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골퍼 유해란, 영암 고향사랑 기부왕

20년만에 문 연 소아청소년과 운영비 500만원 전달

 

여자프로골프협회(LPGA) 신인왕 유해란(다올금융그룹) 선수가, 영암군 고향사랑기부왕에 이름을 올렸다.

 

유 선수는 2일 ‘제19회 금정면민의 날 및 대봉감축제’에서 고향 영암군의 고향사랑 지정기부 ‘고향사랑 소아청소년과 운영비 모금’에 500만원을 기부했고, 이는 해당 지정기부 최고액에 해당한다.

 

이날 고향사랑기금 기탁식에는 유 선수의 친척인 유재창 금정새마을금고 이사장이 대신 참석해 기부금을 전달했다.

 

영암군은 올해 8월에, 광주·목포로 왕복 2시간 이상 원정진료를 다니는 6,000여 명의 소아청소년과 부모들의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전문의를 초빙해 20년 만에 소아청소년과를 개원했다.

 

이번 지정기부는 고향사랑 소아청소년과를 내년에도 운영하기 위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다.

 

우승희 영암군수는 “고향사랑으로 기부금을 쾌척해 준 유해란 프로골퍼에게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보내준 소중한 기부금은 영암군민의 건강과 영암군 발전을 위해 귀하게 쓰겠다”라고 밝혔다.

 

유 선수는 2023년 LPGA투어에 데뷔해 세계랭킹 6위를 기록, 신인상을 거머쥐었다. 이는 지난해 한국 여자 골퍼 중 가장 높은 순위다.

 

2023년 영암군 홍보대사에 위촉된 그는, 2019년 영암군 인재육성장학재단에 장학금 2,000만원, 2021년 이웃돕기 성금 1,000만원 등 고향과 후배들을 위해 꾸준한 기부도 이어오고 있다.

 

한편 영암군은 10월7일부터 31일까지 진행한 ‘영암 쌀사랑♥고향사랑’ 이벤트가 1억3,000만원을 모금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산지 쌀값 지속 하락, 폭염 벼멸구 피해 확산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벼 농가의 시름을 덜기 위해 마련됐다.

 

이벤트 기간 답례품 리뷰를 작성하면 답례품에 3만원 상당의 영암 쌀을 추가로 증정하는 내용이었다.

 

685명이 이벤트에 참여한 결과, 영암군의 고향사랑기부 실적도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건수 2.5배, 모금액 1.7배 늘어난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기부자들은 답례품 주문 총 647건 중 33%에 해당하는 213건을 달마지쌀, 학이머문쌀 등 영암 쌀을 주문해 영암 쌀 소비 촉진 이벤트에 호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우승희 영암군수는 “산지 쌀 가격이 하락, 이상기후 고온 피해 등으로 힘들어하는 농가를 위해 마련한 이벤트에 참여해 준 많은 분들에게 감사드린다. 연말까지 좋은 내용으로 고향사랑기부를 홍보해서 지역에 꼭 필요한 일에 기부금을 쓰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배너

발행인의 글


속초, 교통비 최대 53% 환급 K-패스 추진

속초시가 1월부터 대중교통비를 최대 53%까지 절감할 수 있는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 사업인 K-패스를 본격 추진한다. 이용을 원하는 시민은 카드사에서 K-패스 카드를 발급받고 누리집(korea-pass.kr)에서 회원가입을 하면 된다.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일 최대 2회, 월 최대 60회까지 지출한 대중교통비 일부를 다음 달에 환급받을 수 있다. 일반인(35세 이상)은 20%, 청년층(19~34세)은 30%, 저소득층은 53.3%를 환급받을 수 있다. 총 자녀가 2명 이상이며 그중 1명 이상이 18세 이하에 해당하면 다자녀부모로 분류되어 자녀가 2명인 다자녀부모는 30%, 3명 이상이면 50%의 환급 비율을 적용받는다. 시내버스와 지하철과 같이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전국의 대중교통이 해당되지만, 시외(고속)버스, KTX, SRT, 공항버스 등 별도의 발권을 받아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대상에서 제외된다. 속초시 관계자는 “K-패스 사업이 시민들의 대중교통비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현재 시행하고 있는 속초시 어르신 버스 무료 이용 지원 사업에 이용되는 어르신 교통카드로는 K-패스를 이용할 수 없음을 유의하시기를 바란다”라고 전했다.

해외에서는 NFC를 어떻게, 얼마나 활용하고 있는가?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은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기술로 자리 잡았다. 이 기술은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 간의 간편한 데이터 전송과 결제를 가능하게 하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해외에서 NFC 기술이 어떻게, 얼마나 활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한국이 이 기술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1. 미국의 NFC 활용 사례 (1) 디지털 지갑 미국에서 NFC 기반 디지털 지갑은 쇼핑, 외식, 대중교통 등 다양한 영역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애플 페이, 삼성 페이, 구글 페이와 같은 모바일 결제 서비스는 보안성과 편리함을 제공하며, 소비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비접촉식 결제는 특히 COVID-19 팬데믹 이후 위생적인 결제 수단으로 주목받아 사용량이 급증하였고, 스타벅스와 같은 대형 프랜차이즈는 자체 앱에 NFC 결제 기능을 탑재하여 소비자 충성도를 높이고 있다. 소규모 비즈니스에서도 NFC 기반 결제를 도입하며,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빠르고 안전한 결제 경험을 제공하였다. 연구에 따르면, 2024년까지 미국 내 NFC 결제 시스템을 도입한 소규모 비즈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