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안군이 교통 약자를 위한 다각적 지원책 마련에 나섰다.
7일 태안군은 올해 교통 약자 이동지원센터 운영과 정류장 승하차 도우미를 배치해 노인과 장애인과 같은 교통 약자들의 편의를 제공하고, 요금 할인과 안내양 제도를 운영하는 등 다양한 교통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교통 약자 이동지원센터는 대중교통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과 노인, 임신부와 같은 교통 약자들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운영된다.
거동이 불편한 군민이 센터에 회원으로 등록 후 배차 신청하면 차가 집까지 찾아와 원활히 이동하도록 돕는다.
이용 요금은 기존 농어촌버스와 시외버스 요금의 2배를 넘지 않도록 책정됐다.
태안군은 (사)충남지체장애인협회 태안군지회를 위탁 운영 기관으로 정하고 운영 차량을 현 3대에서 4대로 늘리기로 하는 등 군민 이용에 불편을 겪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리에 나서고 있다.
정류장 승하차 도우미도 도입했다. 태안읍 중앙로 일대 두 곳에 승하차 도우미를 각 한 명씩 배치해 승객들이 승하차 시 짐을 들어주는 등 보조 역할을 수행한다. 반응이 좋아 추가 인력과 장소를 늘리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정류장 승하차 도우미 제도는 작년 가세로 군수가 직접 지시한 데 도입했다. 전통 시장 인근 버스 정류장에서 어르신들이 무거운 짐을 들고 버스를 오르내리는 경우가 많은 점에 착안했다.
추억의 버스 안내양 제도도 도입됐다. 3개 노선에 안내양이 각각 한 명씩 배치돼 어르신 등 취약 계층이 원활히 버스를 승하차 하도록 돕는다. 옛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이색 관광 상품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다는 게 태안군 측의 설명이다.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위해 요금 할인 정책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태안군은 2019년 75세 이상 어르신 대상 버스 요금을 무료로 도입하고, 2020년 이를 등록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로까지 확대했다.
국가유공자의 유족에게도 2020년부터 버스 요금을 30% 할인하다가 2021년부터 무료 이용으로 전환했다.
2022년에는 6~18세 어린이 및 청소년에게까지 무료화했다. 2022년 한해 버스 이용 건수가 총 55만 8,287건에 이를 만큼 인기가 많다.
태안군은 앞으로도 대중 교통 이용 활성화와 편의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시책을 마련하고, 현행 제도는 지속해서 보완·발전해나간다는 방침이다.
가세로 태안군수는 "대중 교통 취지에 발맞춰 교통 약자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군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앞으로도 군민의 목소리를 최대한 듣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