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자치의 성패여부는 지방의원들이 부과된 역할의 중요성을 얼마나 깊이 인식하고 활동하느냐에 따라 좌우된다.
1991년 지방의회의 부활 이후 우리 지방의회도 많은 변화를 거듭하며 힘차게 달려왔지만 급변하는 시대 상황은 더 많은 혁신과 변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우리 지방의회 의원들은 민의 대변자로서 집행기관을 견제·감시하는 통제자, 새로운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조언자, 때로는 지역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집행기관과 조화시켜 나가는 조정자로서 의정활동에 매진해 나간다면 지방자치 발전과 지방의회의 위상은 한층 더 높아질 것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중앙정부 중심의 행정으로 지방자치의 기능이 위축될 수밖에 없으며, 또한 열악한 재정적 여건으로 인해 주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인 게 현실입니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우리 지방의원들의 역할이 더욱 더 필요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지방의원 모두는 우선 가능하고 가까운 곳에 있는 것부터 조금씩 천천히 어떻게 하면 지역주민과 지역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인가를 끊임없이 고민하고 연구하면서 주어진 의정활동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점점 다양화·고급화·전문화 되어가는 행정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선 지방의원 개개인의 전문성 배양과 도덕성을 겸비하고 소통과 협력을 통해 주민들과 정보를 공유하여 신뢰를 쌓아 지방자치의 역량을 강화해야 합니다.
지방자치의 성패여부는 지방의원들이 부과된 역할의 중요성을 얼마나 깊이 인식하고 활동하느냐에 따라 좌우되며, 지역경제를 살리고 주민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막중한 과제는 지방의원들이 강한 사명감을 가지고 충분한 역량을 발휘할 때 발전되어질 것입니다.
끝으로 지방의회 의원은 새로운 시대적 상황을 깊이 인식하고 지방자치의 정착을 위한 제도개선등 중앙정부로부터 예속된 각종규제와 제도를 바꾸어 지역사회에 대한 주인의식을 보다 확실하게 하여 지방자치의 중심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는데 전력을 다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