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업그레이드] 바람직한 지방의회 의원상

0d51b346d109e1d202cc99a009489ac7_1529569727_874.png

지방자치의 성패여부는 지방의원들이 부과된 역할의 중요성을 얼마나 깊이 인식하고 활동하느냐에 따라 좌우된다.



1991년 지방의회의 부활 이후 우리 지방의회도 많은 변화를 거듭하며 힘차게 달려왔지만 급변하는 시대 상황은 더 많은 혁신과 변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우리 지방의회 의원들은 민의 대변자로서 집행기관을 견제·감시하는 통제자, 새로운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조언자, 때로는 지역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집행기관과 조화시켜 나가는 조정자로서 의정활동에 매진해 나간다면 지방자치 발전과 지방의회의 위상은 한층 더 높아질 것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중앙정부 중심의 행정으로 지방자치의 기능이 위축될 수밖에 없으며, 또한 열악한 재정적 여건으로 인해 주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인 게 현실입니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우리 지방의원들의 역할이 더욱 더 필요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지방의원 모두는 우선 가능하고 가까운 곳에 있는 것부터 조금씩 천천히 어떻게 하면 지역주민과 지역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인가를 끊임없이 고민하고 연구하면서 주어진 의정활동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점점 다양화·고급화·전문화 되어가는 행정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선 지방의원 개개인의 전문성 배양과 도덕성을 겸비하고 소통과 협력을 통해 주민들과 정보를 공유하여 신뢰를 쌓아 지방자치의 역량을 강화해야 합니다.


지방자치의 성패여부는 지방의원들이 부과된 역할의 중요성을 얼마나 깊이 인식하고 활동하느냐에 따라 좌우되며, 지역경제를 살리고 주민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막중한 과제는 지방의원들이 강한 사명감을 가지고 충분한 역량을 발휘할 때 발전되어질 것입니다.


끝으로 지방의회 의원은 새로운 시대적 상황을 깊이 인식하고 지방자치의 정착을 위한 제도개선등 중앙정부로부터 예속된 각종규제와 제도를 바꾸어 지역사회에 대한 주인의식을 보다 확실하게 하여 지방자치의 중심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는데 전력을 다해야 할 것입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경주시, APEC 손님맞이 전통시장에 영문 안내판 영문 메뉴판 비치

경주시는 2025년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외국인 방문객 맞이 전통시장 환경개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11일 시에 따르면, 오는 6월까지 총사업비 1억 원(전액 시비)을 투입해 관내 전통시장 5곳에 다국어 안내체계를 구축하고 노후시설을 정비할 계획이다. 사업은 △다국어 서비스 개선 △시설 인프라 정비 등 2개 분야로 구성됐다. 다국어 서비스 개선 부문에서는 안강시장 등 4개소에 2,000만 원을 들여 영문 간판을 병기하고, 불국사상가시장에는 500만 원을 투입해 상가 안내도를 교체한다. 중앙시장 야시장과 성동시장 먹자골목에는 1,500만 원을 들여 다국어 메뉴판을 제작·비치할 예정이다. 시설 인프라 정비 분야에서는 황성상점가의 노후 간판을 500만 원을 들여 교체하고, 외동시장에는 3,000만 원을 투입해 통행로를 정비한다. 성동시장에는 2,500만 원의 예산으로 분리수거장을 새롭게 조성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달 사업 시안 검토를 마쳤으며, 이달부터 공사에 착수해 다음 달까지 모든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이번 사업은 전통시장의 이용 환경을 개선하고, 외국인 관광객들이 보다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데 의의가 있다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