시, 경기도 고양시), 강소형 지자체 4곳(경기도 평택시, 전남 목포시, 충남 태안군·아산시)을 뽑아 각각 국비 200억 원과 120억 원을 지원한다. 

 

거점형 스마트시티 사업은 도시 문제 해결책을 개발, 구축해 스마트시티의 확산 거점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강소형 스마트시티 사업은 환경 변화에 따라 특화된 해결책이 집약된 도시를 조성하는 정책이다.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민과 기업, 지자체가 똘똘뭉쳐 혁신적인 서비스를 찾아 만들어가는 사업이란 점에서는 같다. 

5대1의 경쟁을 뚫고 거점형과 강소형 스마트시티 조성 사업에 선정된 지자체 6곳은 다음과 같다. 

 

#울산광역시 

 

울산시는 첨단 혁신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우정혁신도시와 성안동 일대를 스마트시티로 조성하는 계획을 세웠다.  

구체적으로는 자율주행 기반의 수요 응답형 버스, 스마트 교통 패스 등 모빌리티 관련 서비스와 신재생에너지 측정 시스템, 탄소중립 리워드와 같은 친환경 해결책과 스마트 헬스케어와 같은 혁신 기술에 바탕한 스마트 시티를 구축한다. 

 

#경기 고양시 

 

고양시는 경기권 데이터 허브의 거점도시로 혁신 성장 동력 R&D와 연계해 인프라를 구축하고, 드론밸리 조성 등 혁신산업의 거점으로 도약한다. 

고양드론앵커센터를 활용해 드론과 UAM 산업 클러스터 구축, 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요 응답형 버스, 킨텍스와 호수 공원을 중심으로 스마트폴과 미디어월 조성을 추진한다. 

 

#경기 평택시 

 

평택시는 환경 오염과 탄소 배출량 증대에 대응해 자발적 탄소시장을 구성하는 녹색 스마트시티를 구축한다. 

제로에너지빌딩처럼 친환경 건물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산업 방류수를 가로수 생육에 활용하는 탄소배출권의 확보, AR기반의 도시 숲 관리를 통한 시민참여 활성화를 구현한다. 

 

#전남 목포시 

 

친환경 스마트 해양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친환경 자율주행 교통과 스마트 업사이클링 솔루션을 도입해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신산업을 도입해 강소형 스마트 시티를 조성한다.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 교통 수단을 친환경 전기 셔틀을 이용한 자율 주행 노선으로 전환하고, 해양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 신산업 업사이클링을 도입한다. 

 

#충남 태안군

 

태안군은 미래형 첨단 모빌리티와 관광을 경험할 수 있는 스마트 솔루션을 통해 지역 소멸에 대응하고, 지역 산업 육성도 지원한다. 

특히 원도심 고령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요응답형 교통과 로봇카트, 노인 생활 안전 케어존 등을 구성하고 기업도시 특화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드론 배송과 순찰, 관제시스템도 도입한다. 

 

#충남 아산시

 

아산시는 디지털노마드층을 유입하도록 업무와 휴식 공간 구성과 이를 대상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을 실증해 인구를 유입하고 도시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거점도 조성한다. 

도시의 유휴시설과 캠핑장을 활용해 공간을 구성하고, 스마트 오피스와 수요응답형 교통, 전자시민증 등을 이용해 디지털노마드를 유입하는 사업 모델을 개발한다. 

거점 시설인 이노베이션 센터를 중심으로 산학연 지식 공유 네트워크도 구축한다. 

 

배너

발행인의 글


치매 디지털 치료제 개발 기업 로완, 글로벌 컨퍼런스를 통해 비약물 치매 예방 비전 제시한다

뇌 질환 디지털치료기기 개발 기업 ㈜로완은 오는 9월 22일 ‘글로벌 디멘시아 컨퍼런스’에서 디지털치료기기를 활용한 치매 예방 비전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해당 컨퍼런스는 대한치매학회와 인지중재치료학회가 개최하는 국내 최대 치매 컨퍼런스로, 전문가들은 최신 치매 연구 동향과 비약물 치료를 통한 치매 극복 방향성을 논의한다. 이번 컨퍼런스는 주식회사 로완이 메인 스폰서로 참여했다. 로완은 뇌 질환 디지털치료기기 개발기업으로, 최근 경도인지장애 개선 디지털치료기기 ‘슈퍼브레인 DEX’를 개발 완료하여 식약처 확증임상 시험계획을 승인받았다. 이날 컨퍼런스는 두 가지 세션으로 나눠 진행된다. 우선 첫 번째 세션에서는 세계적인 뇌 연구 권위자인 미국 BNI 마완 사바(Marwan Sabbagh) 박사가 영상을 통해 연사로 나선다. 마완 박사는 ‘Global Dementia Drug Research Trends’란 주제로 최신 치매 약물 연구 동향을 강연한다. 이어 노스이스턴 대학교 아서 크레이머(Arthur Kramer) 박사는 ‘Exercise and Brain Cognition’을 주제로 운동과 뇌 인지 능력에 관해 발표하고, 일본 요코하마 쓰루미 재활병원 카츠아키

세계 행복 보고서

전 세계는 글로벌 팬데믹의 영향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 높아진 생활비, 주식 시장의 불확실성, 기후변화 문제, 경제적 혼란 등을 겪고 있다. 그런데도 최근 발표된 ‘세계 행복 보고서’는 이러한 불확실성과 어려움 속에서도 놀랄 만한 회복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한다. 행복에 관련된 여러 요소를 기준으로 95개국의 국민 행복도를 순위별로 보았을 때 핀란드가 6년 연속 1위를 차지했고, 덴마크, 아이슬란드, 이스라엘, 네덜란드가 그 뒤를 이었다. 2023년 순위에서 특이점은 이스라엘이 2022년 9위에서 4위로 크게 상승했고, 스위스가 9위로 내려갔다는 것이다. 캐나다는 13위를, 아일랜드, 미국, 독일, 벨기에, 체코, 영국은 그 뒤를 이었고, 리투아니아는 20위에 올라섰다. 리투아니아는 2017년부터 30계단이나 상승했다는 점이 주목받았다. 이 보고서는 사람들 사이에 행복이 어떻게 불평등하게 분배되는지에 대한 추세를 자세히 살펴보고 인구의 상위 절반과 하위 절반 사이의 행복 격차를 조사하는데, 보고서의 편집자인 존 헬리웰은 “최근 3년 동안 국가별 행복도의 평균은 상당히 안정적이었다”고 말했다. 세계 행복 보고서에 따르면, 국가별 행복 수준을 파악하는 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