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원픽

[요즘 트렌드] 전 세계를 벌벌 떨게 만든 지카바이러스 정체를 밝혀라!


 

제2의 메르스가 될지도 모른다는 우려 속에 신생아에게는 소두증, 성인에게는 길랭-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 GBS)을 일으킨다고 알려진 지카(Zika)바이러스로 지구촌은 지금 공포에 휩싸였다.


기획 편집부



지카바이러스, 왜 문제인가?


1947년 우간다에 사는 붉은털 원숭이에서 처음 발견된 지카바이러스는 5년 후인 1952년 우간다와 탄자니아에서 사람에게 처음 전염됐다고 알려졌다. 주로 이집트 숲모기에 의해 전파되며, 감염된 사람의 혈액을 수혈받거나 성적인 접촉을 통해 감염될 수도 있다고 하지만 그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보통 2~7일, 최대 2주 안에 발열이나 발진, 충혈 등의 증상이 약하게 나타난다. 혹자는 2년 후에도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하지만 사실이 아니다. 증상이 나타나도 3~7일 정도 충분히 휴식하고 수분을 섭취하면 자연스레 회복된다.


바이러스 자체는 그렇게 치명적이지 않지만 지카바이러스가 공포의 대상이 된 이유는 신생아에게는 소두증을 성인에게는 길랭-바레 증후군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길랭-바레 증후군은 신체의 면역계가 신경계 일부를 공격하는 것으로 팔·다리·상체 등의 근육을 약화시키며, 전신마비를 일으켜 환자의 3~5%는 사망에 이르게 한다.



지카바이러스가 소두증과 길랭-바레 증후군의 원인? 정확한 근거는 없어…


아직까지 소두증과 길랭-바레 증후군이 지카바이러스와 연관이 있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가 없다. 그러나 브라질에서는 연간 150건에 그치던 소두증 의심 사례가 지카바이러스가 유행하며 폭발적으로 늘었다. 브라질 보건부는 “지난해 10월부터 신고 된 소두증 의심 환자 5079명 가운데 462명이 소두증 확진 판정을 받았고, 그중 소두증으로 사망한 신생아에게서 지카바이러스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마르셀로 카스트로(Marcelo Castro) 보건장관도 “소두증과 지카바이러스는 분명한 인과관계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지카바이러스 감염자가 두 번째로 많은 콜롬비아에서도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성인이 길랭-바레 증후군으로 사망했다. 콜롬비아에서는 지카바이러스가 유행하며 길랭-바레 증후군 환자도 급속히 증가했으나 브라질에서 지카바이러스로 인한 신생아 소두증과 길랭-바레 증후군 모두 발생한 반면 콜롬비아에서는 소두증에 대한 사례는 단 한 건도 보고되지 않았다.


마거릿 찬(Margaret Chan) WHO 사무총장도 “사태의 수준이 심각해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지만, “지카바이러스가 신생아 소두증을 유발하는지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는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즉, 지카바이러스가 소두증과 길랭-바레 증후군을 유발한다는 정확한 근거는 없는 셈. WHO는 지카바이러스와 소두증, 길랭-바레 증후군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데 약 4~8주가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와중에 아르헨티나의 한 의사단체는 지카바이러스와 소두증이 큰 상관이 없을 수도 있다는 주장을 내놨다. 1960년대에 처음 발견된 지카바이러스가 40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 갑자기 소두증을 유발하는 것, 예전에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여성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서는 소두증 사례가 발견되지 않은 것, 매년 지카바이러스가 유행하는 콜롬비아에서는 소두증이 발생한 사례가 없다는 것이 이유다. 그러면서 이들은 브라질에서 2014년부터 식수에 살충제인 ‘피리프록시펜(Pyriproxyfen)’을 사용한 지역에서 소두증이 발생한 사례는 있다고 전했다.


이 외에도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의문은 많이 남아있다. 대만에서는 중남미를 방문한 적이 없는 남성이 감염되는가 하면 태국에서 대만으로 입국한 남성도 지카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았다. 아프리카와 태평양 등 세계 곳곳에서 속속 감염자가 발생하는 상황이지만 딱히 치료제나 예방 백신이 없는 상황이라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지카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될 경우 질병관리본부 콜센터(국번없이 109)나 거주지 보건소에 신고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자체마다 방역활동을 실시하는 등 대응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바이러스 감염 우려에 따른 해외 여행 취소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정확한 인과관계가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지만 지카바이러스가 소두증이나 길랭-바레 증후군과 연관이 아예 없다고는 할 수 없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춘천시 바이오 비전 밝힌다"...육동한 시장, 다롄에서 성장 전략 제시

육동한 춘천시장은 다롄 우호도시를 방문 춘천시의 바이오산업 육성정책과 미래성장 비전 청사진을 제시했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18일 다롄 샹그리라호텔 3층에서 개최된 우호도시 원탁회의에 참석 춘천 바이오 전략을 공유했다. 이번 원탁회의는 다롄시가 '5월 국제개방월'을 맞이해 우호도시를 대상으로 개최한 회의다. 이 자리에는 슝 마오 핑 다롄시 당서기, 천 샤오 왕 다롄시장, 다마쓰 타쿠야 일본 이와테현 지사, 김응수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중국사무소장 등 국내외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자리에서 육 시장은 "춘천시 69개 바이오기업은 연매출 1조 5000억원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며 "푸드테크 연구지원센터, 연구개발특구 유치 추진 등 미래산업을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혁신특구, 국가첨단 전략산업 특화단지 등 체계적이고 선도적인 바이오 산업 정책을 공유했다. 한편 춘천시는 지난 2003년 다롄시와 우호도시 협약을 체결한 이래 행정, 문화, 관광 분야에서 22년간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이번 회의를 계기로 산업 분야까지 교류 협력 지평을 확대해 나가는 기회의 장이 됐다는 평가다. [지방정부티비유=전화수 기자]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