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의 글

사고 공화국은 안된다

대한민국은 선진국?

국민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을까요?

UNCTAD(유엔무역개발협의회)는 2021년 대한민국을 선진국으로 지위 변경했는데….

왜 각종 사고가 빈발하고 자연재해에도 취약한 안전하지 못한 국가로 남아 있는지

국민은 납득하기 힘들다.

세월호 참사와 이태원 참사로 국민을 절망케 하고,

작년 여름 포항 아파트 지하 주차장 침수 사고가 부른 어처구니없는 인명 피해에 이어

다시 오송 지하차도에 많은 인명을 수장시키다니….

극한 호우를 뿌린 하늘 탓만 할 텐가?

 

이러다가 ‘대한민국은 사고 공화국’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쓰게 생겼다.

무엇보다도 왜 이렇게 판박이 사고가 나고 또 나는지 제대로 된 원인을 규명해야 하겠다.

 

처벌이 능사는 아니지만 책임이 있는 사람은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엄하게 다스려야 할 것이다.

민간 사업장에서는 소수의 인명 손실에도 중대재해처벌법으로 꼼짝 못 하게 하지 않는가.

 

국민의 안전 의식 고취와 공직 사회의 철저한 예방 대책 수립이 반드시 필요하다.

초등학교 때부터 안전 교육 실시, 그리고 민간과 정부의 안전 강화를 위한 투자는

사고 터진 후가 아닌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점진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번 8월호에 소개한 해외 사례(코펜하겐 폭우 관리, 도쿄의 거대한 지하배수 터널, 네덜란드 홍수 조절 시스템)를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 한번 생각해보자.

이번 장맛비 한 번으로 50명의 사망자와 수많은 수재민이 발생해

정부는 부끄럽기 그지없겠지만 국민들도 이래저래 우울하다.

 

이번에도 제대로 된 반성과 철저한 대책 마련에 실패한다면 지구온난화로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폭우와 홍수, ‘재앙’에 우리 국민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제발 마지막 기회라 생각하고 대비합시다.

 

2023년 8월 《지방정부》, 《지방정부 tvU》 발행인

배너

발행인의 글


지방자치단체 보통교부세 9조 삭감....지방재정 비상등 켜져

세수 60조 원이 펑크나며 지방재정 곳간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내려보낼 보통교부세가 예정분보다 9조 원가량 줄어든 것이다. 국회 양경숙 의원실이 전국 17개 시도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보통교부세는 최종 예산안 기준 57조 1,000억 원으로 행정안전부에서 내려보내기로 한 보통교부세 66조 1,000억 원보다 9조 원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정부가 지방자치단체에 내려보내는 보통교부세는 내국세의 19.24% 중 97%를 총액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부족분에 비례해 배분된다. 올해 국세 수입이 예상치보다 훨씬 큰 폭으로 줄어들면서 국세를 재원으로 하는 보통교부세가 크게 감소한 것이다. 특별 및 광역시인 서울시와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3곳을 제외한 전국 14개 지자체 보통교부세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북도가 1조 7,000억 원이 줄어 감소분이 가장 컸다. 이어 강원도 1조 2,000억 원, 경상남도 1조 1,000억 원, 전라남도 1조 1,000억 원 등이 1조 원 넘게 감소했다. 정부는 올해 국세 수입을 341조 4,000억 원으로 예상해 당초보다 약 60조 원이 부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자체 자체적으로 걷는

호주 주 4일 수업

최근 전 세계적으로 주 4일제에 대한 흥미로운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호주가 교육 분야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학교 주 4일제를 추진하고 있다. 호주 주 정부는 2024년부터 학생들에게 유연한 수업 일정을 제공하기 위해 공립학교 운영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호주 퀸즐랜드 학생들은 곧 주 4일제 수업의 혜택을 누릴 것으로 보인다. 퀸즐랜드는 내년부터 모든 공립 초등 및 중학교에 유연한 학습 선택제를 도입하기로 했고, 이미 몇몇 학교는 수업 시간 단축을 제안하고 있다. 퀸즐랜드중등교장협회(QSPA, Queensland Secondary Principals Association) 회장 마크 브레킨리지는 “학교가 교직원, 학부모, 교통 및 보육 서비스 제공자 등 기타 이해관계자와 협의가 분명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번 정책은 학교가 변화를 생각하기 전에 필요한 협의 수준에 대해 학교에 확실성을 제공하는 정책”이라며 학교에서 단축된 수업 시간을 허용함으로써 교사가 수업 준비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교사의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학생들이 직업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되는 등 장점이 있다고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