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치맥페스티벌 100만명 참여 450억 경제효과

7일 폐막... 트로피컬 치맥클럽에선 다양한 뮤지션 출연 감흥 고조

2024 대구치맥페스티벌'에 100만명 이상 다녀가며 450여억원의 경제적 유발효과를 보이며 성황리에 폐막했다.

 

8일 대구시에 따르면 치맥페스티벌 개최 당일 20만명 정도가 다녀가 성공 개최의 시작을 알렸고 올해 치맥페스티벌은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도록 콘텐츠를 다양화해 방문객의 만족도를 높였다는 평가다.

 

2·28 자유광장에 조성된 트로피컬 치맥클럽과 2·28기념탑 주차장의 하와이안 아이스 펍, 코오롱 야외음악당의 치맥 선셋가든이 세 곳에는 각 장소별 콘셉트에 맞는 뮤지션 공연을 펼쳐 친구나 가족 또는 연인 등이 방문해 각자의 취향에 맞게 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선택의 폭을 넓혔다.

 

특히 메인 무대인 트로피컬 치맥클럽에서는 힙합, 록, 트로트 등 다양한 장르의 트렌디한 뮤지션이 매일 참가해 치맥페스티벌 콘서트인 치맥콘(Chimac-Con)을 펼쳤다.

 

하와이안 아이스펍에서는 향수를 자극하는 8090 뮤지션이 참가했고 치맥 선셋가든에서는 한여름 밤 감성을 자극하는 뮤지션을 초청했다. 그 결과 장소별 관람객이 증가했고 매출 또한 고른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치맥페스티벌 조직위원회에서는 추후 올해 치맥페스티벌 콘텐츠 변화에 따른 관람객 및 매출 상승 추이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통해 내년도 축제 콘텐츠 기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또 메인 무대가 있는 잔디광장에는 글로벌 예약 식음존을 신설해 유료 해외 관람객 약 1000명 이상이 예약했고 1200만원 정도의 매출을 거뒀다.

 

오는 9월 '제51회 로스앤젤레스 한인축제'에 참가해 내년도 글로벌 관광객 유치전에 뛰어들어 새로운 여행상품 개발을 통한 글로벌 축제 위상 제고에도 노력할 계획이다.

 

방문객들에게 친숙한 느낌의 신규 캐릭터와 심벌을 사용해 티셔츠 4종과 머그컵 2종, 아크릴 키링 2종, 스티커 2종 등 오직 치맥페스티벌에서 만날 수 있는 기념품으로 구성해 총 약 1000만 원 가량의 매출을 올렸다.

 

이 외에도 치킨 관련 36개 업체가 참여해 90여개 부스를 설치해 다양한 치킨을 맛볼 수 있게 했고 맥주는 카스, 지역 수제 맥주 브랜드인 대경맥주와 대도양조를 비롯한 총 10개 브랜드가 참가했다.

 

이 같은 참여로 지역경제에 생산유발효과 324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126억원, 취업유발효과 457명이라는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됐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번 치맥페스티벌에서 미흡했던 점은 개선하고 잘된 점은 더욱 확대해 대구치맥페스티벌이 세계인의 여름축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원주시, 가정의 달 맞이 원주몰 30% 할인 행사

원주시는 가정의 달을 맞아 공식 인터넷 쇼핑몰인 ‘원주몰(원주몰.com)’에서 5월 31일(토)까지 관내 200여 기업이 참여하는 기획전을 실시한다. 시는 기획전 기간 원주몰에 입점한 전체 상품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할인쿠폰을 지급할 예정이다. 5월 한 달간 매주 화요일(6일·13일·20일·27일) 오전 10시에 30% 할인쿠폰(최대 3만 원 할인)을 선착순으로 발급한다. 쿠폰은 원주몰 회원이라면 누구나 발급받을 수 있으며, 1만 원 이상 구매 시 사용할 수 있다. 발급일로부터 2일간 유효하다. 이에 더해 5월 9일과 10일 단계동 AK백화점 열린광장에서 원주몰 연계 특판전을 실시, 오프라인으로도 시민들을 찾아갈 계획이다. 엄병국 기업지원일자리과장은 “소중한 사람들에게 마음을 전하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기획전을 준비했다.”라며, “감사선물을 준비하고 있는 소비자들이 이번 행사를 통해 많은 혜택을 얻으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문의 기업지원일자리과 기업육성팀(033-737-2982)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